• 제목/요약/키워드: partial factor method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27초

신뢰성 이론에 의한 하중 및 저항계수 설계 (Reliability-Based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 손승요;이종헌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1-12
    • /
    • 1987
  • LRFD 설계형식의 개별안전계수를 확률이론에 의하여 구할 때 주로 AFOSM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해 구한 하중 및 저항계수를 사용하면 결과적인 신뢰성지수는 목표 신뢰성지수와 다를 수 있다. 최근 Ayyub 등이 제안한 Reliability-Conditioned(RC) 방법은 목표 신뢰성지수에 부합하지만 계산의 신속성 및 일관적 체계를 유지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RC/AFOSM 조합방법을 이용하면 계산의 체계가 일관적이고, 다양한 설계조건에 대하여 거의 일정한 개별안전계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결과되는 신뢰성지수도 목표 신뢰성지수에 매우 근접하다.

  • PDF

소프트 스위칭형 PFC 승강압 AC-DC 컨버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FC Buck-Boost AC-DC Converter by Soft Switching Method)

  • 곽동걸;이승호;이봉섭;정도영;심재선;임진근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5-437
    • /
    • 2007
  • Authors propose a PFC(power factor correction) Buck-Boost AC-DC converter by soft switching method. The proposed converter for a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eliminates the complicated control requirement and reduces the size of components. The input current waveform in the converter is got to be a sinusoidal form of discontinuous pulse in proportion to magnitude of ac input voltage under the constant duty cycle switching.Therefore,the input power factor is nearly unity and the control algorithm is simple. To achieve high efficiency system, the proposed converter is constructed by using a partial resonant technique. The control switches using in the converter are operated with soft switching for a partial resonant. The control switches are operated without increasing their voltage and current stresses by the soft switching method. The result is that the switching loss is very low and the efficiency of converter is high.

  • PDF

부분 스위칭 PFC 모듈을 이용한 가정용 에어컨 전원장치 (The Power System for Home Appliance Air-Conditioner using Partial Switching Power Factor Correction Module)

  • 서기영;문상필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83-190
    • /
    • 2004
  • 본 논문은 냉난방 인버터 에어컨용 전원시스템에 역률개선 회로인 부분 스위칭 PFC 모듈을 적용하여 입력의 역률 개선 및 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최소화하여 IEC555-2규정을 만족하는 입력 전원부를 설계하여 인덕터부하에 적용되는 회로 설계시의 문제점들을 해결 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출력전압의 상승을 억제하면서 전류파형을 개선하는 방법 및 부분 스위칭 PFC회로를 제안하여 스위칭 횟수를 적게 함으로써 압축기의 모터에 인가 할 수 있는 전압을 상승시켜 모터 적정 운전 전압을 확립하였으며, 효율이나 경제성 및 전자 노이즈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였다. 그리고 에어컨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서 시스템 총합 운전에너지 효율이 상승되는 것을 확인하는 모든 사항은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했다.

인버터 에어컨 시스템의 역률보상을 위한 AC-DC 컨버터 제어 (AC-DC Converter Control for Power Factor Correction of Inverter Air Conditioner System)

  • 박귀근;최재원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54-162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C-DC converter control method to comply with harmonics regulation(IEC 61000-3) effective for the inverter system of an air conditioner whose power consumption is less than 2,500W. 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of AC-DC converter control, but this paper focuses on the converter control method that is adopting an input reactor with low cost silicon steel core to strengthen cost competitiveness of the manufacturer. The proposed control method controls input current every half cycle of the line frequency to get unit power factor and at the same time to reduce switching loss of devices and acoustic noise from reactor. This kind of converter is known as a Partial Switching Converter(PSC). In this study, theoretical analysis of the PSC has been performed using Matlab/Simulink while a 16-bit micro-processor based converter has been used to perform the experimental analysis. In the theoretical analysis, electrical circuit models and equations of the PSC are derived and simulated. In the experiments, micro-processor controls input current to keep the power factor above 0.95 by reducing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input voltage and current and at the same time to maintain a reference DC-link voltage against voltage drop which depends on DC-link load.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comply with harmonic regulations while the power factor is maximized by optimizing the time of current flow through the input reactor for every half cycle of line frequency.

