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perboard box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9초

알긴산 코팅에 의한 골판지 상자 제조용 라이너 원지의 수분저항성 증진 (Improvement of Water Resistant Properties of a Linerboard for Corrugated Fiberboard Box by Coating with Na-alginate)

  • 김은정;임종환;김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62-766
    • /
    • 2006
  • 골판지 상자의 수분저항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골판지 상자 제조에 사용되는 라이너지의 표면을 알긴산으로 표면코팅을 하기 위한 최적 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농도, 가소제의 종류와 사용량, 알긴산의 불용화를 위한 다가 금속이온의 종류와 최적농도 및 침지시간 등을 결정하였다. 라이너지의 표면코팅을 위한 알긴산의 농도는 2.5%(w/w)가 적합하였으며, 가소제인 글리세롤은 알긴산 대비 35%의 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였고, 알긴산 필름의 불용화를 위해서는 2% $CaCl_2$ 용약을 사용하여 3분간 처리하는 것이 라이너지의 수분에 대한 저항성 증진에 최적조건을 결정되었다. 다가 금속이온으로 $CA^{2+}$ 이외에 $Cu^{2+}$를 사용했을 때 낮은 투습계수와 수분용해도를 나타냈다. 가소재의 종류에 따라서는 수분 흡습에 대한 저항성이 큰 솔비톨을 첨가 했을 때 라이너지의 수분저항성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

기능성 MA 포장재가 #후지# 사과의 신선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unctional MA Packaging Film on Freshness Extension of #Fuji# Apples)

  • 박형우;김동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0-84
    • /
    • 2000
  • 기능성 필름을 코팅한 골판지 상자에 사과를 저장하면서 품질유지 상태를 조사하고자 대조구로 기존에 유통 중인 골판지 상자와 두께 0.03, 0.05 mm의 LDPE필름(30LD와 50LD)과, 두께 0.03 mm, 0.05 mm의 기능성MA 필름을 골판지 상자에 코팅한(30CE와 50CE) 후 이 상자에 후지사과를 15 kg씩 포장하여 $5^{\circ}C$에 75일간 저장하면서 신선도 변화를 비교 연구하였다. 중량 감소는 저장 75일 후 대조구는 2.7%, LD와 CE 포장구들은 0.2~0.5% 감소했다. 경도는 대조구보다는 필름포장구들에서 변화가 적었고 LD보다는 CE 포장구에서 변화가 더 적게 나타났다. 비타민 C 함량은 초기의 3.67 mg%에서 대조구는 42%, LD 포장구들은 31~29%, CE 포장구들은 24~22%가 감소하였다. 산도 및 가용성 고형분의 경우 대조구가 필름포장구들에서 변화가 심했으며, 필름포장구들 중에서는 LD 포장구보다 CE 포장구에서 변화가 적게 나타났으며, 부패도 대조구보다는 LD와 CE 포장구에서 적게 나타났다.

  • PDF

Expanded Polystyrene Box로 포장한 후지 사과의 신선도 (Freshness Extension of 'Fuji' Apple Packed with Expanded Polystyrene Form Box)

  • 박형우;박종대;김동만;최주섭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7-52
    • /
    • 2000
  • 개발한 EPS 포장상자가 사과의 신선도 유지효과 기능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코자 사과를 포장하여 $20^{\circ}C$ 저장하면서 골판지상자와 0.02와 0.04mm 두께의 LDPE 필름, 기능성 MA필름과 50배로 발포시킨 EPS상자에 사과를 15kg씩 포장하여 포장재간의 신선도 유지효과를 비교하였다. 저장 40일 후 중량감소는 대조구는 5.7%, EPS 상자는 0.5%의 중량감소가 나타났고, 비타민C도 2.06과 2.31 mg%로 EPS 포장구가 높게 유지되고 있었다. 당도와 산도는 포장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부패의 경우 대조구는 상자당 3-5개과가 발생했으나 EPS포장구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외관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포장재가 의취청의 오이의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ckaging Films on Quality of 의Chuichung의 Cucumbers during Storage)

  • 박형우;김동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48-251
    • /
    • 2000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ckaging films (functional MA films/FC30, FC50, MA film/0.03 mm LDPE, corrugated paperboard box/control) weight loss, firmness, total ascorbic acid, chlorophill and overall appearence were evaluated. Weight loss of cucumbers packed with FC30 and FC50 at 2$0^{\circ}C$ after 7 days were 1.0 and 0.6%, that of the control was 2.9%, those of LDPE was 0.5%. The firmness of FC30 and FC50 at 2 $0^{\circ}C$ after 7 days were 1.0 and 0.6%, that of the control was 2.9%, those of LDPE was 0.5%. The firmness of FC30-, FC50 and L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otal ascorbic acid contents (TAA) of cucumbers packed with control, LD, FC30 and FC50 box were 9.96, 10.86, 11.37 and 11.29 mg% after 7 days. TAA of FC box was 10%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Chlorophill content of FC boxes wase 16% higher than of the control. Overall appearence of cucumber packed with FC boxes was better than that of the control.

