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rebirth from a lost pansori : An aspect of a changgeuk

실전 판소리의 재탄생 연구 -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6.07.10
  • Accepted : 2016.08.05
  • Published : 2016.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ext and musical characteristic of , a changgeuk (a Korean traditional opera), by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which was performed overseas with the title of and recognized its artistic values home and abroad alike, focusing on the process of its rebirth from a lost pansori. A changgeuk was dramatized from a lost pansori into a Korean traditional opera. In the process of rebirth of , the content of latter half, which is the performance of a funeral service for the deceased Byeongangsoe, was deleted, and the contents of Ongnyeo's fight against jangseungs in order to take back Byeongangsoe was newly inserted, thus creating textual changes. In addition, as the title presents, Ongnyeo is no longer a conventional lewd woman, but a subjective and independent female who is fighting against fate, different from its original perspective in which the leading character is Byeongangsoe. All the sounds of a changgeuk were made by the creative technique of traditional Korean songs through various attempts, such as inserting chords between performers in order to present most appropriate songs for the opera, namely proper sounds for the hidden side of the oper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mind of performers or characters, the tone and vocal sound of the song were different. In particular, a changgeuk attempted a variety of techniques in the accompaniment of music, and used many sound buks or diverse genres such as popular music, waltz, classic and folk songs of every province, thus presenting challenging attempts. These attempts made the opera more abundant and helped it to be expressed realistically and dramatically. As above, the contents of a changgeuk were borrowed from classical narrations, but its musical aspects got off the technique of traditional changgeuk, thus attempting various changes and techniques. In this vein, it presented a novel modality of changgeuk equiping with the characteristic of 'reviewing the old and learning the new,' thus proposing the directivity and possibility of changgeuk in the present society.

본 논문은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마담 옹(Madame Ong)>이라는 제목으로 그 작품성을 인정받은 국립창극단의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를 통해 실전판소리가 어떻게 새롭게 재탄생되었는지, 그 과정에 주목하여 이 작품의 텍스트와 음악적 특징을 분석해보았다.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현재에는 실전된 판소리 <변강쇠가>를 각색하여 창극으로 만든 작품이다. 이 과정에서 변강쇠의 치상부분인 후반부의 내용을 삭제하고, 옹녀가 변강쇠를 되찾아오기 위해 장승들과 전쟁을 벌이는 내용을 새롭게 삽입하여 텍스트의 변화를 주었다. 또한 <변강쇠 점찍고 옹녀>라는 제목에서도 드러나듯, 원작과는 다른 관점으로 변강쇠가 아닌 옹녀를 주인공으로 삼아 그동안 음녀로만 여겨졌던 옹녀를 자신의 운명에 맞서 싸우는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여인으로 변모시켰다.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모든 소리가 작창으로 만들어졌는데, 극과 가장 부합되는 소리, 즉 이면에 맞는 소리를 표현하기 위해 창자간의 화음을 넣는 등,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졌다. 또한 소리를 하는 인물 혹은 등장인물의 심경 변화에 따라 그 소리의 조와 성음이 달리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특히 반주음악에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는데, 소리북을 여러 개 사용하거나 대중가요에서 왈츠, 클래식, 각도민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사용하는 등 도전적인 시도를 했다. 이러한 시도들은 극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고 사실감 있는 극적표현을 도와주었다. 이렇듯,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고전서사를 차용했지만, 음악적인 측면에서는 기존의 창극에서 벗어난 다양한 변화와 시도들을 통해, 온고지신의 면모를 갖춘 새로운 창극의 모습을 보여주었고, 현대 사회에서 창극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해 준 작품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