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per furniture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24초

예산 예림지구 출토 목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 분석 (Identification of Species and Tree-Ring Dating for Coffin Woods Excavated at Yerim Site in Yesan, Chungnam, Korea)

  • 손병화;이인동;박원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6-13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pecies and tree-ring dates of coffin woods excavated at Yerim site in Yesan, Chungnam, Korea. We sampled 12 pieces of woods from two coffins. The species of all coffin woods were identified as red pine group, most likely, $Pinus$ $densiflora$. The last rings of both coffins were dated A.D. 1557 and A.D. 1601, respectively. The tree-ring dates indicated that the coffins were made in the late 16th and early 17th century.

  • PDF

목공예품의 이미지 제공 및 수종분석 (IV) - 문구류를 중심으로 - (Image Support and Wood Identification of Wood Crafts (IV) - Focusing on Stationery articles -)

  • 김사익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33-247
    • /
    • 2017
  • Woodcraft activities have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our daily life, and it is a field that needs to be continued because of the value of education for the growing students. The interest in woodworking from childhood to old age is rapidly expanding nowadays, therefore this study has been done to provide images to those who are engaged in woodcraft business and also those who are interested in this field. If we look at the use of wood in our daily life, We can classify it into Architecture, Civil engineering, Furniture, Musical Instrument, Packaging, Recreational instrument, Exercise instrument, Stationery, Daily commodity, and Industrial use. Among them, We examined kinds of stationery and which type of woods were used. As a result of classifying 101 stationery products in 22 countries, stationery materials using wood can be used for Business cards, Envelope houses, Box houses, Pen holders, Locker plates, Stationery baskets, Book holders, Stamps, Paper knives, Bookmarks, and Photo frames. It was found various wooden stationery are made in USA, Japan, UK, Canada etc.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species are hardwoods such as Walnut (Juglans regia), Maple (Acer spp.), Cherry (Prunus serotina), Birch (Betula spp.), Mahogany (Swietenia macrophylla), Tulip (Liriodendron tulipifera Linnaeus), Bubinga (Guibourtia tessmannii J. Leonard), Wenge (Milletia laurentii De. wild), Cocobolo (Dallbergia cultrata Grah), Zebrawood (Microberlinia brazzavillensis A. Chev.) and Ebony (Diospyros spp.).

증강현실 기반 가구 및 가전제품 배치 시스템 구현 (Arrangement system implementation for furniture and home appliances based on Augmented Reality)

  • 임태훈;김영태;양재혁;유진우;신동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11-814
    • /
    • 2009
  • 인터넷의 발달로 가격 경쟁력을 갖춘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반면, 가구 및 가전제품의 경우 크기 및 실내 인테리어와의 조화를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어 전자상거래를 통한 구매율은 증가하지 못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동작인식 영상처리를 통해 물품구매 전 가상으로 물품 배치를 하여 실내 인테리어와의 조화를 확인해 볼 수 있는 가구 및 가전제품 배치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죽세장식타일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amboo Decorating Tiles)

  • 조규춘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117-126
    • /
    • 2001
  • 대나무의 시대적 사상 의미를 재분석하여 21C 문화산업 시대에 천연 소재로서 새로운 의미와 환경친화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대나무의 잠재유효성과 함께 미래 죽재산업과 죽세공예의 발전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죽매합판 및 대나무 모양지가 개발됨에 따라 지역 직능별 기술제휴로 시장 활성화를 꾀하고, 고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죽세장식타일을 개발하였다. 대나무 수종과 특성, 원자재 가공 및 표현 방법을 고찰하였고 급변하는 기술로 전통 기능과의 접목 표현상 기술(記述)적 오류를 재 규명하였으며, 죽재합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국내외 응용 개발 사례를 분석하였다. 죽세장식 타일은 대나무 모양지를 바탕으로 한 가구문(door)장식과 실내장식용으로 개발하였다. 문양 디자인은 한국 전통 문양으로 십장생의 장수, 새천년을 의미한 거북, 학, 사슴을 단순하게 패턴화하여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으며, 해, 산 시리즈는 대쪽의 바림 효과를 통한 빛살 이미지와 죽재질의 효과를 극대화했다. 卍 문양은 우주의 신비, 불교시찰 의미와 함께 전통 조각보완 칠교판 놀이, 아리랑 등의 이미지를 총합하여 한국 문양으로 장식성을 높였다. 죽세장식타일은 본 연구자의 20여 년 간 죽세가공 기술경험 축척과 담양 죽물공예단지 설비 및 가구 제작업체의 공조하에 이루어졌다. 현재 원자재 가공은 현지(담양) 설비를 이용하고 있으며, 시제품 개발과 함께 대학 내 디자인 벤처 '조선대방'에서 제작 납품하고 있다. 개발 제품은 가구 업체 주문에 의해 가구문에 장식되어 시판 중에 있다.

