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nicle morphology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2초

QTL Mapping of Agronomic Traits in an Advanced Backcross Population from a Cross between Oryza sativa L. cv. Milyang 23 and O. glaberrima

  • Kang, Ju-Won;Suh, Jung-Pil;Kim, Dong-Min;Oh, Chang-Sik;Oh, Ji-Min;Ahn, Sang-Nag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43-249
    • /
    • 2008
  • In the previous study, 141 $BC_3F_2$ lines from a cross between the Oryza sativa cv. Milyang 23 and O. glaberrima were used to identify favorable wild QTL alleles for yield component traits.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QTL analysis of four grain morphology as well as four yield component traits using 141 $BC_3F_5$ lines from the same cross and compared QTLs detected in two different generations. The mean number of O. glaberrima segments in the 141 $BC_3F_5$ lines ranged from 1 to 13 with 2.69 and 5.71 of the average means of homozygous and heterozygous segments, respectively. There was a three-fold difference in the number of QTLs detected for four traits commonly evaluated in two generations (seven QTLs in the $BC_3F_5$ vs 21 in the $BC_3F_2$ population). The percentages of the phenotypic variance explained by QTLs in the BC3F5 population were similar to or less than those in the $BC_3F_2$ population. This is probably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genetic composition of two populations and the environmental effects. The locations of the QTLs commonly detected in both generations were in good agreement except for one QTL for spikelets per panicle. The yield QTL, yd3 was colocalized with the spikelets per panicle, spp3. Yield increase at this locus is due to the increase in spikelets per panicle, because both trait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 in spikelets per panicle and yield due to the presence of an O. glaberrima allele. Clusters of QTLs for grain morphology traits were observed in two chromosome regions. One cluster harboring five QTLs near SSR markers RM106 and RM263 was detected on chromosome 2. This population would serve as a foundation for development of the introgression line population from a cross between Milyang 23 and O. glaberrima.

한국산 녹나무과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 화서의 형태 - (Taxonomic Studies of the Lauraceae in Korea - Morphology of Inflorescence -)

  • 선병윤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9권4호
    • /
    • pp.329-340
    • /
    • 1986
  • This study is attemped to discuss the taxonomic significances as have been raised up to now in the study of Lauraceous inflorescence. Lauraceous inflorescences are recognized as panicle, umbel, dichasium, or fascicle by various investigators. Reconsidering the inflorescence or existence of involucre, which has been accepted as important character in the present classification system, it is assumed that the study about them has not so far carried out a deliberate analysis over inflorescent morphology, nor has recognized the existence of involucre. Furthermore, all the materials examined in this study have fugacious or persistent involucres which are leafy, scaly or membraneou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kinds, fugacity or persistency of involucres are significant in the problems of classification of Laureaceae. Korean Lauraceous inflorescence has evolved into the direction of continuous reduction in its peduncle: from compound dichasium to capitate umbel.

  • PDF

피속(屬) 잡초(雜草) 수집종(蒐集種)의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 변이(變異)와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내성차이(耐性差異) (Gross Morphological and Herbicide Susceptibility Variation in Collections of Echinochloa Species)

  • 김재철;신현승;김종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14
    • /
    • 1988
  • 논 포장(圃場)(전북(全北) 완주군(完州郡) 소양면(所陽面) 죽절리(竹節里))에서 발생(發生)되는 피속(屬) 3변종(變種)과 이와 형태적(形態的)으로 구분(區分)이 되는 5종(種)의 피를 수집(蒐集)하여 이들의 생리생태적(生理生態的) 형질(形質)을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8종(種)의 수집종(蒐集種)들은 종자(種子) 휴면성(休眠性), 상대생장율(相對生長率), 출수(出穗)에 요(要)하는 일수(日數), 수(穗) 형태(形態) 등에서 변이(變異)를 보였으며 이들 형질(形質)은 중심(中心)으로 한 cluster 분석(分析) 결과(結果) 피와 이의 생태형(生態型) 2종(種), 돌피와 이의 생태형(生態型) 1종(種) 및 물피와 이의 생태형(生態型) 2종(種)으로 구분(區分)지어졌다. 피속(屬) 3 변종(變種)과 이의 생태형(生態型)들은 butachlor에 대하여 발아(發芽) 및 유묘(幼苗) 생장(生長)에 있어서 서로 다른 내성(耐性) 차이(差異)를 보였다.

