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midronate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초

골 재흡수 치료를 위한 파미드로네이트를 함유한 이식형 생분해성 PLGA 웨이퍼의 제조와 특성결정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midronate-loaded PLGA Wafer for the Treatment of Bone Resorption)

  • 유제영;김상욱;강길선;성하수;정제교
    • 폴리머
    • /
    • 제26권5호
    • /
    • pp.680-690
    • /
    • 2002
  • 골 재흡수 치료를 목적으로 파미드로네이트를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제형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 (PLGA, 락타이드 : 글리콜라이드 몰비 = 75 : 25, 분자량 20000 g/mole 및 90000 g/mole)를 이용하여 직접압축 성형방법으로 생분해성 웨이퍼를 제조하였다. 약물과 고분자의 함량비 웨이퍼의 두께, PLGA 분자량 등을 조절하여 PLGA 웨이퍼를 제조하였고 이들의 형태학적 특성과 방출거동 및 분해거동을 살펴보았다. 웨이퍼의 제조는 혼합된 분말을 웨이퍼 제작용 몰드에 넣은 후 프레스를 이용하여 일정 압력으로 일정시간 동안 상온에서 가압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웨이퍼는 약물의 초기함량이 증가할수록 방출속도가 빠르게 나타났으며, 제형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물의 방출속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고분자의 분자량이 큰 것이 작은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초기 약물 방출량이 적고 방출되는 속도 또한 느려져. 저분자보다 오랫동안 약물이 방출되었다. 이러한 약물전달 시스템은 압축성형방법에 의해 제조하므로 제조가 간단하고 약물방출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이식을 위한 제형으로 제조시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장기 스테로이드 치료요법 중인 신질환 환자에서 Pamidronate의 효과 (Efficacy of Pamidronate in Nephropathic Children with Ongoing Long Term Corticosteroid Therapy)

  • 홍현기;김은성;김성도;조병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8권1호
    • /
    • pp.43-50
    • /
    • 2004
  • 목 적 : 신 사구체 질환을 포함한 여러 질환에서 스테로이드가 장기간 투여되고 있다. 스테로이드의 장기간에 걸친 복용은 여러 가지의 부작용을 초래한다. 그중 골다공증은 성장기의 어린이들에는 심각한 부작용 중에 하나이다. 저자들은 신 사구체 질환으로 지속적인 스테로이드 투여를 진행하면서 위약과 pamidronate를 복용시켜 pamidronate의 골다공증 예방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중 에너지 X선 흡수법(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과 골대사의 생화학적 지표들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혈뇨와 단백뇨가 동반되어 2003년 8월부터 2004년 2월 사이에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과에서 지속적인 스테로이드 투여를 3개월 이상 시행 중인 44명(M : F=25: 19)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아 44명 모두에게는 하루 500 mg의 칼슘제재가 공급되었고, 이 가운데 16명에게는 pamidronate(125 mg/cap)를 하루 1 cap씩 투여하였고, 다른 28명에게는 위약을 3개월간 투여하였다. 지속적인 스테로이드 투여를 시행 중 3개월 사이의 AST, ALT, 요소 질소, 크레아티닌, 칼슘과 인의 농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골밀도의 변화는 이중 에너지 X-선 흡수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부갑상선 호르몬(PTH), 혈중 osteocalcin, 요중 dipyridinoline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 과 : 골밀도 검사 상 대조군에서는 $0.754{\pm}0.211(g/cm^2)$에서 3개월 동안의 스테로이드 치료 후 $0.728{\pm}0.208(g/cm^2)$로 통계상 유의한 정도의 골밀도 감소를 보였다(P=0.0004). 반면 pamidronate를 투여한 그룹에서는 지속적인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은 3개월 동안 골밀도가 $0.652{\pm}0.194(g/cm^2)$에서 $0.658{\pm}0.226(g/cm^2)$로 증가하였다. 비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 소견은 보이지 않았지만 대조군에 비해 스테로이드 치료에 의한 골밀도의 지속적인 저하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 론 : 장기 스테로이드 치료요법을 시행받는 환아에서 pamidronate 같은 biphosphonates 제재가 골밀도 저하를 예방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effect of low-dose intravenous bisphosphonate treatment on osteoporosis in children with quadriplegic cerebral palsy