  • PDF

Species of Korean Furniture in the Late Choseon Dynasty (I)

  • Song, Ji-Ae;Park, Won-Kyu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86-498
    • /
    • 2010
  •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후기 조선시대 (주로 19세기) 목가구 82점에 사용된 수종을 목재해부학적으로 식별한 결과, 총 22종의 수종이 나왔다. 침엽수는 소나무류, 잣나무류, 전나무속, 은행나무, 가문비나무속, 비자나무, 편백나무속, 외래산소나무로 8종이 분석되었으며, 활엽수는 느티나무, 피나무속, 오동나무속, 오리나무속, 참죽나무, 가래나무속, 감나무속, 배나무속, 자작나무속, 밤나무속, 사시나무속, 느릅나무속, 음나무 등 13종이, 그리고 외떡잎식물로 대나무 1종이 확인되었다. 수종의 점유율로 보면 소나무류(43%), 느티나무(9%), 오동나무속(7%), 피나무속(7%) 순이었다. 한 수종만 쓰인 가구가 37점(45%)으로 가장 많았으며 최대 6수종까지 한 가구를 제작하는데 사용되었다. 지역별 반닫이에 사용된 수종의 특징을 조사한 결과, 북부지방에서 제작된 반닫이는 피나무속과 소나무류가, 중남부지역에서 제작된 반닫이는 모두 공통적으로 소나무류와 느티나무가 사용되었다. 부재 용도에 따라 골재와 판재에는 소나무류, 느티나무, 참죽나무 등 대체로 단단하고 강도가 강한 목재가, 그리고 화장재로는 아름다운 무늬를 가지거나 독특한 재색을 가지거나, 가공하기 용이한 산공재 등 다양한 수종이 사용되었다. 서랍재의 재료는 가볍고, 변형이 적어야 하므로 비중이 낮고, 변형률이 적은 오동나무속 또는 피나무속이 사용되었다. 황해도 반닫이와 박천 반닫이에는 추운 지역에서 자라는 피나무속이 사용되어 산지가 북한임이 제시되었다.

  • PDF

공공 지역 특성화 펜스 디자인 시뮤레이션 -서울시 문화의 거리를 중심으로- (Public Area Characterized Fence Designing Simulation -Cultural Street in Seoul-)

  • 이대우;문대성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07-316
    • /
    • 2009
  • Seoul, the capital of Korea, is worldwide city; Seoul is 600 year-old city as a capital and more than 10 millions of population live in Seoul, Image of Seoul has began to be known to the peoples in the world through 1988 Seoul Olympic Games and 2002 World Cup. However, in the public design and trees lining street system, Seoul hasn't been escaped from the image of a city which lacks of the characterization in the culture and identity aspects. This paper applied a protective fence designing simulation for Cultural Street in Seoul to develop much more the identity of Seoul and characterization of local culture. Also, It's examined and analyzed R&D data, and applied traditional patterns to design to set developmental capacity of design and a direction of fence design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t's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 of domestic manufacturers and examples for installation, selected randomly 7 places of domestic cultural places as an alternative to compare the previous design to the present design with 3D design and photos composing method, and developed the related situation. Also, It's visualized this method to let the citizens and all levels of society determine the design. besides that, developed the traditional patterns to apply the patterns to the desig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each region and characteristic of each road. It's suggested this fence design to apply the image of advanced Korea and Seoul as a creative cultural city, and the international status of Korea and Seoul to the trees on the historical and traditional street. Also, put an importance to bring the identity of Seoul and Korea in the world into relief.

  • PDF

호장줄을 이용한 가구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urniture Making based on Hojangjul)

  • 김동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289-303
    • /
    • 2019
  • 호장줄을 이용한 가구 제작에 관한 연구는 전통가구 제작의 문목의 문양을 돋보이게 하는 시문기법의 하나로 임진왜란 이후 통영의 12공방의 하나인 소목방에서 시문기법으로 사용한 호장줄기법을 고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 59호로 지정되었던 천상원으로 전승되어 오면서 삼호장, 오호장, 성퇴뇌문, 홑귀뇌문, 겹귀뇌문으로 발전되면서 해상을 통해 마산, 울산, 광양 등지로 전파되고 육로로 내륙으로 전파되면서 다양한 문양과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지역의 통영, 마산, 울산과 전라지역의 광양, 동복의 소목가구에 시문된 호장줄의 제작 기법 및 특징에 대하여 조사 연구하여 점차 소멸되어가는 전통 기법의 재조명을 통하여 전통기법에 대한 전승과 계승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중국 청나라 화병도자 기형을 적용한 옻칠 조형가구디자인 (A Design of Ottchil Molded Furniture with Chinese Qing Dynasty Ceramic Vase)

