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nicle blast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8초

Damage Analysis of Rice Panicle Blast on Disease Occurrence Time and Severity

  • Shim, Hong-Sik;Hong, Sung-Jun;Yeh, Wan-Hae;Han, Seong-Sook;Sung, Jae-M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87-92
    • /
    • 2005
  • Th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healthy and diseasedpanicle necks caused by Pyricularia oryzae were observed using electron-microscope. In the diseased panicle neck, the infection hyphae of the rice blast pathogen grew through the sclerenchymatous fiber tissue and reached to the central internal lacuna. Since the pathogen grew through the sclerenchymatous fiber tissues, the vascular bundle composed with xylem and phloem had been destroyed and finally the nutrients from the leaf and stem were not able to be transported into the grains. Infection of panicle base by the blast pathogen until 20 days after heading caused more than 50% of yield loss in both Jinmibyeo and Chucheongbyeo.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cidence of the panicle blast and rice yield losses. The regression equations between incidence of the panicle blast and yield losses were y= -3.61+496.7 ($R^2$=0.70) in Jinmibyeoand y=-3.93+520.2 ($R^2$=0.82) in Juanbyeo. The panicleblast caused deterioration of grain quality. Healthy grain rate was reduced by increase of panicle blast infection.

Outbreak of Rice Panicle Blast in Jeonbuk Province of Korea in 2021

  • Hyunjung, Chung;Woo-Il, Lee;Soo Yeon, Choi;Nak-Jung, Choi;Sang-Min, Kim;Ju-Yeon, Yoon;Bong Choon, Le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9권1호
    • /
    • pp.136-140
    • /
    • 2023
  • Rice panicle blast is one of the most serious diseases threatening stable rice production by causing severe damage to rice yields and quality. The disease is easy to occur under low air temperature and frequent heavy rainfall during the heading season of rice. In 2021, a rice panicle blast severely occurred in the Jeonbuk province of Korea. The incidence area of panicle blast accounted for 27.7% of the rice cultivation area of Jeonbuk province in 2021, which was 13.7-times higher than in 2019 and 2.6-times higher than in 2020. This study evaluated the incidence areas of rice panicle blast in each region of Jeonbuk province in 2021. The weather conditions during the heading season of rice, mainly cultivated rice cultivars, and the race diversity of the Jeonbuk isolates were also investigated. It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the rice panicle blast.

벼에 발생하는 목 도열병 및 이삭 도열병 검정을 위한 실험방법 개발 (Development of Virulence Test Methods for Neck and Panicle Blast Disease)

  • 지명환;박숙영
    • 식물병연구
    • /
    • 제21권2호
    • /
    • pp.103-106
    • /
    • 2015
  • 벼 도열병은 벼의 조직에 따라서 잎, 마디, 목, 그리고 이삭의 병징에 의해 특성화된다. 심각한 수량 손실이 잎 도열병 보다는 목도열병과 이삭도열병이 원인이 됨에도 불구하고, 분리된 균주의 병원력 검정은 목과 이삭 대신 잎에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목과 이삭 도열병을 위한 병원성 검정 방법을 개발하였다. 병원력 검정을 위해, 잎, 목, 그리고 이삭 도열병으로 부터 각각 3개의 대표균주를 선발하였다. 벼에 도열병균을 접종한 후 48시간 동안 고습도생장상에서 두었을 때, 24시간보다 목과 이삭에서 높은 발병률을 보였다. 잎 도열병 검정과 다르게, 목과 이삭에서의 전형적인 병반은 접종 14일 후 나타났다. 이 연구방법은 앞으로 벼 도열병의 벼 조직 별 병원성 검정방법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도 도열병의 역학적 연구 I. 수잉기 엽초내의 이삭 도열병 감염 (Epidemiological Studies of Blast Disease of Rice Plaint 1. Infection of Panicle Blast in Leaf Sheaths during Booting Stage)