  • PDF

종이성형구조물의 휨강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 for Flexural Stiffness of Paperboard-stacked Structure)

  • 박종민;이명훈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7-23
    • /
    • 1999
  • Top-to-bottom compression strength of corrugated fiberboard boxes is partly dependent on the load-carrying ability of the central panel areas. The ability of these central areas to resist bending under load will increase the stacking strength of the box. The difference of box compression strengths, among boxes which are made with identical dimensions and fabricated with same components but different flute sizes, is primarily due to difference of the flexural stiffness of the box panels. Top-to-bottom compression strength of a box is accurately predicted by flexural stiffness measurements and the edge crush test of the combined boards. This study was rallied out to analyze the flexural stiffness, maximum bending force and maximum deflection for various corrugated fiber-boards by experimental investig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chine direction (MD) and the cross-machine direction (CD) of corrugated fiberboards tested. It was about 50% in SW and DW, and $62%{\sim}74%$ in dual-medium corrugated fiberboards(e.g. DM, DMA and DMB),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maximum deflection in machine direction among the tested fiberboards but, in cross direction, DM showed the highest value and followed by SW, DMA, DMB and DW in order. For the corrugated fiberboards tested, flexural stiffness in machine direction is about $29%{\sim}48%$ larger than cross direction, and difference of flexural stiffness between the two direction is the lowest in DMA and DMB.

  • PDF

국내 절화류의 유통 및 포장 실태조사 (A Study on Distribution and Packaging Status of Korean Cut Flowers)

  • 박형우;김동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02-405
    • /
    • 1999
  • 국내 절화류의 포장 및 유통실태를 조사하고자 부산, 광주, 제주, 충남 및 경기지역을 1997년 10월부터 1998년 2월까지 산지 및 시장을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절화류의 외포장재로는 이중양면 골판지가 주종을 이루고 있었으며 품목별 상자보다는 범용성 상자가 더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내부포장재로는 재활용 신문지와 폴리에칠렌 필름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유통실태는 절화시장에서 도소매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유통경로는 3가지가 있었는데; 가장 많은 형태가 생산자 $\longrightarrow$ 서울위탁시장을 거쳐 소비자에 이르는 경로로 출하비중은 약 42%에 이른다. 또한, 생산자 $\longrightarrow$ 양재동 화훼공판장 $\longrightarrow$ 도.소매상 $\longrightarrow$ 소비자 경로의 출하비중은 약 18%, 나머지 40%는 생산자 $\longrightarrow$ 산지직.공판장 및 지방위탁시장 $\longrightarrow$ 도ㆍ소매상 $\longrightarrow$ 소비자의 경로였다. 절화류의 유통현대화를 위해서는 규격포장을 사용하여 출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농산물 유통과정에서 복숭아의 품질유지를 위한 마스터 포장 시스템 (A Master Packaging System for Preserving Qualities of Peaches in the Fresh Produce Supply Chain)

  • 정미진;안덕순;박우포;이동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10
    • /
    • 2013
  • 신선 농산물 공급체인에서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신선한 복숭아를 공급할 수 있는 통합적 마스터 포장 시스템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마스터 포장 시스템은 $35{\mu}m$ 두께의 LDPE 필름 bag에 6개의 300 g 낱개 복숭아의 $30{\mu}m$ OPP 개별포장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개별포장에 직경 $59{\mu}m$의 미세공을 1, 3, 7개로 두는 변수조건을 두어서 $5^{\circ}C$의 저온단계 저장과 $20^{\circ}C$의 유통판매단계에서 포장기체조성과 품질변화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5^{\circ}C$에서 일정기간 저장한 마스터 포장은 해체하여 $20^{\circ}C$ 조건으로 옮겨서 3일간 보관하는 조건으로 실험하였다. 대조구로서 필름에 싸지 않고 골판지 상자에 복숭아를 6개씩 담아서 같은 온도조건에서 보관하였다. 7개 미세공을 가진 포장이 $5^{\circ}C$의 저온단계 저장과 $20^{\circ}C$의 유통판매단계에서 6~10%의 $O_2$ 농도와 11~19% $CO_2$ 농도를 유지시켜 가장 적정 MA 조건에 가까운 기체조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보다 작은 미세공을 가진 포장은 일련의 연속적인 저장에서 혐기적인 조건을 유발하였다. 대조구와 비교하여 마스터 포장의 모든 처리구는 낮은 중량손실과 양호한 경도 유지를 보여주었다.