  • 추완려;김정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353-360
    • /
    • 2019
  • 청나라 화병의 형태를 활용한 옻칠 조형 가구 디자인 개발 논문은 중국 도자 역사상 가장 탁월하게 발달하였던 청나라시대 화병도자 기형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그 시대 화병도자기의 기본형을 찾고 화병에서 나타난 화병 자체의 형태를 응용하여 칠기작품 디자인의 조형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청나라시대의 화병에 나타난 조형요소 중 형태에 주안점을 두고, 그 형태의 종류를 분석하고, 사용된 재료의 조사와 각종 문헌을 통하여 중국 청나라시대 병도자기의 형태를 고찰한다. 중국 청나라 화병도자 기형을 실험에 의해 나온 자료를 기본으로 하여 옻칠 제작법 중에서 협저탈태칠기로 적용하여 앉는 가구를 디자인 한다. 이번 옻칠 조형가구 제작과 연구를 통하여 만들어진 결과물이 옻칠과 가구디자인의 결합에 새로운 학문적인 체계 구축과 오늘날 옻칠가구에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새로운 조형사고와 신 조형기술을 발전시키는데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한지 슬러시-목재 섬유 또는 목재 파티클 복합재의 인장강도 (Tensile Strength of Composites from Hanji(Korean paper) Sludge Mixed with Wood Fiber or Pariticle)

  • 이필우;손정일;이영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1-56
    • /
    • 1999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Hanji sludge(black color)-wood fiber and wood particle composited applied by waste sludges arising from the making process of Hanji (Korea paper). In experimental design, four levels of the mixed ratio of Hanji sludge to wood fiber or wood particle(10:90, 20:80, 30:70 and 40:60), three kinds of the resin(PMDI, urea and phenol resin)and three kinds of the specific gravity(0.6, 0.75 and 0.9) were designed to determine the tensile strength of Hanji sludge-wood fiber and wood particle composites.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 it may be concluded as follows: In Hanji sludge-wood fiber and wood particle composites, tensile strengths showed decreasing tendency absolutely by increasing Hanji sludge additive, but clearly increase with the increase of specific gravity. In Hanji sludge-wood fiber composite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PMDI and urea resin-bonded composites, but phenol resin-boned composites were made possibly until the addition of 30% Hanji sludge. On the other hand, Hnji sludge-wood particle composites(SpGr=0.6) have very low tensile strength values. But they were made favorably until the addition of 20% Hanji sludge in Hanji sludge-wood particle composites(SpGr=0.9).

  • PDF

지역 이미지의 상징성 표현을 위한 가로환경시설물 디자인 개발 연구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를 중심으로 - (Street furniture design for the symbolic expression of regional impression - Focusing on the Sam-san street in Ulsan city -)

  • 김도경;임창빈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63-7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민의 일상체험의 장인 가로공간을 대상으로 대상지역 가로경관의 역사적, 문화적 특성을 제고한 상징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한 지역의 정체성을 명확히 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이미지의 상징성과 미래지향적 가로의 이미지를 가로환경시설물에 적용함으로써 지역의 상징성을 표현하고 개성 있는 거리로 새롭게 인식시켜 활력 있는 가로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상징가로 환경조성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실제적인 디자인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특성화된 지역문화를 활성화하는데도 그 목적 이 있다. 상징가로의 디자인 접근방법으로 역사적 요소가 상실되고 도시화(신도시)가 이루어진 가로를 대상으로 지역의 상징적 이미지를 현재의 지역이미지와 미래지향적 이미지로 추출하였다. 이미지 평가실험을 통해 추출된 상징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미래지향적인 가로의 상징도구로 가로환경시설물을 이용하여 지역의 가로를 특성화하였다. 가로환경시설물의 디자인에 상징이미지를 적용하여 타 지역과 차별화된 가로를 형성하고 지역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확립함으로써 지역민의 소속감, 자부심과 애향심을 심어주는데 도움을 주고, 공공기관에서 지금까지의 연구내용과 연관된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고자 할 때, 본 연구가 상징성 추출에 있어서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였음에 그 의의를 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