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al Euclidean distanc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8초

군집화에 의한 XLPE/EPDM 계면결함 부분방전 패턴 분석 (Analysis of Partial Discharge Pattern in XLPE/EDPM Interface Defect using the Cluster)

  • 조경순;이강원;신종열;홍진웅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3-204
    • /
    • 2007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influence on partial discharge distribution of various defects at the model power cable joints interface using K-means clustering. As the result of analyzing discharge number distribution of ${\Phi}-n$ cluster, clusters shifted to $0^{\circ}\;and\;180^{\circ}$ with increasing applying voltage. It was confirmed that discharge quantity and euclidean distance between centroids were increased with applying voltage from the analyzing centroid distribution of ${\Phi}-q$ cluster. The degree of dispersion was increased with calculating standard deviation of ${\Phi}-q$ cluster centroid. The tendency both number of discharge and mean value of ${\Phi}-q$ cluster centroid were some different with defect types.

  • PDF

K-means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케이블 접속재 계면결함의 부분방전 분포 해석 (Partial Discharge Distribution Analysis on Interlace Defects of Cable Joint using K-means Clustering)

  • 조경순;홍진웅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959-964
    • /
    • 2007
  •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artial discharge(P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due to various defects on the power cable joints interface, we used the K-means clustering method. As the result of PD number(n) distribution analyzing on $\Phi-n$ graph, the phase angle($\Phi$) of cluster centroid shifted to $0^{\circ}\;and\;180^{\circ}$ increasing with applying volt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PD quantify(q) and euclidean distance of centroid were increased with applying voltage from the centroid distribution analyzing of $\Phi-q$ plane. The dispersion degree was increased with calculated standard deviation of the $\Phi-q$ cluster centroid. The PD number and mean value on $\Phi-q$ graph were some different by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with defect types.

THE LOWER BOUNDS FOR THE HYPERBOLIC METRIC ON BLOCH REGIONS

  • An, Jong Su
    • 충청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03-210
    • /
    • 2007
  • Let X be a hyperbolic region in the complex plane C such that the hyperbolic metrix ${\lambda}_X(w){\mid}dw{\mid}$ exists. Let $R(X)=sup\{{\delta}_X(w):w{\in}X\}$ where ${\delta}_X(w)$ is the euclidean distance from w to ${\partial}X$. Here ${\partial}X$ is the boundary of X. A hyperbolic region X is called a Bloch region if R(X) < ${\infty}$. In this paper, we obtain lower bounds for the hyperbolic metric on Bloch regions in terms of the distance to the boundary.

  • PDF

유클리드 거리 가중치를 기반한 Salt and Pepper 잡음 제거 알고리즘 (Salt and Pepper Noise Removal Algorithm based on Euclidean Distance Weight)

  • 정영수;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1637-1643
    • /
    • 2022
  • 최근 영상 및 보안, 시스템의 지능화 등 디지털 시장의 거대화 및 다양화로 인하여 이에 사용되는 영상처리기술의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다. 특히, CT, MRI, X-ray, 스캐너와 같이 잡음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우, 영상교정 및 복원을 위해 잡음 처리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중 대표적인 Salt and Pepper 잡음은 기존에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지만, 여전히 잡음이 아주 많은 경우 상세 정보와 에지가 만족스럽지 못하고 흐려지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유클리드 거리 식에 따른 가중치를 부분 마스크에 적용하고, 원본과 가장 유사한 비잡음 화소만을 유효 화소로 사용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설계한 부분 마스크의 내부 화소 상태 및 마스크의 훼손 정도에 따라 필터의 종류를 결정하기 때문에, 훼손이 심한 환경에서도 우수한 잡음 제거 능력을 나타내었다.

다중 송수신 안테나 시스템 기반에서 복잡도를 감소시킨 K-BEST 복호화 알고리듬 (Reduced Complexity K-BEST Lattice Decoding Algorithm for MIMO Systems)

  • 이성호;신명철;정성헌;서정태;이충용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3호
    • /
    • pp.95-10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K-best 기법에서 심볼 검출 시 소요되는 불필요한 연산을 줄이고자 부분 유클리디언 거리(partial Euclidean distance)의 통계적 값으로서 수정된 Fano-like metric 바이어스를 할당하여 기존의 K-best 기법에 적용함으로써 평균 연산량을 감소시킨 KB-Fano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KB-Fano 기법에 K-reduction 기법을 연동한 KR-Fano 기법을 제안하여 모의 실험을 통해 K-reduction의 효과로 인한 비트 오차 확률 측면에서 높은 SNR 영역에서의 성능 개선과 함께 추가적인 평균 연산량 감소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적외선 영상에서의 불변 특징 정보를 이용한 목표물 인식 (Object Recognition by Invariant Feature Extraction in FLIR)

  • 권재환;이광연;김성대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4)
    • /
    • pp.65-68
    • /
    • 2000
  • This paper describes an approach for extracting invariant features using a view-based representation and recognizing an object with a high speed search method in FLIR. In this paper, we use a reformulated eigenspace technique based on robust estimation for extracting features which are robust for outlier such as noise and clutter. After extracting feature, we recognize an object using a partial distance search method for calculating Euclidean distanc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the improvement of recognition rate compared with standard PCA.