  • PDF

한국수도품종의 형태변이에 관한 연구 -제2보 한국수도품종의 변천에 따른 외부형태 및 수량구성요소의 변이 (Studies on the Varietal Variation in Morphology of, the Korean Rice Cutivars -II. Varietal variation in morphology of vegetative organs and in yield components along the periodical changes of the Korean rice varieties-)

  • 이은웅;김광호;권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1-78
    • /
    • 1969
  • 한국수도품종의 시대적 변천에 따른 그들 품종의 외부형태와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의 변이를 살펴보고저 년대별 주요품종3개씩 18개품종을 시료로 하여 6개품종군 ${\circled1}$ 1907년대 품종(재래품종)을 1군 ${\circled2}$1907~1930년항까지의 품종(도입일본품종)을 II군 ${\circled3}$1930~1960년항까지의 품종중 도입일본품종을 III군, 국내육성품종을 IV군 ${\circled4}$1960년이후 현재까지의 재배품종중 도입일본품종을 V군, 국내육성품종을 VI군으로 구분하여 시험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는다음과 같다. 1. 신장절위는 엽신장은 1군이 가장 길고 품종의 변천과 함께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지엽각은 예각의 방향으로 변천되어 왔으며 총엽면적은 I군에 비하여 II~V군은 모두 작은 수치를 보였는데 일반적으로 상부절위의 엽면적이 특히 작아진 경향을 보였으며 엽면적지수는 반대로 I군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2. 엽초장 및 엽초중은 I군에 비하여 III~V군은 작은 수치를 보였는데 II~VI군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절간장은 I군이 길고 그밖의 군에서는 짧았는데 시대적 품종의 변천에 따라서 상위부의 절간장이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절간중은 I군이 매우 크고 그밖의 군은 작은데 시대적 품종의 변천에 따라서 대체로 가벼워지는 경향이었다. 3. 수량구성요소의 품종군간 변이는 간장, 수장 및 I수정화수는 I군 및 III군이 높은 수치를 보였고, 1주수수, 등열비율 및 정조천엽중은 IV, V 및 VI군이 높은 값을 보였다. 시대적 품종의 변천에 따라서는 일정한 경향은 없지만 대체적으로 최근의 재배품종인 V군 및 VI군이 간장 및 수장이 짧아졌고 등열비율 및 정조천엽중은 증대되었으며 수수 및 I수입수sms 중위의 값을 보여주고 있다. 4. 고간중은 Irns이 가장 가벼웠고 그 외 품종군은 서로 비슷하였으며 정조중은 VI군이 가장 높은 치를 보였고 II군, III군, IV군 및 V군은 서로 비슷하게 중간치를 보였으며 I군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조/고 비율은 VI군이 가장 높았고 I군이 가장 낮았다. 5. 공시한 품종군중 IV군, V군 및 VIrnsdms 수수, 일수평균완전입수 및 정조수입중이 평형있게 수량을 구성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 PDF

벼 소얼성과 다얼성 품종에서 분얼별 이삭의 형태 해부학적 특성 (Morpho-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anicles in Low and High Tillering Rices)