  • 박종성;유승헌;김홍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03-211
    • /
    • 1980
  • 실험포장에 있어서의 도열병발생상은 잎도열병의 발생량이 경한데 비해 통일계품종의 이삭도열병은 결발형이었고 일본형품종의 그것은 역시 경하였다. 시비수준간의 도열병 발생량의 차이는 통일계품조의 경우 잎도열병에서는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이삭도열병에서는 뚜렷하지 않았다. 지엽(n-1)이나 그 아래에 있는 n-2엽, n-3엽 등에서 강우수나 엽상의 노적수에서 만들어지 포자현탁액이 엽신에서 엽초의 봉합부를 거쳐 엽초내에 침투하고 수에 접착한 다음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자연환경하에서나 인공환경아래에서도 엽초내에 포자현탁액을 주입하면 수의 각부분이 감염되었으며 자연환경아래에서 생육중인 수도의 수잉기엽초내에는 도열병균과 그밖에 여러가지 진균의 포자가 검출되어 수잉기엽초내에서의 수열병 감염이 가능한 것으로 판명 되었다. 실험포장에서의 통일계품종의 이삭도열병의 발병은 $90\%$내외이며 이 중에 수잉기 감염이 출수후 감염보다 훨씬 많으며 0.5N 시비구에서는 $6\~15$배, 1.0구에서는 $10\~40$배, 1.5N 구에서는 $7\~20$배 가량이 많았다. 한편 일본형수도품종에 있어서는 이삭도열병의 감염율은 $3\%$에 지나지 않았다.

  • PDF

수도(水稻) 도열병(稻熱病)의 역학적(疫學的) 연구(硏究) III. 시기별(時期別) 포자비산(胞子飛散)과 출수기(出穗期) 잎도열병(病) 발생량(發生量)이 이삭도열병(病) 발생(發生)에 미치는 영향(影響) (Epidemiological Studies of Blast Disease of Rice Plant III. Effects of Conidial Number of Pyricularia oryzae collected in Different Periods and Occurrence Rate of Leaf Blast on the Occurrence of Panicle Blast of Rice)

  • 박종성;김홍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61-67
    • /
    • 1984
  • 출수기(出穗期)를 전후(前後)한 시기별(時期別) 벼 도열병균(病菌) 분생포자(分生胞子)의 비산량(飛散量) 및 잎 도열병(病) 발생량(發生量)과 이삭도열병(病) 발생(發生)과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여 방제(防除)의 기초자료(基礎資料) 및 병(病) 발생자찰자료(發生子察資料)를 얻고자 실시(實施)한 실험결과(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출수(出穗) 5일전후(日前後)의 포자비산(胞子飛散)이 이삭도열병(病) 발생(發生)과 가장 밀접(密接)한 상관(相關)이 있었으며 출수기(出穗期) 잎도열병(病) 발생량(發生量)은 이병주율(罹病株率), 이병경율(罹病莖率) 모두 이삭도열병(病) 발생(發生)에 큰 영향(影響)이 없었다. 이삭도열병(病)의 방제적기(防除適期)는 도열병균(病菌)의 잠복기간(潛伏期間)을 고려(考慮)할 때 속효성(速效性) 약제(藥劑)는 출수(出穗)5~10일전(日前), 지효성약제(遲效性藥劑)는 10~15일전(日前)으로 추정(推定)된다.

  • PDF

Sporulation of Pyricularia grisea at Different Growth Stages of Rice in the Field

  • Kim, Chang-Kyu;Reiich Yoshin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147-150
    • /
    • 2000
  • Sporulation patterns of rice blast fungus were studied at relatively later stages of leaf blast and neck blast seasons in Icheon, Korea. This experiment was done by detaching lesion-bearing leaves and panicle bases. The number of conidia remaining on the leaf blast lesions of different cultivars from Jul 20 to Jul 23 ranged from 3,640 to 82,740 spores. More conidia were observed on the adaxial surface because they were released from abaxial surface. After heading, sporulation was observed from the lesions on the flag leaves but the number of spores was less than in the late July. Detached panicle bases or uppermost internodes infected by Pyricularia grisea produced abundant amount of conidia. Among these panicle bases, 30.1 mm size lesion recorded the highest count of 244,560 spores. When we compared the sporulation amount using the KY-type spore trap, more conidia were recorded from intact lesions than from the lesions which removed conidia and conidiophore The ratio of conidia release against total sporulation ranged from 20.5%-25.0% for leaf blast and 8.2%-25.3% in the neck blast. Effective inoculum potential was also discussed.

