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ansori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5초

The effect of Ssukdaemeori on depression: A heartrending song of sorrow, Han Ak (Korean music, 韓樂) is wetting on YouTube sung by Bang-ul, Im (https://youtu.be/IFzFeJcVLp4)

  • Ko, Kyung-Ja;Kim, Ji-Youn
    • 셀메드
    • /
    • 제6권4호
    • /
    • pp.25.1-25.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sukdaemeori of Chunhyangga may have effect on depression for music therapy. Ssukdaemeori of Chunhyangga, one of the five surviving stories of pansori (a long epic song), is a touching, sad song in Han Ak (Korean music, 韓樂). In this paper, the author reports on the very sad song, Ssukdaemeori. While listening to the song, Koreans feel the same amount of despair when Ssudaemeori's heroine, Chunhyang, cries out in hopelessness and grief. The author argues that Koreans get to see the saddest parts of themselves reflected back at them in the sorrowful sight of the heroine. It is also believed that Ssukdaemeori has contributed to the healing of Koreans' indignation and pain. For example, depression is currently a social problem. However, listening to sorrowful music like Ssukdaemeori can have a good effect on people feeling sad and depresse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INGING VOICE: A PRELIMINARY REPORT

  • Moon, Seung-Jae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6년도 10월 학술대회지
    • /
    • pp.367-371
    • /
    • 1996
  • Most Koreans agree that Korean traditional singing voice has a very peculiar sound comparing to Western singing voic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inging voice called 'Pansori' Materials are analyzed from 3male professional singers and 4 female professional singers. Their singing was compared with their own conversation and other non-singers' conversation. Long term average spectra indicated that all the singers showed a much less spectral tilt than non-singers. The phenomenon was prevailing for professional singers not only in their singing, but also in their conversation. This suggests that it is not the result of a temporary effort but it may involve a certain permanent change in their physiological configuration. (To assess this hypothesis, voice source should be looked at directly. Therefore, in further research, using Rothenberg mask (Rothenberg, 1973) is strongly recommended.) In addition to LTA, individual vowel formants will be studied later.

  • PDF

음성시각기를 이용한 판소리의 채보연구 (The Study of Transcription for Korean Traditional Song 'Pansori' Using Computer Implemented Speech Analysis System)

  • 박형순;이화동;임미선;김현기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2003년도 제19회 학술대회
    • /
    • pp.138-138
    • /
    • 2003
  • 판소리는 극적인 어느 한 줄거리의 이야기를 창자와 고수가 같이 하여 소리 아니리 발림 등으로 표현하여 청중을 웃기고 울리는 공연적인 성악곡이다. 판소리의 예술세계에서 가장 깊은 내면세계와 미학적인 접근을 위해서는 음악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하지만 음악적 기록이 전무한 판소리의 음악적 연구는 실제 소리의 채보에 의한 분석 연구가 필요한데 그 첫 장벽인 채보의 방법론적 검토가 없이 이루어진 주관적인 작업은 보편적인 설득력을 얻기에 부족하다. 우리나라의 전통음악은 전승방법이 서양음악과 달라서 음악의 기준이 되는 악보로써 전승되지 않고 구전으로 이어져 왔다. 따라서 채보에 대한 방법론적 연구는 판소리 뿐만 아니라 산조, 민요 가곡 등 구전으로 전통을 이어온 우리나라 전통 음악을 기술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중략)

  • PDF

1990년대(年代) 이후(以後) 한국(韓國) 서양여성복(西洋女性服)에 표현(表現)된 '자유분방(自由奔放)함'의 미(美) (The Freewheeling Beauty Expressed in the Western Women's Costumes of Korea Since 1990)

  • 이효진
    • 패션비즈니스
    • /
    • 제5권1호
    • /
    • pp.35-5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freewheeling beauty inhering in the Korean western costumes, traditionally the freewheeling beauty has been the root of Korean beauty expressed in the Korean feeling. First, the theoritical inquiry for this study was processed to understand formativeness of the Korean popular arts, folk painting, pottery, pansori(dramatic song), masked dance. The results of the theorit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the korean beauty inherited in the Korean popular arts, was represented plastic words as good-humor, unsophisticated, homely, plainness, simplicity, artless, unartificial, crudely etc, the freewheeling beauty implied the beauty of good-humor, the beauty of naivety. In conclusion, the creative Korean beauty reflected in the western costumes by Korean designers was derived from freewheel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feeling. After this study, I came to conclusion that it‘s very important to recover, reperceive, revaluate the inner meanings inherited Korean western costumes.