  • 김제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68-575
    • /
    • 1991
  • 본 실험은 벼의 소얼성과 다얼성 품종에서 분얼의 종류에 따른 이사목절간 (상위제1절간)의 유관속과 이삭의 특성을 조사하고, 이들 상호간의 관련성을 구명하고자 국제미작연구소(IRRI)에서 1988년에 수행하였다. 공시품종은 소얼ㆍ수중형인 IR25588과 다얼ㆍ수수형인 IR58이었으며 이들은 분얼능력과 이삭의 크기는 현저한 차이가 있으나 다른 특성은 비슷하였다. 1. 이삭목절간의 대ㆍ소유관속수는 IR25588(소얼성)이 IR58(다얼성)보다 많았고 또한 두 품종 모두 '상위6개의 이삭'은 다른 이삭보다 유관속수가 많았는데, 이는 소얼성품종이 다얼성 품종보다 동화산물의 전류에 유리한 특성으로 해석된다. 2. IR25588과 IR58간의 수당영화수를 보면, 1차 지경에 있는 영화수는 서로 비슷하였으나 (IR25588=55개, IR58=52개) 2차 지경에 있는 영화수는 IR25588(113개)이 IR58(70개)보다 61.4%나 많았다. 또한, 두 품종 모두 '상위6개의 이삭'은 다른 이삭에 비하여 수당영화수 유의적으로 많았다. 이러한 경향은 이삭의 지경수에서도 비슷하였다. 3. IR25588은 IR58에 비하여, 또 '상위6개의 이삭'은 다른 이삭에 비하여 절간의 굵기와 두께가 컸는데, 이는 소얼성품종이 다얼성품종보다 더 많은 유관속을 가지고 있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소얼 ㆍ강간ㆍ수중형'의 벼 품종이 수량성을 현재보다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이상적인 초형으로 사료된다. 4. 이삭목절간의 유관속수는 1차ㆍ2차지경수, 수당 영화수, 이삭중과 매우 밀접한 정의 유의상관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절간이 금은 소얼성품종이 그에 비례하여 유관속수가 많으며 따라서 지경수와 영화수를 많게 하여 이삭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5. 1차지경 1개당 영화수와 대유관속 1개당 영화수는 1R25588이 IR58보다 많았는데, 이는 소얼성품종의 sink strength가 다얼성품종의 그것보다 큰 것으로 사료된다. 6. 분얼종류에 따른 유관속수는 IR25588과 IR58모두 주간>1차분얼>2차분얼>3차분얼의 순으로 많았다.

  • PDF

Echinochloa colona의 생장(生長), 발육(發育) 및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 (Growth,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chinochloa colona)

  • 전재철;키이스 무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6
    • /
    • 1986
  • Echinochloa colona(L.) Link의 생장(生長), 발육(發育) 및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을 전생활환(全生活環)을 통(通)해서 조사(調査)하였다. E. colona는 파종후(播種後) 2~3일(日)에 발아(發芽)하며, 파종후(播種後) 8일(日)이면 2엽기(葉期)에 도달한다. 생장(生長)의 초기(初期)에는 근장(根長)이 초장(草長)보다 길지만, 파종후(播種後) 4주(週)간 경과(經過)되면서 이 관계(關係)는 뒤바뀐다. 분얼(分蘖)은 주경(主莖)의 제6엽(第6葉)이 출현(出現)될 때 주경(主莖)의 제3엽(第3葉)으로부터 시작된다. 영양생장기(營養生長期) 동안의 엽(葉) 및 분얼(分蘖)은 일정(一定)한 규칙성(規則性)에 따라 전개(展開)되어 14엽기시(葉時期)에는 19개(個)의 분얼(分蘖)(1차(次) 분얼(分蘖)5, 2차(次) 분얼(分蘖) 12, 3차(次) 분얼(分蘖) 1 및 절분얼(節分蘖 1)을 이루었다. 경엽(莖葉)/근부중량비(根部重量比)는 출수직전(出穗直前)에 가장 높았다. 원추화서(圓錐花序)중 가장 짧은 소수(小穗)는 상위(上位) 2번째의 것으로 가장 적은 수(數)의 종자(種字)를 생산(生産)한다. 이 소수(小穗)로부터 하위(下位)의 소수(小穗)로 내려갈수록 소수(小穗)의 길이와 소수당(小穗當) 종자생산수(種字生産數)는 증가(增加)된다. 종자(種字)의 무게는 하위소수(下位小穗)의 것이 상위소수(上位小穗)의 것보다 가벼웠으며, 발아력(發芽力)도 낮았다. 부정근(不正根)의 신장(伸張)은 화경(花硬)의 엽초기부에서 이루어지며, 그 신장력(伸張力)은 오래된 화경(花硬)에서 보다는 어린 화경(花硬)에서 더욱 컸다.

