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ncreatic islets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6초

싸이토카인 유발 췌장 ${\beta}$세포 독성에 대한 천화분 추출물의 방어효과 (Protective Effect of Radix Trichosanthis Extracts on Cytotoxicity of Pancreatic ${\beta}-Cells$ by Cytokines)

  • 송미영;김은경;송제호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22-426
    • /
    • 2008
  • In this study, the preventive effects of Radix Trichosanthis extracts (RTE) against cytokine-induced ${\beta}-cell$ death were assessed. Cytokines generated by immune cells infiltrating pancreatic islets are crucial mediators of ${\beta}-cell$ destruction i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The treatment of RIN cells with $interleukin-1{\beta}$ ($IL-1{\beta}$) and $interferon-{\gamma}$ ($IFN-{\gamma}$) resulted in a reduction of cell viability. RTE protected $IL-1{\beta}$ and $IFN-{\gamma}$-mediated viability reduc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cubation with RTE also induced a significant suppression of $IL-1{\beta}$ and $IFN-{\gamma}$-induce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protein expression. The molecular mechanism by which RTE inhibited iNOS protein expression appeared to involve the inhibition of $NF{-\kappa}B$ activation. The $IL-1{\beta}$ and $IFN-{\gamma}$-stimulated RIN cells showed increases in $NF{-\kappa}B$ binding activityand $I{\kappa}B{\alpha}$ degradation in cytosol compared to unstimulated cells. However, pretreatment with RTE inhibited cytokines-induced $I{\kappa}B{\alpha}$ degradation and $NF{-\kappa}B$ activation in RINm5F cells. Furthermore, the protective effects of RTE were verified via protection of impairment in glucose-stimulated insulin secretions in $IL-1{\beta}$ and $IFN-{\gamma}$-treated islets.

아프리카발톱두꺼비(Xenopus laevis)의 위장췌내분비세포의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endocrine cells on the gastro-entero-pancreatic system of the African clawed toad, Xenopus laevis)

  • 이형식;이재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23-529
    • /
    • 1992
  • 아프리카발톱두꺼비(Xenopus laevis)의 위장췌내분비세포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던 바 5-HT면역반응세포들은 중등도로 전장관에 고루 분포하였다. Gas/CCK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 장선의 기저부와 십이지장 점막상피에서 출현하였다. 소수의 glucagon면역반응세포는 위저부에서 약하게 반응하였고, 췌장에서는 외분비부에서만 관찰되었다. 직장을 제외한 전장관과 췌도 주변부 및 외분비부에서 somatostatin면역반응세포가 관찰되었다. CGs와 insulin면역반응세포는 전장관에서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insulin세포는 췌도의 중앙부와 외분비부에서 단독으로 출현하였다.

  • PDF

한국산 두더지의 위장췌내분비세포에 관한 면역조직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gastro-entero-pancreatic endocrine cells of the insectivorous Korean mole, Talpa micrura coreana)

  • 이형식;이재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747-755
    • /
    • 1996
  • 한국산 두더지의 위장관 점막과 췌장에 분포하는 내분비세포들의 분포와 출현빈도 및 종류를 알아보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던 바, 5-HT 면역반응세포는 극소수내지 중등도의 빈도로 전 장관에 고루 분포하였다. Glucagon 면역반응세포는 대장에 국한하여 출현하였다. 또 bovine CG, BPP 및 somatostatin 면역반응세포들은 각각 십이지장, 공장 그리고 위저부를 제외한 전 장관에 다양한 빈도로 고루 분포하였다. Gas/CCK 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와 소장에서만 다수 그리고 극소수로 관찰되었으나, insulin 면역반응세포는 전 장관에서 관찰할 수 없었다. 한편 췌도의 주변부에서는 glucagon, somatostatin과 BPP 면역반응세포들이, 중심부에서는 insulin 면역반응세포가 높은 빈도로 동정되었으며 또한 외분비에서는 이들 면역반응세포들이 단독 또는 소수의 집단으로 출현하였다. 이상의 결과로써 두더지의 소화관내분비세포의 분포패턴는 고슴도치의 그것과 유사하였으나 십이지장에서 세포의 종류와 출현빈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조절 T 세포 유래 TGF-β1에 의한 췌장섬세포의 기능 및 활성 증가 (Regulatory T Cells Promote Pancreatic Islet Function and Viability via TGF-β1 in vitro and in vivo)