  • PDF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판소리 마디추정 ("Pansori" Joint Assumption using Neural Network)

  • 박근호;서경숙;이준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75-97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판소리 자동채보에 중요한 요소인 '합'과 '궁'의 위치 즉 마디를 인공신경망과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추정한다. 기존의 합과 궁을 추정하는 방법으로는 NCC(Normalized Cross Correlation)를 이용한 대표치 추정 윈도우와 칼만 필터를 이용하였다. 하지만 대표치 추정 윈도우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15개의 특징벡터 각각의 평균을 이용하기 때문에 분별력이 떨어지고, 마디위치를 보정하는 과정에서 칼만 필터를 사용하면 전체음원이 길이가 짧을 경우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마디 추정 알고리즘은 장단별로 최대 90%이상의 정확도로 마디를 추정할 수 있다.

노랫말에 나타난 한국인의 음풍경 인식 조사 연구 (Study on Korean's recognition of soundscape reflected on the songs)

  • 신훈;국찬;장길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802-805
    • /
    • 2004
  • It is requur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ound and cultural background of target spaces for soundscap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general soundscape preserved in the mind of Korean people. Four kinds of traditional Korean songs, that is to say, Sijo (Korean verse), folk-song, Pansori (song for drama by Chang reciter), and popular songs, were used as tools of research subjects. That is because the sounds expressed in literature are very useful subjects for soundscape survey. Paragraphs containing description of sounds were selected from the lyrics of the songs. Then 11 sound categories were named, and 13 meaning categor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referential and emotional aspects, respectively.

  • PDF

실전 판소리의 재탄생 연구 -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rebirth from a lost pansori : An aspect of a changgeuk )

  • 이소정
    • 공연문화연구
    • /
    • 제33호
    • /
    • pp.59-95
    • /
    • 2016
  • 본 논문은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마담 옹(Madame Ong)>이라는 제목으로 그 작품성을 인정받은 국립창극단의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를 통해 실전판소리가 어떻게 새롭게 재탄생되었는지, 그 과정에 주목하여 이 작품의 텍스트와 음악적 특징을 분석해보았다.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현재에는 실전된 판소리 <변강쇠가>를 각색하여 창극으로 만든 작품이다. 이 과정에서 변강쇠의 치상부분인 후반부의 내용을 삭제하고, 옹녀가 변강쇠를 되찾아오기 위해 장승들과 전쟁을 벌이는 내용을 새롭게 삽입하여 텍스트의 변화를 주었다. 또한 <변강쇠 점찍고 옹녀>라는 제목에서도 드러나듯, 원작과는 다른 관점으로 변강쇠가 아닌 옹녀를 주인공으로 삼아 그동안 음녀로만 여겨졌던 옹녀를 자신의 운명에 맞서 싸우는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여인으로 변모시켰다.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모든 소리가 작창으로 만들어졌는데, 극과 가장 부합되는 소리, 즉 이면에 맞는 소리를 표현하기 위해 창자간의 화음을 넣는 등,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졌다. 또한 소리를 하는 인물 혹은 등장인물의 심경 변화에 따라 그 소리의 조와 성음이 달리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특히 반주음악에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는데, 소리북을 여러 개 사용하거나 대중가요에서 왈츠, 클래식, 각도민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사용하는 등 도전적인 시도를 했다. 이러한 시도들은 극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고 사실감 있는 극적표현을 도와주었다. 이렇듯,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고전서사를 차용했지만, 음악적인 측면에서는 기존의 창극에서 벗어난 다양한 변화와 시도들을 통해, 온고지신의 면모를 갖춘 새로운 창극의 모습을 보여주었고, 현대 사회에서 창극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해 준 작품이다.