  • PDF

한국산(韓國産) 옻나무속(屬) 과실(果實)과 종자(種子) 및 화서(花序)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재고(再考) (Reconsideration of Rhus (Anacardiaceae) with Respect to Fruit, Seed and Inflorescence)

  • 정재민;김삼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3호
    • /
    • pp.288-300
    • /
    • 1997
  • 우리나라에 자생(自生)하고 있는 옻나무속(屬) 6종(種)과 외래종(外來種) 2종(種)에 대(對)한 화서(花序)의 형태(形態)와 과실(果實)과 종자(種子)의 형태(形態) 및 해부학적(解剖學的) 형질(形質)들을 광학현미경(光學顯微鏡)과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磁顯微鏡)을 통해 관찰(觀察)한 결과(結果), 화서(花序)의 형태(形態)는 미국털옻나무가 정생(頂生)하고 직립(直立)하는 밀추화서(密錐花序)인 반면 붉나무는 밀추화서(密錐花序)와 유사한 원추화서(圓錐花序)였으며, 다른 수종(樹種)들은 액생(腋生)하고 드리워진 원추화서(圓錐花序)였다. 과실(果實)과 종자(種子)의 해부학적(解剖學的) 연구결과(硏究結果) 붉나무와 미국털옻나무는 외과피(外果皮)와 중과피(中果皮)가 완전(完全)히 분리(分離)되어 있지 않은 반면, 다른 수종(樹種)들은 모두 내외피(內果皮)가 3개(個)의 lignified cell layer와 crystal layer로 이루져 있었다. 또한 종피(種皮)의 외부(外部) 미세구조(微細構造)도 종(種)에 따라 고유(固有)한 특징(特徵)을 지니고 있어 종간(種間)의 식별(識別)과 분류(分類)가 가능(可能)하였다. 과실(果實)과 종자(種子)의 형태(形態) 및 해부학적(解剖學的) 형질(形質)에 의한 유집분석(類集分析) 결과(結果) 개옻나무-붉나무-덩굴옻나무류집군(類集群)과 옻나무-산검양옻나무-검양옻나무류집군(類集群)으로 분류(分類)되었다. 이들중 17개(個)의 기본 형질(形質)에 대(對)한 주성분(主成分) 분석결과(分析結果) Eigenvalue 1.0 이상(以上)이 3개(個)의 주성분군(主成分群)으로 분리(分離)되었으며, 제(第)2 주성분(主成分)까지의 누적기여율(累積寄與率)은 89.47%로 높은 설명력(說明力)을 보였고, 종자(種子)의 길이, 과실(果實)의 길이, 종자(種子)의 폭(幅), 종자(種子)의 무게, 과실(果實)의 폭순(幅順)으로 높은 기여도(寄與度)를 보였다. 화서(花序)와 종실(種實)의 외부(外部) 형태적(形態的),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징(特徵)을 종합(綜合)하여 종간(種間)의 검색표(檢索表)를 제시하였다.

  • PDF

침나무류(類) 꽃의 형태(形態) (1) (Floral morphology of the oak (1))

  • 이창복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11
    • /
    • 1962
  • 1. The inflorescence of the oak has been evolved through a serial reduction of the panicle as is presented in the figure 1. 2. Perianth lobes though they range from one to twelve in a flower six loves occur more than 50% of tested flowers as is tabulated in the table 1. They have been increased partly by a fusion of flowers and partly by a reversion of the stamen into the perianth lobe. They also have been decreased by a fusion of perianth lobes each other. 3. Stamen numbers in a flower range from one to twenty four, but eight stamens are more common than the others as is shown in the table 1. They have been increased by a fusion of flowers and decreased by a fusion of stamens in a flower as are presented in the figure 4. 4. Floral position in the inflorescence, environmental factors, hybridity, and abnormal nutrition supply seem to accelerate fusion and reduction of the stamen in a flower. 5. Flowers which consist of eight stamens and six perianth lobes occur more common than the others, however, the number of the stamen (Y) and the perianth lobes (X) appear to be correlated as follows (see also fig.5.). Y=1.09X+3.78, r=0.4 for Q. dentate Thumb. (7004 flowers investigated) Y=0.71X+4.18, r=0.48 for Q. mongolica Fischer (7409 flowers investigated) Y=1.03X+2.91, r=0.4 for Q. allena B1. (8662 flowers investigated) Y=0.69X+2.00, r=0.4 for Q. serrata Thumb. (9048 flowers investigated) 6. Morphological similarity of the bracteoles and perianth lobes as illustrated in the fig. 3, phenomena of a fusion of bracteoles and separation of perianth lobes into three groups in a flower, and increasing and decreasing phenomena of the stamen number and perianth lobes in a flower as presented in the figures 3 and 4 support the proposal on the oak flower evolution made by H. Hjelmquist in 1948.