  • Moon, Soon Jeong;An, Young Min;Kim, Soon Ki;Kwon, Young Se;Lee, Ji E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0권12호
    • /
    • pp.403-407
    • /
    • 2017
  • Purpose: Quadriplegic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re more susceptible to osteoporosis because of various risk factors that interfere with bone metabolism. Pamidronate is effective for pediatric osteoporosis, but there are no guidelines for optimal dosage or duration of treatment in quadriplegic children with osteoporosis. We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low-dose pamidronate treatment in these patients. Methods: Ten quadriplegic patients on antiepileptic drugs (6 male, 4 female patients; mean age, $10.9{\pm}5.76years$), with osteoporosis and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level V, were treated with pamidronate (0.5-1.0 mg/kg/day, 2 consecutive days) every 3-4 months in a single institution. The patients received oral supplements of calcium and vitamin D before and during treatment. The lumbar spine bone mineral density (BMD) z score and biochemical markers of bone metabolism were measured regularly during treatment. Results: The main underlying disorder was perinatal hypoxic brain damage (40%, 4 of 10). The mean cumulative dose of pamidronate was $4.49{\pm}2.22mg/kg/yr$, and the mean treatment period was $10.8{\pm}3.32months$. The BMD z score of the lumbar spin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4.22{\pm}1.24$ before treatment to $-2.61{\pm}1.69$ during treatment (P=0.008). Alkaline phosphatase decreased during treatment (P=0.037). Significant adverse drug reactions and new fractures were not reported. Conclusion: Low-dose pamidronate treatment for quadriplegic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creased lumbar BMD and reduced the incidence of fracture.

신증후군 환아에서 스테로이드에 의한 골다공증 치료에 $1{\alpha}-(OH)D_3$와 Pamidronate의 효과 (The Effects of $1{\alpha}-(OH)D_3$ and Pamidronate on Steroid Induced Osteoporosis (SIO) in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NS))

  • 김성도;전혜원;조병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6권2호
    • /
    • pp.209-217
    • /
    • 2002
  • 목적: 스테로이드 투여 요법은 소아기의 신증후군에 있어 표준적인 치료요법이 되어왔다. 그러나, 성장하는 소아에서 장기간 스테로이드 투여로 인한 골다공증은 심각한 합병증의 하나이다. 최근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에 calcium, calcitonin, parathyroid hormone, vitamin D, bisphosphonate 제재 등이 성인환자에서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소아 신증후군 환아에서의 치료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1{\alpha}-(OH)D_3$와 Pamidronate의 치료효과를 보고자 골밀도 이중 에너지 흡수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과에서 장기간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았으며 이차적 골다공증이 생긴 60 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30명에겐 $1{\alpha}-(OH)D_3$를, 30명에겐 Pamidronate를 투여하였고, 혈청 단백질, 알부민, 요소질소, 크레아티닌, 칼슘, 인의 농도와 골밀도의 변화를 약제 투여전과 투여 6개월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및 결론 : 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1{\alpha}-(OH)D_3$ 와 Pamidronate 투여 집단에서 각각 평균 $6.9{\pm}3.3$$6.5{\pm}2.05$ 였고, 평균 스테로이드 투여 기간은 $28.8{\pm}1.8$$27.6{\pm}1.0$였다. 혈청 생화학 검사는 두 치료군 모두에서 치료 전과 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골밀도는 각각 치료전 $0.472{\pm}0.12$$0.457{\pm}0.10\;g/cm^2$에서 치료후 $0.533{\pm}0.12$$0.529{\pm}0.09\;g/cm^2$ 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P<0.05) $1{\alpha}-(OH)D_3$ 와 Pamidronate는 모두 장기간 스테로이드 치료를 요하는 소아 신증후군 환자에서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에 좋은 효과를 보여 주었다.