  • PDF

벼 신품종 및 계통의 지역별, 연도별 도열병 발병 차이 (III) (Temporal and Spatial Blast Incidence in New Cultivars and Elite Lines of Rice In Korea (III))

  • 라동수;오정행;한성숙;김장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38-343
    • /
    • 1995
  • Incidence of blast caused by Pyricularia grisea on five new cultivars and four elite lines (C/L) of rice was investigated at different locations, Icheon, Chuncheon, Jecheon and Naju, 1992 to 1994. Disease indices of leaf blast on the tested C/L except Juanbyeo and Keumnambyeo ranged from 0 to 6 in the blast nursery. Under the field conditions, percentages of diseased leaf area of Kuemnambyeo were 6.5% in Jecheon and 2.8% in Icheon in 1993. The incidence of panicle blast on the C/L except Suweon 394 and Milyang 117 differed depending on the locations and years. In case of Unjangbyeo, panicle blast was rarely observed n the fields in Icheon and Naju, but the disease incidences were 21.8% in Jecheon in 1993 and 16.4% in Chuncheon in 1994. Race distribution of the blast fungus was variable according to the locations. The major race in the Jecheon site was KI-197, which was recently identified.

  • PDF

한국(韓國)에서의 도열병(病) 발생(發生), 만연(蔓延)과 그 방제(防除) (Epidemiology and Control of Rice Blast in Korea)

  • 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356-369
    • /
    • 1985
  • 한국(韓國)에서 농업관계연구(農業關係硏究) 기관(機關)에 의해 벼도열병(病) 방제(防除)에 관(關)한 실질적(實質的)인 연구(硏究)가 시작(始作)된 것은 전북일부지방(全北一部地方)에 목도열병(病)이 격발(激發)한 다음해인 1927년(年)부터였다. 과거 55년간(年間)에 걸쳐 많은 수도관계학자(水稻關係學者), 특(特)히 식물병리학자(植物病理學者)들의 노력(努力)에도 불구하고 도열병(病)은 아직도 가장 피해(被害)가 심(甚)하고 광범위(廣範圍)하게 발생(發生)하고 있는 병(病)중의 하나이다. 벼도열병(病)은 병원균(病原菌)의 특이(特異)한 병원성(病原性)의 변이(變異)때문에 방제(防除)가 매우 어렵다. 지난 70 년 동안의 병발생(病發生) 추이조사(推移調査)에서 도열병(病)의 발생(發生) 양상(樣相)에는 잎도열병형(病型), 목도열병형(病型), 지속적(持續的)인 발생형(發生型)의 3가지 각기 다른 발생(發生) 양상(樣相)이 존재(存在)함을 알았다. 일반적(一般的)으로 도열병(病) 발생(發生)은 잎도열병(病) 발생(發生)은 적어도 목도열병(病)은 심(甚)한 소위 잎도열병(病)과 목도열병(病)의 불연속현상(不連續現象)이 존재(存在)하는 특징(特徵)이 있다고 한다. 따라서 수량(收量)에 직접 영향(影響)을 미치는 목도열병(病)의 방제(防除)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과거 70 년 동안의 도열병(病)에 관(關)한 광범(廣範)한 조사(調査)와 연구(硏究)에서 도열병(病) 발생(發生)을 야기(惹起)시키는 주요인(主要因)은 병진항성(病振抗性)의 역전(逆轉), 질소질비료(窒素質肥料)의 과용(過用)과 만식(晩植), 그리고 지속적(持續的)인 강우(降雨)등으로 밝혀졌다. 그동안 한국(韓國)에서는 주(主)로 그룹 A에 속하는 곡양도(穀良都), 다마금(多摩錦), 은방주(銀坊主), 풍옥(豊玉) 둥 일본형(日本型) 수도품종(水稻品種)이 30 년이상(年以上) 재배(栽培)되어 왔다는 사실이 학자(學者)들에 의해 주목(注目)되어 왔다. 도열병(病)의 경우 동일(同一)그룹내(內) 품종간(品種間)의 포장지항성 차이(差異)는 매우 적으나 때로는 역학적(疫學的)으로 상당한 차이가 발견(發見)되기도 해서 도열병(病)의 성공적(成功的)인 방제(防除)를 위해서는 포장지항성 연구(硏究)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하겠다. IR 계통(系統) 품종(品種)들에 대(對)해 질소비료과용(窒素肥料過用)은 잎도열병(病)보다 목도열병(病) 발생(發生)에 더 조장(助長)하며 질소비료(窒素肥料) 소량시비시(少量施肥時)에도 IR 계통(系統) 품종(品種)들의 목도열병(病) 발생(發生) 비교적 심(甚)했고 도열병(病) 발생(發生)에 대(對)한 저온(低溫)의 영향(影響)은 매우커서 잎도열병반(病斑)의 전염능력(傳染能力)과 수잉기(穗孕期)의 엽초내 목도열병(病)의 감염(感染)을 현저히 증가(增加)시켰다. 출수전(出穗前) 3회(回), 출수후(出穗後) 2회(回)의 약제살포(藥劑撒布)가 도열병방제(病防除)에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것으로 추정(推定)되었으며 도열병(病)에 대(對)해 완벽(完壁)한 단독(單獨) 방제방법(防除方法)은 없고 1950년경에 작성(作成)된 혼합방제법(混合防除法)이 수도(水稻)가 재배(栽培)되는 한 가장 효과적(效果的)일 것이다.