천연갱신과 관련된 한국산 단풍나무속 6종의 종자특성과 종자활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ed Characteristics and Viabilities of Six Acer Species in Relation to Natural Regeneration in Korea)

  • 김갑태;김회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58-364
    • /
    • 2011
  • 단풍나무류의 활력있는 종자의 공급량을 파악해 보고자, 2009년과 2010년의 초가을에 단풍속 6수종, 복장나무, 고로쇠나무, 우산고로쇠, 부게꽃나무, 당단풍 및 단풍나무 종자를 채취하여 종자특성과 종자활력을 조사하였다. 화서형태는 복장나무, 당단풍과 단풍나무는 산방화서(corymb), 고로쇠나무와 우산고로쇠는 위가 편평한 원추화서(flat-topped panicle), 부게꽃나무는 총상화서(raceme)였다. 화서당 종자�V의 개수는 부게꽃나무가 38.5개로 가장 많았고, 당단풍이 2.4개로 가장 적었다. 종자직경은 우산고로쇠가 13.5mm로 가장 크고, 당단풍이 4.7mm로 가장 작았다. 시과의 각도는 당단풍이 $130.05^{\circ}$로 가장 크고, 부게꽃나무가 $48.60^{\circ}$로 가장 작았다. 20 시과�V의 건조중량은 우산고로쇠가 3,900mg으로 가장 무거웠고, 부게꽃나무가 404mg으로 가장 가벼웠다. 채종한 단풍나무류 종자의 건전종자의 비율은 단풍나무는 50%, 다음으로 부게꽃나무는 43.2%로 나타났다. 나머지 4 수종은 8.6~22.2% 정도로 나타나, 낙하종자에 대한 설치류의 피식량, 건조의 피해, 낙엽층의 발아방해 등을 고려하면 고로쇠, 우산고로쇠 복장나무, 당단풍나무 등의 천연갱신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건전종자의 공급량 부족이 하나의 원인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고로쇠, 우산고로쇠, 부게꽃나무 및 당단풍나무의 종피에서 벌레에 의한 천공피해가 관찰되었으며, 고로쇠나무와 우산고로쇠의 종자에서는 검정긴꽃바구미(Bradybatus sharpi)가 공통적으로 관찰되었다. 단풍나무류의 천연갱신을 이해하기 위해서 종자결실과 비산전 후 종자피식 문제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물들메나무(Fraxinus chiisanensis)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재고(再考) (A Taxonomic Reconsideration of Fraxinus chiisanensis (Oleaceae) in Korea)

  • 민웅기;전정일;장진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266-276
    • /
    • 2001
  • 물들메나무(F. chiisanensis Nakai)의 분류학적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 국내에 자생하는 4종(種)(쇠물푸레나무, 물푸레나무, 물들메나무, 들메나무)과 근연종으로 판단되는 중국, 일본의 F. platypofa Oliv.의 형태 및 flavonoids분석을 실시하였다. 물들메나무는 화서가 전년지(前年技)에 달리며 꽃잎이 없고 꽃받침이 존재하며, 나아(裸芽)(naked bud)를 가져 화서가 당년지(들에나무제외)에 달리거나 인아(鱗芽)(scaled bud)를 가지는 다른 3종(種)과 뚜렷이 구분되었다. 한편, flavonoids성분에서는 다른 3종(種)에서 flavonols와 C-glycosylflavone, flavanone 성분이 존재한 반면(물푸레나무형) 물들메나무에서는 3종류의 flavonoids 이외의 flavones성분이 확인(물들메나무형)되어 뚜렷한 종의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물들메나무는 전북 내장산, 덕유산, 충청북도 민주지산, 전라남도 지리산, 백운산 등 전라남북도에 국한하여 분포하는 우리나라 특산종으로서 기존의 들메나무와 물푸레나무의 자연 교잡종이라는 주장보다는 독립종으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하다. 특히, 형태적 특정에 의해 물들메나무는 들메나무아속(亞屬)(subgen. Fraxinus) 물들메나무절(節)(sect. Melioides)에 속하지만 중국과 일본의 물들메나무절(節)의 F. platypoda Oliv.는 인아(scaled bud)를 가지며 사과의 날개가 꽃받침까지 내려오며 화학적으로는 물푸레나무형이 확인되어 물들메나무와는 근연관계가 없고 오히려 북미대륙에 분포하는 동일 절(section)의 4종이 물들메나무에 더 가까운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