부분관통정의 유사표피인자 계산을 위한 새로운 방법 (A New Method to Calculate Pseudoskin Factor of a Partially-Penetrating Well)

  • Lee, Kun-Sang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2-47
    • /
    • 1999
  • 층간 교차유동이 일어나는 다층 대수층에 존재하는 부분 관통정에서의 유사정상상태 유동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부분관통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 감소를 나타내는 유사표피인자를 계산할 수 있는 간단한 해법을 제시하였다. 이 해법은 기존에 제시되었던 방법들이 가진 기하학적 또는 계산시간 상의 한계성을 극복한 것이다. 본 계산을 위하여 폐쇄 대수층에서의 장기 압력 거동을 나타내는 간략화된 유사정상상태 확산방정식을 방사형 시스템에 적용하고 그 해를 이용하였다. 다양한 형태의 원통좌표계 시스템에서 본 해법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그 결과를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기존의 결과와 비교해볼 때 본 해법을 이용할 경우 최소의 계산량으로 매우 정확한 유사표피인자 값을 계산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특히 본 해법은 기하학적으로 복잡한 시스템에 매우 유용함을 보여주었다.

  • PDF

처오름에 대한 신뢰성 해석 및 부분안전계수 산정 (Reliability Analysis and Evaluation of Partial Safety Factors for Wave Run-up)

  • 이철응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355-362
    • /
    • 2008
  • 경사식 방파제에서 파랑과 구조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생되는 처오름을 확률론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Level II AFDA 신뢰성 모형이 제안되었다. Level III MCS 모형을 함께 적용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형이 만족스럽게 검증되었다. 또한 목표파괴확률과 각 확률변수들의 통계적 특성 그리고 영향계수를 이용하는 역해석 기법을 적용하여 처오름과 관련된 각 확률변수들의 부분안전계수를 산정할 수 있었다. 특히 Level I 신뢰성 설계법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처오름의 설계기준식을 현행의 결정론적 설계법과 동일한 형태로 유도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부분안전계수를 이용하여 Level I 신뢰성 설계법으로 재 설계한 결과가 CEM(2006) 및 Level II 신뢰성 설계법의 결과와 만족스럽게 비교되었다.

역률개선형 부분공진 AC-DC 초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tial Resonant AC-DC Chopper of Power Factor Correction)

  • 곽동걸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2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고역률과 고효율로 동작하는 새로운 스텝-업 AC-DC 초퍼에 대해 제안한다. 제안한 초퍼는 전류 불연속제어로 구동되고, 스위치의 듀티율 일정제어에 의해 입력전류는 교류 입력전압의 크기에 비례된 불연속적인 정현파 형태로 주어진다. 그 결과 입력역률은 거의 단위역률로 되고, 듀티율 일정제어에 의해 제안한 초퍼는 제어기법이 간단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류불연속 제어에 의한 초퍼의 경우, 사용된 스위치의 턴-온 동작은 영전류 스위칭으로 되는 장점이 있지만, 스위치의 턴-오프 동작은 최대 전류에서 스위칭되어 스위칭 손실을 증대시키고 스위치의 과중한 스트레스를 가져오게 된다. 이것은 AC-DC 초퍼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다. 본 논문에서는 부분공진기법에 의한 새로운 소프트 스위칭 회로가 설계되어 사용된 제어스위치들의 턴-온, 턴-오프 동작을 소프트 스위칭으로 만들어 초퍼의 효율을 증대시킨다.

  • PDF

부분수산법으로 제조한 PZT세라믹스의 특성에 미치는Nb2O5 첨가효과 (The Effect of Nb2O5 Addition on Properties of PZT Ceramics Prepared by Partial Oxalate Method)

  • 김태주;남효덕;이준형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3-38
    • /
    • 2003
  • Highly homogeneous PZT powder was prepared by a partial oxalate method using chemicals of (Z $r_{0.53}$ $Ti_{0.47}$) $O_2$, Pb(N $o_3$)$_2$and (COOH)$_2$ㆍ2$H_2O$. N $b_2$ $O_{5}$ addition effect on microstructure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PZT ceramics was investigated. When the precursors were calcined at 71$0^{\circ}C$, a single perovskite phase was obtained. After sintering at 110$0^{\circ}C$, X-ray diffraction Patterns showed coexistence of rhombohedral and tetragonal phases regardless of the N $b_2$ $O_{5}$ content. As the content of N $b_2$ $O_{5}$ increased, grain size decreased but sintered density increased. The electromechanical coupling factor of kp and the piezoelectric constant of $d_{31}$ increased linearly with the content of N $b_2$ $O_{5}$, and those values reached 0.7 and -200, respectively, when 1.2 mol% of N $b_2$ $O_{5}$ is added. is added.ded.