  • PDF

수도 도열병의 역학적 연구 II. 이삭 도열병 전염원으로서의 엽위별 병반분포의 의의 (Epidemiological Studies of Blast Disease of Rice Plant II. Significance of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Leaf Lesions at Different Location of Each Tiller as an Inoculum Source of Panicle Blast)

  • 박종성;류승헌;김공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7-282
    • /
    • 1983
  • 엽위별로 형성된 병반수나 병반면적율은 통일계품종에 있어서는 n-1에서 n-3까지 그리고 일본형수수품종에 있어서는 n-2에서 많았으나 통일계품종중에서도 고도로 감수성인 노풍에 있어서는 n-1(지엽)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병반의 분포도와 시비수준과의 관계는 시비수준이 높아질수록 뚜렸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엽위별로 보면 수잉기 이후 이삭도열병의 전염원으로는 n-1에서 n-5까지의 잎위의 병반이 관여하나 주로 n-1엽과 n-2엽의 관여도가 큰 것으로 고찰되었다. 수잉기 이후의 저온역에서의 변온$(24^{\circ}C\~16^{\circ}C)$은 잎위의 병반에서의 포자 형성량을 증가시키며 포자의 형성, 이탈, 비산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않고 9월말까지도 다량의 전염원을 수에 공급하고 있었다.

  • PDF

벼 이삭도열병 발생정도 및 병원균 레이스의 분포 변동(1993~1994)과 새로운 레이스의 병원성 (Incidence of Panicle Blast, Race Distribution During 1993??¡?1994 and Pathogenicity of New Races of Pyricularia grisea in Korea)

  • 한성숙;라동수;김장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38-244
    • /
    • 1995
  • Severity of panicle blast disease on the leading cultivars of rice was investigated at nine locations of Korea during summer in 1993 with frequent raining and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cidence of panicle blast was 26% on Jinmibyeo, 23% on Chuncheongbyeo and 40% on Odaebyeo. Race distribution of Pyricularia grisea was examined from 1993 to 1994. A total of 1,098 isolates of the fungus obtained from the blast nurseries and framers; fields were screened using Korean differential varieties. Twenty one races were identified in 1993 and 19 races in 1994. KI-181, KJ-103, KJ-104, KI-241 and KI-209 were identified as new races, and KJ-301 (15%), KJ-201 (13%), KJ-105 (12%) and KI-409 (12%) were major races during 1993 and 1994. Race KI-197, which has a wide spectrum of virulence on rice cultivars, was isolated in a ratio of 8.3% and evenly distributed in the whole country. Some of the major and newly identified races during 1993∼1994 were used for spray-inoculation on leading cultivars and differential varieties in a greenhouse. We found that most of the cultivars were resistant to the major races, KJ-301 and KI-409, but were very susceptible to the new races, KI-241, KI-209, KI-181 and KJ-103.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