공연예술축제 프로그램에 대한 소고 - <2017전주세계소리축제>를 중심으로 - (The Review of Musical Programs in Performing Art Festival - Focus on <2017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

  • 노복순
    • 공연문화연구
    • /
    • 제37호
    • /
    • pp.95-125
    • /
    • 2018
  • 2000년을 전후하여 지자제가 정착되면서 지역에서 크고 작은 수많은 축제들이 우후죽순으로 개최되고 있는데 해당 축제의 정체성과 목적성을 프로그램에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고는 <2017전주세계소리축제>를 지역의 공연예술축제에서 성공한 사례로 보고 그 특성과 지향을 살펴 향후 공연예술축제의 발전 방향에 도움이 되고자 집필하였다. 특히 음악프로그램에 집중하여 축제의 정체성과 기획 의도를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구성과 내용, 의미와 지향점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무엇보다도 <2017전주세계소리축제>의 가장 큰 성과는 지역의 문화자원인 판소리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여 축제의 정체성을 실현하였을 뿐만 아니라 마니아와 대중들의 눈높이를 만족시켰다는 점이다. <2017전주세계소리축제>가 공연예술프로그램을 통해 구현해낸 특성은 다섯 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전통음악의 새로운 이미지 만들기, 둘째, 문화적 소통을 위한 탈경계화의 욕구, 셋째, 신진예술가와 지역예술가들을 위한 무대 제공, 넷째, 대중 소환의 매개체, 다섯째, 미래 잠재 관객의 스펙트럼 확장에 기여한 것으로 본다. 본고는 <2017전주세계소리축제>라는 단일 행사만을 제한적으로 분석하여 공연예술축제의 표본 모델화로 다루는 데는 한계가 있다. 추후 다양한 공연예술축제를 연구하여 <전주세계소리축제>와 비교 분석을 통해 보다 객관적인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스토리텔링에 의한 판소리 발레극 '도깨바! 도깨바!'의 무대의상 연구 (A Study on the Stage Costume of Pansori Ballet Theater 'Dokkaeba! Dokkaeba!' Based on Storytelling)

  • 유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399-406
    • /
    • 2023
  • 본 연구의 배경은 한류의 확산으로 주목되는 공연 콘텐츠 개발에 있어서 전통 소재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으며 창작과정에서 스토리텔링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판소리 발레극 '도깨바! 도깨바!'의 공연창작 과정에 스토리텔링을 도입함으로써 나타나는 차별화된 무대의상 디자인을 살펴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안무가, 작가, 의상 디자이너가 작품 기획부터 작품 내용 창작까지 스토리텔링 과정에 공동으로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로 한국적 도깨비는 초월적인 힘을 가진 신적 존재이면서 동시에 인간이나 사물의 모습으로도 나타나는 일상적이고 친근한 존재로 정의되었다. 그리고 공동으로 창작한 시나리오에 따라서 디자인 된 무대 의상은 기존의 공연에서 뿔이나 장식으로 표현하던 '귀면와'나 '오니'를 연상시킬 수 있는 도깨비의 모습을 지양하고, 퓨전한복과 다양한 조형적인 장신구, 색채 대비를 통한 모던 창작 의상, 질감에 의한 간접적인 사물에 빙의한 도깨비 캐릭터 표현, 일상복 착장 등으로 인간화 된 도깨비를 표현함으로써 차별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도깨비를 주제로 한 새로운 공연 콘텐츠 제작에 기여하고 무대의상 디자인의 다양한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서양식 성악발성법의 의학적 이해 (Understanding of the Western Classical Singing in Medical Point of View)

  • 최홍식;홍현준;염용혁;남도현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6-110
    • /
    • 2011
  • Western classical singing voic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pop song singer's singing voices as well as traditional Korean singing such as Pansori. We anlalysed the singing voices from three different categories with using free application programs available at the usual smart phones : sound level meter and Spectral View Analyzer and fiberoptic rhinolaryngoscopic evaluation. The intensity of voice produced by a classical western singer was 11 dB louder than that produced by a pop song singer. Source sound, glottic sound, as well as harmonic sound and singing resonant sound (Singer's formant) are much more prominent. When evaluated under video-rhinolaryngoscopy during singing, the resonance cavity especially oropharyngeal cavity and hypopharyngeal cavity are widely opened during singing of the western classical singer than those of the traditional Korean singer's singing. Difference of singing methods including producing the glottal sound, respiration and resonance are discussed. Possible explanation of development of 'Singer's Formant' is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