  • PDF

Alendronate와 Pamidronate가 인간 골수유래 간엽줄기세포의 증식과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ENDRONATE AND PAMIDRONATE ON THE PROLIFERATION AND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HUMAN BONE 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 김영란;류동목;권용대;윤영필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5권6호
    • /
    • pp.397-40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lendronate and pamidronate on proliferation and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human bone 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nd to relate the results with bisphosphonate 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BRONJ). With the consent of patients with no systemic disease and undergoing iliac bone graft, cancellous bone was collected to obtain human bone 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through cell culture. 96 well plate were prepared with a concentration of $10^4$cell/ well. Alendronate and pamidronate were added to each well with the concentration of $10^{-6}M$, $10^{-8}M$ and $10^{-10}M$, respectively. Then proliferation capacity of each well was evaluated with the cell counting kit. 24 well plates were prepared with a concentration of $10^5$cell/ml/well and with the bone supplement, alendronate and pamidronate were added with the concentration of $10^{-6}M$, $10^{-8}M$ and $10^{-10}M$, respectively on each plate. The plates were cultured for either 24 or 72 hours. Then the cells were sonicated to measure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d protein assay was done to standardize the data for analysis. As the concentration of alendronate or pamidronate added to the culture increased, the proliferation capacity of the cells decreased. However,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between the group with $10^{-10}M$ of bisphophonate and the control group. Pamidronate was not capable of increasing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all trials. However,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creased with 24 hours of $10^{-8}M$ of alendronate treatment and with 48 hours of $10^{-10}M$ of alendronate treatment. Cell toxicity increased as the bisphosphonate concentration increased. This seems to be associated with the long half life of bisphosphonate, resulting in high concentration of bisphosphonate in the jaw and thus displaying delayed healing after surgical procedures. Alendronate has shown to increase the alkaline phophatase activity of human bone 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However, this data is insufficient to conclude that alendronate facilitates the differentiation of human bone 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Further studies on DNA level and animal studies are required to support these results.

The Neurological Safety of Epidural Pamidronate in Rats

  • Lee, Pyung-Bok;Kim, Yong-Chul;Lee, Chul-Joong;Shin, Hye-Young;Lee, Seung-Yun;Park, Jong-Cook;Choi, Yun-Suk;Kim, Chong-Soo;Park, Sang-Hyun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3권2호
    • /
    • pp.116-123
    • /
    • 2010
  • Background: Pamidronate is a potent inhibitor of osteoclast-mediated bone resorption. Recently, the drug has been known to relieve bone pain. We hypothesized that direct epidural administration of pamidronate could have various advantages over oral administration with respect to dosage, side effects, and efficacy. Therefore, we evaluated the neuronal safety of epidurally-administered pamidronate. Methods: Twenty-seven rats weighing 250-350 g were equally divided into 3 groups. Each group received an epidural administration with either 0.3 ml (3.75 mg) of pamidronate (group P), 0.3 ml of 40% alcohol (group A), or 0.3 ml of normal saline (group N). A Pinch-toe test, motor function evaluation, and histopathologic examination of the spinal cord to detect conditions such as chromatolysis, meningeal inflammation, and neuritis, were performed on the 2nd, 7th, and 21st day following administration of each drug. Results: All rats in group A showed an abnormal response to the pinch-toe test and decreased motor function during the entire evaluation period. Abnormal histopathologic findings, including neuritis and meningeal inflammation were observed only in group A rats. Rats in group P, with the exception of 1, and group N showed no significant sensory/motor dysfunction over a 3-week observation period. No histopathologic changes were observed in groups P and N. Conclusions: Direct epidural injection of pamidronate (about 12.5 mg/kg) showed no neurotoxic evidence in terms of sensory/motor function evaluation and histopathologic examination.