  • 최봉금;김사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04-31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면역 억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조절 T 세포 (regulatory T cell, Treg)의 새로운 생리학적 기능 대하여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시험관내나 동물실험에서 조절 T 세포가 분비하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 ($TGF-{\beta}1$)에 의하여 이식 직전까지 췌장섬세포의 생존률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혈당조절 기능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이용한 1형 당뇨병 모델을 제작한 뒤, 180 IEQ (islet equivalents)의 췌장섬세포를 동종간 이식하였다. 췌장섬세포는 이식 수술 시행 전까지 48시간 동안 $4{\times}10^6$의 Treg 세포와 함께 배양하여 Treg 유래 $TGF-{\beta}1$에 충분히 노출시킨 뒤 사용하였다. Treg 단독군, 췌장섬세포 단독군 및 Treg/islet 동시 배양군에서 각각 $TGF-{\beta}1$, IL-6 및 인슐린 분비 수준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Treg/islet 동시 배양군에서 IL-6와 인슐린 분비는 증가하였고 (P<0.0005, P<0.005), 췌장섬세포 단독군과 비교하여 생존율이 향상되었다(P<0.005). 또한, 이식 후, 동시 배양된 췌장섬세포는 1형 당뇨병 마우스 모델에서 혈당 수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Treg 세포가 $TGF-{\beta}1$ 분비를 통하여 췌장섬세포의 기능과 생존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만성(慢性) 간(肝) 질환(疾患)에서 경구적(經口的) 당부하(糖負荷) 시험시(試驗時) 혈당(血糖) 및 혈장(血漿) 인슐린의 변동(變動)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Glucose and Immunoreactive Insulin Response durin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

  • 최강원;이홍규;고창순;이문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1-38
    • /
    • 1973
  • The blood glucose and plasma immunoreactive insulin(IRI) levels were measured glucose tolerance test in 7 healthy subjects and 6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 The glucose tolerance was impaired in 5 of the 6 patients and normal in 1. Plasma IRI responses were markedly increased and delayed in all patients, suggesting insulin resistance. Patients with more glucose intolerance showed less increase in plasma IRI than the group with less intolerance. It is suggested that some insulin antagonists may decrease the peripheral insulin sensitivity and stimulate compensatory hyperactivity of pancreatic islets. If the compensatory hyperactivity is inadequate due to genetic predisposition to diabetes mellitus or exhaustion of ${\beta}$-cells of pancreatic islsts, the glucose intolerance and overt diabetes mellitus may ensue.

  • PDF

승마(升麻) 및 승마갈근탕(升痲葛根湯)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고혈당 생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imicifugae Rhizoma and Seungmagalgeuntang extract on the hyperglycemic mice induced with Streptozotocin)

  • 채중원;김강산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53-270
    • /
    • 2007
  • Objectives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imicifugae Rhizoma and Seungmagalgeuntang on the hyperglycemic mice induced with Streptozotocin(STZ). Methods : The 60mg/kg of STZ was fed into mice twice by 24 h interval and then 120mg/kg STZ was fed again 3 days after the earlier feeding, Control group was administered mice with 0.9% saline(2mL/kg/day),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administered Cimicifugae Rhizoma extract(CA group, 10mg/kg/day; CB group, 30mg/kg/day) or Seungmagalgeuntang(SA group, 10mg/kg/day; SB group, 30mg/kg/day) after hyperglycemic induction for 6 weeks. Results : The body weight of experimental groups higher than control.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of the control group increased continuously reaching to 298.9 mg/dL after 6 weeks, however, significantly(p<0.01 or p<0.05) decreased in the SA and SB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lood insulin level significantly(p<0.01)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activities of SOD and catalase were more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compared with normal group. In the point of pancreatic immunohistochemical change, the experimental group's pancreatic islets have increased and enlarged and the concentration of insulin-positive beta cells has also increased,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Meanwhile forms of nucleus and mitochondria in the experimental group's hepatic cells were almost similar to the normal group. Conclusion : The result from the six weeks of observation demonstrates that the extracts from Cimicifugae Rhizoma and Seungmagalgeuntang have positive effects on lowering blood sugar level and elevating insulin concentration. The extract had also effects on recovering and regenerating pancreatic tissue of the hyperglycemic mice induced with STZ. At the same time, it had a protective effect against hepatotoxicity as well.

  • PDF

Role of Innate Immunity in Diabetes and Metabolism: Recent Progress in the Study of Inflammasomes

  • Lee, Myung-Shik
    • IMMUNE NETWORK
    • /
    • 제11권2호
    • /
    • pp.95-99
    • /
    • 2011
  • Type 1 diabetes is one of the classical examples of organ-specific autoimmune diseases characterized by lymphocytic infiltration or inflammation in pancreatic islets called 'insulitis'. In contrast, type 2 diabetes has been traditionally regarded as a metabolic disorder with a pathogenesis that is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type 1 diabetes. However, recent investigation has revealed contribution of chronic inflammation in the pathogenesis of type 2 diabetes. In addition to type 2 diabetes, the role of chronic inflammation is being appreciated in a wide variety of metabolic disorders such as obesity, metabolic syndrome, and atherosclerosis. In this review, we will cover the role of innate immunity in the pathogenesis of metabolic disorders with an emphasis on NLRP3.