충북지역 시설재배지 토성별 토양화학성의 상호관계 (Relationship among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with Different Texture Taken from Plastic Film House of Chungbuk Area)

  • 김재정;강성수;김기인;홍순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44-150
    • /
    • 2006
  •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충북지역에서 156개 시설토양이 채취되어 시설재배 토양의 화학성에 대한 특성 및 상호관계가 통계적 방법에 의하여 비교 검토되었다. 평가에 적용된 화학성들은 pH외 16개 성분들이며 통계분석은 상관, 표준화된 편회귀계수, 주인자분석 등으로 수행되었다. 표준화된 편회귀계수는 종속변수에 관여하는 회귀변수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토양의 유기물 함량과 전기전도도에 관여하는 화학성들의 기여도 분석에 적용되었다. 주인자 분석은 시설재배 토양의 화학성들에 대하여 공통인자에 의한 집단들을 분류하기 위하여 분석하였다. 공시토양의 pH는 양토가 4.24~7.14, 사양토가 4.95~7.35이었고 염류농도를 나타내는 전기전도도는 양토의 경우 최소 0.93에서 최대 $15.65dS\;m^{-1}$, 사양토의 경우 최소 0.91에서 최대 $22.30dS\;m^{-1}$로서 큰 차이를 나타냈다. 전기전도도 측정을 위한 1:5 희석법과 포화 침출법은 고도로 유의성 있는 직선적인 회귀관계를 보였으며 직선식의 기울기는 사양토가 8.599, 양토가 8.163로서 이론적 희석배수 5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표준화된 편회귀계수로 평가한 포화침출법의 전기전도도에 대한 화학성들의 기여도 순위는 양토의 경우 질산태질소 > 염소 > 유기물 > 치환성 고토의 순이었고 사양토의 경우는 질산태질소 > 치환성 고토 > 염소의 순이었다. 전기전도도에 대한 화학성들의 기여도 순위는 포화침출법과 1:5 회석법 사이에 차이를 보여 침출방법에 따른 용액의 화학종 농도는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1:5 희석법에 의한 전기전도도 측정은 특정한 계수로 조절하더라도 정확도가 낮아질 수밖에 없으며 가능한 포화용액 침출법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상관계수의 크기로 단순히 비교할 때 전기전도도는 토성과 침출방법에 관계없이 질산태질소 > 염소 > 염기포화도 > 치환성 고토 > 치환성 석회 > 황산이온 ($SO{_4}^{2-}$)의 순이었다. 주인자 분석에 의한 시설재배 토양의 화학성은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요인별 특징은 사양토의 경우 1) 염류물질, 2) 토양산도, 3) 흡착고정물질 4) CEC로, 그리고 양토의 경우는 CEC 대신 치환성 소다로 대체되며 화학성들을 분류할 수 있었다.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한 PTS에 의한 새로운 OFDM 시스템 PAR 감소 기법 (A New PAR Reduction Scheme in OFDM Systems by PTS Using Genetic Algorithm)

  • 김성수;김명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995-1002
    • /
    • 2005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 시스템은 peak-to-average power ratio(PAR) 문제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partial transmit sequence(PTS) 기법을 이용하여 최적의 PAR 감소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나눈 부블록의 수와 위상 요소(phase factor)에 관한 모든 탐색을 해야 한다 나눈 부블록 수와 위상 요소 수가 많을수록 PAR 감소 성능은 더 개선되지만, 계산량 또한 부블록 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하여 송신기의 복잡도와 처리시간지연을 초래한다. 따라서 전송되는 신호의 PAR을 최적에 가깝게 줄이면서 동시에 계산량도 함께 줄일 수 있는 기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PTS 기법에서 최적의 PAR 감소 성능을 갖는 위상 요소를 찾기 위해 최적화 문제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erian: GA)을 이용함으로써 PAR 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계산량도 함께 감소시켜 송신기의 복잡도와 처리시간 지연을 줄이는 기법을 제안하며, 제안된 기법의 PAR 감소 성능과 계산량을 기존의 제안된 방법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이 적은 계산량으로도 일반기법에 더 가까운 PAR 감소 성능을 가짐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