  • PDF

에틸렌 가스 흡착 기능성 골판지 제조를 위한 기초연구 (Study on the Manufacture of Ethylene Gas Absorbing Corrugated Board)

  • 이지영;김철환;김은혜;박태웅;최재성
    • 펄프종이기술
    • /
    • 제48권2호
    • /
    • pp.20-27
    • /
    • 2016
  • Ethylene gas is a natural hormone that directly affects the freshness of agricultural products, so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maintenance of freshness to remove ethylene gas from corrugated board boxes. Many methods for the removal of this and other gases have been reported. In this study, the utilization of an absorbent using activated carbon was adopted for the removal of ethylene gas from a corrugated board box. Activated carbon powders were prepared by grinding in a laboratory and were used to treat the surface and to laminate paperboards with a starch solution. The ethylene gas absorption was evaluated by using a gas chromatography to measure the residual ethylene gas concentration. About 60% of the ethylene gas was absorbed by the activated carbon itself. However, the paperboards that were surface-treated and laminated with starch and activated carbon showed lower than 20% ethylene gas absorption. This was because the starch and smaller particles of activated carbon blocked the surface pores of activated carbon particles. Therefore, either the use of the binders must be minimized for the surface treatment of paperboards, or activated carbon packs can be used as absorbents in corrugated boxes.

기능성 MA 필름으로 포장한 이집트산 토마토의 신선도 (Freshness of Tomatoes Cultivated in Egypt by Packaging Functional MA film)

  • 박형우;김상희;차환수;김윤호;이선아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1-44
    • /
    • 2006
  • 이집트에서 생산되는 토마토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 기능성 MA 필름을 사용하여 박스단위(10 kg)로 포장하여 상온에서 7일간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저장 7일후 중량 감모율은 MA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50% 정도 중량 감소가 적었으며, 적정산도와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 역시 저장기간 동안 MA구에서 높게 유지되고 있었다. 비타민 C의 변화는 필름 포장구인 MA구에서 그 변화 정도가 대조구에 비해 적게 나타나 이집트산 토마토의 품질유지를 위해 기능성 MA 포장재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식품 포장재로서 재활용 및 비재활용 종이 상자의 안전성 분석 (Evaluating Safety of Recycled and Non-recycled Paper-based Box for Food Packaging)

  • 오정민;신소향;권상조;조아름;김성진;이윤정;조헌주;한재준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8권1_2호
    • /
    • pp.27-3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식품포장재로 이용되는 재활용 및 비재활용 종이류가 안전한지를 평가하기 위해 식품공전 규격에 준하여 실험하였다. 식품포장재 중에서도 피자상자를 선택하였는데, 이는 피자가 고온에서 조리되어 포장되며 다량의 기름 성분을 함유하여 오염물질이 이행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식품공전에서는 PCBs, 납, 카드뮴, 수은, 6가크롬, 비소, 포름알데히드 및 형광증백제의 허용 잔존농도를 정하여 식품포장재로 이용되는 종이류에 잔존하는 유해물질을 규제하고 있다. PCBs의 여섯개의 표준품과 모든 시료의 피크가 일치하지 않았으므로 피자상자에는 PCBs가 잔존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카드뮴, 수은, 6가크롬에 대한 재질규격 평가를 위한 분석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비소와 납은 모든 시료에서 기준치의 10배 이하의 양이 검출되어 식품포장재로 사용되었을 때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포름알데히드는 모든 시료에서 기준치보다 낮은 농도로 검출되었지만 잉크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표면에서 미량이지만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형광증백제는 비재활용 종이 소재의 상자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상자 내 피자 포장 유무나 잉크의 함량 정도에 상관없이 재생용지로 만들어진 상자 시료에서는 형광증백제가 검출되었다. 형광증백제는 불검출이 기준이므로 포함된 재활용지를 식품 포장으로 이용할 때는 식품과의 직접 접촉을 피하기 위해 중간에 안전성이 입증된 간지 등을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최종 식품의 안전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