Anti-diabetic Agents from Medicinal Plants Inhibitory Activity of Schizonepeta tenuifolia Spikes on the Diabetogenesis by Streptozotocin in Mice

  • Kim, Chang-Jong;Lim, Jung-Sik;Cho, Seung-Ki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9권6호
    • /
    • pp.441-446
    • /
    • 1996
  • The Schizonepeta tenuifolia spikes (STS) have been used as a traditional folk medicine for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ti-pyretic and anti-spasmodic purpose in Korea. Phytosterols (mixture of campesterol 3.68%, stigmasterol 2.30% and ${\beta}$-sitosterol 94.02%) and hesperidin were isolated by chromatography from ether and n-BuOH fractions of STS respectively. These compounds significantly reduced the blood glucose level and lessened the loss of body weight and water consumption dose-dependently when administered at a i.p. doses of 10 and 20 mg/kg for 4 days after the i.v. injection of streptozotocin (I 80 mg/kg). In the morphologic study, these compounds showed protective activity on the pancreatic islets, especially .betha.-cells, from the degenerative changes by streptozotocin.

  • PDF

Streptozotocin-유발 당뇨쥐에 대한 클로렐라 열수 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과 (Hypoglycemic Effect of Chlorella sp. CMS-1 Hot Water Extract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정욱;차재영;허진선;진현진;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584-1591
    • /
    • 2008
  • 클로렐라의 생리활성작용 중 인슐린작용 활성 및 항당뇨효능이 보고된 바 있으나 클로렐라 열수 추출물(Chlorella hot water extract, CE)에 의한 혈당치 조절에 관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실험적인 당뇨유발물질 streptozotocin (STZ)을 성장기 SD계 수컷 흰쥐에 단회 복강 주사하여 당뇨를 유발시킨 CE 무첨가 STZ-Control군, CE 3% 첨가 STZ+CE3군 및 CE 6% 첨가 STZ+CE6군, 그리고 정상군(Normal군)으로 실험 설계하여 4주간 식이와 함께 물을 자유 급여하였다. 공복 및 비공복시 혈당치는 정상군보다 당뇨 대조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여 당뇨 유발이 확인되었고, 이러한 혈당치 증가는 클로렐라 열수 추출물 분말 3% 첨가 STZ+CE3군 및 6% 첨가 STZ+CE6군에서 각각 감소하였다. 혈중 인슐린 농도는 당뇨 대조군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클로렐라 열수 추출물 분말 첨가식이 투여군들에서 인슐린 농도 감소현상이 상쇄되었다. 또한 정상군보다 STZ- 당뇨 대조군에서 Fructosamine 및 뇨당이 증가하였으나, 클로렐라 추출물 투여 STZ+CE3군 및 STZ+CE6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특히 이러한 효과는 클로렐라 열수 추출물 첨가농도 의존적이었다. 클로렐라 추출물 투여군에서 혈당치 감소의 기작을 검토하기 위하여 인슐린 합성과 분비에 관여하는 췌장의 췌도 베타세포의 면역반응에 의한 조직검사에서 정상군의 정상적인 둥근 모양의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었으나, STZ-당뇨 대조군에서는 베타세포가 심하게 파괴되어 극소수 존재함으로서 면역 반응성이 매우 미약하였다. 그러나 클로렐라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베타세포가 많아지면서 정상군과 비슷한 췌도 세포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클로렐라 열수 추출물은 STZ 에 의해 파괴된 베타세포를 회복시키는 효능이 강한 것으로 보여 진다. 이러한 결과는 클로렐라 열수 추출물에 의해 인슐린을 생산해 내는 췌도 베타세포가 회복됨에 따라 인슐린 증강 작용으로 혈당치 강하 효과가 실험 동물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생지황(Rhemanniae Radix)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고혈당 생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hemanniae Radix on the Hyperglycemic Mice Induced with Streptozotocin)

  • 김정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133-1138
    • /
    • 2004
  • 본 연구는 streptozotocin(STZ)을 투여하여 고혈당이 유발된 생쥐(UM군)에 생지황(Rhemanniae Radix) 전탕액의 투여(5.0 mL/kg/day, RR군)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STZ로 유발된 생쥐에 생지황 전탕액을 6주 동안 구강 투여한 후 혈당과 당내성 검사 및 췌장섬의 면역조직화학 검사를 하였다. 혈당수준은 RH군이 HM군에 비하여 2, 3, 5, 6주에서 유의성 있게 낮았으며, 당내성 검사 또한 RR군이 HM군에 비하여 우수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6주 후 insulin-양성 5-세포들과 insulin-like growth factor-II 양성 물질들은 HM군에 비하여 RR군에서는 보다 높게 나타났다. HM군에서는 apoptosis 면역반응성 과립들이 췌장섬 전반에 걸쳐 관찰되었으나, RR군에서는 일부 세포들의 핵에서 면역반응성을 보여주었다. HM군에서는 대부분 췌장섬들이 파괴되어 소수 관찰되었으나 RR군은 다수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생지황 전탕액은 STZ로 유발된 손상으로부터 췌장섬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