  • PDF

무감독분류 기법에 의한 부분방전 데이터 분석 (Partial Discharge Data Analysis with Unsupervised Classification)

  • 조경순;홍선학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9-16
    • /
    • 2018
  • This study described partial discharge(PD) distribution analysis between the XLPE(Cross-Linked PolyEthylene)and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interface with unsupervised classification. The ${\phi}-q-n$ patterns were analyzed using phase resolved partial discharge(PRPD). K-means cluster analysis forms a cluster based on similarities and distances among scattered individual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ed clusters, dividing the multivariate data into several groups according to the similarity of each characteristic, Is a statistical analysis that makes it easier to navigate. It was confirmed that the phase angle of the cluster with the maximum discharge charge was concentrated around $0^{\circ}$ and $180^{\circ}$ at 30 kV after the initial phase distribution localized around $90^{\circ}$ and $300^{\circ}$ expanded to the whole phase angle according to the voltage rise. The Euclidean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discharge charge in the ${\Phi}-q$ cluster increased with increasing applied voltage.

부분 해밍 거리의 순차적 분석을 통한 이진 특징 기술자의 고속 정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st Matching of Binary Feature Descriptors through Sequential Analysis of Partial Hamming Distances)

  • 박한훈;문광석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17-221
    • /
    • 2013
  • 최근, 이진 특징 기술자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진 특징 기술자의 정합은 비트 연산에 기반한 해밍거리를 이용하므로 실수 연산에 기반한 유클리디안 거리를 이용하는 기존의 일반적인 특징 기술자의 정합보다 훨씬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징 수의 증가는 정합 속도를 선형적으로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객체 추적과 같은 실시간 처리가 중요한 응용 분야에서는 이진 특징 기술자의 정합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해 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고차원의 이진 특징 기술자를 여러 저차원의 이진 특징 기술자로 나누어 부분 해밍거리를 계산하고 순차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정합 속도는 크게 개선하면서도 정확도는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존의 정합 방법들과의 비교 실험을 수행한다. 아울러, 제안된 고속화 방법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이진 특징 기술자 생성 방법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몇가지 생성 방법에 대한 성능을 분석함으로써,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한다.

Gabor wavelet과 신경망의 영역별 적용을 통한 얼굴 인식 (Face Recognition using Regional Gabor Wavelet and Neural Networks)

  • 최용준;이상현;정종률;최병욱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Ⅳ
    • /
    • pp.2020-2023
    • /
    • 2003
  • In this paper, our proposed system uses the regional Gabor wavelet and Neural Network to implement face recognition similar to human face recognition system, because the Gator wavelet expresses visual recognition system of human mathematically and the regional Neural Network is robust to white noise and partial illumination. This system consists of two stages of building database and recognizing face. One is composed by using the supervised learning of Neural Network. At this time, the Neural Network is applied to the upper and the lower part of face images respectively. The Backpropagation algorithm is used to learn Neural Network. Another consists of calibration of slope of face image, measurement of illumination variant using deviation with average face image and similarity comparison using Euclidean distance measure.

  • PDF

가려진 얼굴의 인식 (Recognition of Occluded Face)

  • 강현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682-689
    • /
    • 2019
  • 부분 기반 영상 표현(part-based image representation)에서는 영상의 부분적인 모습을 기저 벡터로 표현하고 기저 벡터의 선형 조합으로 영상을 분해하며, 이 때 기저 벡터의 계수가 곧 물체의 부분적인 특징을 의미하게 된다. 본 논문에는 부분 기반 영상 표현 기법인 비음수 행렬 분해(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NMF)를 이용하여 얼굴 영상을 표현하고 신경망 기법을 적용하여 가려진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을 제안한다. 표준 비음수 행렬 분해, 투영 경사 비음수 행렬 분해, 직교 비음수 행렬 분해를 이용하여 얼굴 영상을 표현하였고, 각 기법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인식기로는 학습벡터양자화 신경망을 사용하였으며, 인식기에서의 거리 척도로는 유클리디언 거리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전통적인 얼굴 인식 방법에 비하여 제안한 기법이 가려진 얼굴 인식에 보다 강인함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