파미드로네이트 치료받은 환자에서 발생한 골간단 경화성 선에 대한 장기간 추적 연구 (Long-term Follow-up of Metaphyseal Sclerotic Lines in Children Treated with Pamidronate)

  • 최유미;서진순;조병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8권2호
    • /
    • pp.92-97
    • /
    • 2014
  • 목적: 비스포스포네이트는 스테로이드 유발성 골다공증을 앓고 있는 환자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성장 중인 뼈에서 보이는 방사선학적 이상 소견에 대한 몇몇 보고가 있었다. 그래서 소아 환자에서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번 연구는 신병증을 가진 소아 환자에서 파미드로네이트 치료를 했을 때 발생한 방사선학적 이상 소견, 특히 골간단 경화성 선을 장기간 추적 관찰한 결과를 알기 위한 것이다. 방법: 경구로 칼슘제와 파미드로네이트(용량: 매일 100 mg)를 복용한 24명의 신병증 환아(평균 복용 기간: 9개월)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모든 대상 환아는 신병증에 대한 치료로 장기간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았기 때문에 스테로이드 유발성 골다공증을 앓고 있었다. 파미드로네이트 치료 전에 장골의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수년간 추적 관찰 하였다. 뼈의 성장 속도는 검사를 시행한 시간 간격에 따라 방사선 사진 상에서 경화성 선이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결과: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138개월이었다. 장골의 방사선 사진 상, 모든 환자에서 골간단의 끝부분에서 뚜렷한 경화성 선이 관찰 되었으며 이 경화성 선은 성장판에서 골간쪽으로 점점 이동하였다 경화성 선의 평균 이동 속도는 6.21 mm/년이었다. 24명 중 12명의 환자에서는 경화성선이 완전히 사라졌다. 그리고 평균 키의 성장 속도는 7.33 cm/년이었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 장기간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 파미드로네이트 치료와 연관된 골간단부의 경화성 선은 뼈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점점 없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므로 신병증을 가진 소아 환자에서 스테로이드 유발성 골다공증을 비스포스포네이트로 치료하는 것은 안전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좀 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메틸말론산혈증 환자에서 파미드로네이트 치료 1례 (Pamidronate therapy for a Patient with Methylmalonic acidemia)

  • 조수진;서고훈;김윤명;김구환;유한욱;이범희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17
    • /
    • 2018
  • 메틸말론산혈증은 선천성 유기산대사질환 중 하나로 증상의 발현시기 및 임상 증상이 매우 다양하며, 장기간의 합병증으로 세뇨관 간질 신염과 만성 신기능 저하, 췌장염, 기저핵 손상, 지능저하가 발생 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메틸말론산혈증의 세뇨관 간질신염을 동반한 활동저하 환자에서 파미드로네이트 치료를 통해 고칼슘혈증과 골다공증의 호전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Clinical investigation of bisphosphonate-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s in patients with malignant tumors

  • Kim, Sei-Kyoung;Kwon, Tae-G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8권3호
    • /
    • pp.152-159
    • /
    • 2012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bisphosphonate-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s (BRONJ) in patients diagnosed with malignant bone tumors. Demographic findings, laboratory, and radiographic analyses were performed to characterize disease severity and progression.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BRONJ (2005-2010) at the authors' hospital according to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were investigated. Twenty-one patients (12 with multiple myelomas, 7 with breast cancer, and 2 with prostate cancer) who had been treated with bisphosphonates (BPs) for malignant bone tumors were included. Radiographic evaluations with a panorama, computed tomography, whole body bone scan,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evaluated fo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c-reactive proteins (CRPs), and c-terminal cross-linked telopeptides (CTXs).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64.3 (range 51-80), and they were treated with BPs for an average of $35{\pm}19$ months before BRONJ was diagnosed. Types of BPs were zolendronic acid (81%, intravenous [IV]), pamidronate (4.8%, IV), zoledronic acid+pamidronate (4.8%, IV), alendronate (4.8%, per os [PO]), and ibadronate (4.75%, PO). Extraction (67%) and persistent irritation of dentures (20%) were the most common triggering factors. BRONJ in the mandible was reported in 62% of the cases, in the maxilla 24%, and both 14%. BRONJ occurre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s (n=12, 57.1%). Most of the patients revealed an advanced BRONJ stage; Stage I (n=2, 9%), Stage II (n=13, 62%), and Stage III (n=6, 29%). Conclusion: The differences of the ESR, CRP, and CTX values between the BRONJ-recurring and non-recurring patients after the treatment were not evident. Later stage BRONJ patients showed lower CTX levels. A drug holiday after the diagnosis of BRONJ did not remarkably influence the surgical outcomes. However, the limited number of patients in the study should be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