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latability

검색결과 624건 처리시간 0.03초

쑥 분말 첨가와 도체등급이 돈육 패티(Patty)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Mugwort Powder and Carcass Grad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y)

  • 문윤희;강세주;김영길;양종범;정인철;현재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7-102
    • /
    • 2003
  • 본 연구는 쑥의 첨가와 도체등급이 돈육 patty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쑥을 첨가하지 않은 B등급육 patty(A patty), 쑥을 첨가한 B등급육 patty(B patty), 쑥을 첨가하지 않은 E등급육 patty(C patty) 및 쑥을 첨가한 E등급육 patty(D patty)를 제조하고 일반성분, 열량, 아질산 잔류량, 표면색도, 조직감, 보수력 및 관능성을 실험하였다. 수분함량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조지방 함량과 열량은 B등급육 patty가 E등급육 patty보다 높았다. 조회분은 patty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아질산 잔류량은 쑥을 첨가한 patty가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낮았다. 명도(L)및 황색도(b)는 B등급육 patty가 높았으며, 적색도(a)는 E등급육 patty가 높았다. 경도, 응집성 및 씹힘성은 B등급육이 E등급육 patty보다 낮았다. 돈육 patty의 향기, 맛, 조직감, 다즙성, 색깔 및 종합적인 기호성은 patty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염농도 및 발효 온도가 물김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Cl Concentration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Mul-kimchi)

  • 오지영;한영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21-426
    • /
    • 1999
  • 염 농도$(0{\sim}3%)$와 발효 온도$(4,\;15,\;25^{\circ}C)$를 달리 하였을 때 물김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물김치에 대한 pH, 산도, 총 비타민C 함량, 텍스쳐 및 관능적 특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 물김치 국물의 pH 및 산도 변화는 온도가 높을수록 변화가 빠르게 나타났고, 염 농도 1.0%의 김치가 pH는 가장 높고, 산도는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배추 물김치의 경우는 온도별, 염 농도별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총 비타민 C 함량은 발효 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증가했으며 최대치에 달한 후 감소했는데, 그 변화는 온도가 높을수록 변화가 빠르게 나타났다. 무 물김치의 숙성적기 이후에는 염 농도가 높은 3.0% 김치에서 총 비타민 C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배추 물김치의 경우 염 농도 3.0>2.0>1.0>0.5>0.2% 순으로 염 농도가 높을수록 총 비타민 C함량이 높게 나타나 무 물김치와 차이를 보였다. 무 조직의 견고성은 $4^{\circ}C$ 숙성 김치의 경우 초기 값과 큰 차이가 없었고, $15,\;25^{\circ}C$ 숙성 김치는 발효가 진행되면서 감소되었고, 무와 배추 조직의 염 농도에 따른 변화는 염 농도가 높을수록 견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무 물김치의 염 농도에 따른 관능적 특성 전반적인 기호도 면에서는 염 농도 1.0% 김치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추 물김치도 역시 염 농도 1.0% 김치가 전반적인 기호도 면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lderberry Wine 제조(製造)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Elderberry Wine)

  • 노홍균;김동석;유태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42-253
    • /
    • 1980
  • 본(本) 연구(硏究)는 현재(現在) 우리나라에서 재배(栽培)되고 있는 Elderberry를 이용(利用)한 양조학적(釀造學的) 가능성(可能性)을 평가(評價)하기 위하여 균주별(菌株別), 저장(貯藏) 장태별(狀態別), 착즙(搾汁) 시기별(時期別)로 시험(試驗) 발효(醱酵)를 행(行)하였으며, 시험(試驗) 발효(醱酵)로 얻은 wine의 분석(分析) 및 관능(官能) 검사(檢査) 통(通)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Elderberry 열매의 일반(一般) 성분(成分)은 수분(水分) 82. 8%, 조지방(粗脂肪) 0. 82%, 조단백질(粗蛋白質) 3.73%, 조회분(粗灰分)은 0.83%이었다. 2. 과즙(果汁) 비율(比率)은 61.4%이었으며 과즙(果汁)은 당도(糖度) 9. 2%, 초산(醋酸) 0.62%, pH 4.46%이었다. 3. Saccharomyces cerevisiae ellipsoideus와 Saccharomyces cerevisiae montrachet를 사용(使用)한 균주별(菌株別) 시험(試驗) 발효(醱酵)에 있어서는, 알콜 생성능(生成能)이 높고 휘발산(揮發酸) 생성(生成)이 낮은 균주(菌株) Saccharomyces cerevisiae ellipsoideus가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4. Saccharomyces cerevisiae ellipsoideus를 사용(使用)한 저장(貯藏) 상태별(狀態別) 시험(試驗) 발효(醱酵)에 있어서는 건과(乾果)가 냉과(冷果)보다 발효(醱酵) 시기(時期)에는 알콜생성(生成) 및 당(糖)의 분해(分解)가 다소 빠른 편이었으나 발효(醱酵) 2일(日)부터는 냉과(冷果)가 건과(乾果)보다 훨씬 빨랐다. 시료(試料)의 전처리(前處理) 및 색깔 등을 고려할 때에 건과(乾果)보다 냉과(冷果)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양조상(釀造上) 유리한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5. Saccharomyces cerevisiae ellipsoideus를 사용(使用)한 착즙(窄汁) 시기별(時期別) 시험(試驗) 발효(醱酵)에 있어서는 성분(成分) 변화(變化) 및 색깔에 별차(別差)가 없었다. 6. 과실(果實) 및 wine의 유기산(有機酸)은 냉과(冷果)에 있어서는 citric acid가, 건과(乾果)에 있어서는 lactic acid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wine 제조시(製造時)에는 모두 lactic acid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7. 관능(官能) 검사(檢査) 결과(結果) 3일(日)째 착즙(窄汁)한 wine이 가장 좋았으며 건과(乾果)로 제조(製造)한 wine이 가장 나빴다.

  • PDF

백서에서 금식으로 인한 스트레스 대응축 활성화의 회복조절기전에서 구강인두로부터 입수되는 다양한 맛 자극의 효과 (Effects of oropharyngeal taste stimuli in the restoration of the fasting-induced activation of the HPA axis in rats)

  • 유상배;이종호;류비탈리;장정원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3호
    • /
    • pp.195-204
    • /
    • 2011
  • Introduc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gulatory mechanism underlying the meal-induced changes in th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gland (HPA) axis activity. Materials and Methods: Male Sprague-Dawley rats (250-300 g) were hired for two different experiments as follows; 1) rats received either 8% sucrose or 0.2% saccharin ad libitum after 48 h of food deprivation with the gastric fistula closed (real feeding) or opened (sham feeding). 2). rats received 5 ml of intra-oral infusion with 0.2% saccharin or distilled water after 48 h of food deprivation. One hour after food access, all rats were sacrificed by a transcardiac perfusion with 4% paraformaldehyde. The brains were processed for c-Fos immunohistochemistry and the cardiac blood was collected for the plasma corticosterone assay. Results: Real feedings with sucrose or saccharin and sham feeding saccharin but not sucrose, following food deprivation decreased the plasma corticosterone level. c-Fos expression in the nucleus tractus of solitarius (NTS) of the fasted rats was increased by the consumption of sucrose but not saccharin, regardless of the feeding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consumption of sucrose or saccharin with real feeding but not the sham, induced c-Fos expression in the paraventricular nucleus (PVN) of the fasted rats. The intra-oral infusion with saccharin or water decreased the plasma corticosterone level of the fasted rats. Intra-oral water infusion increased c-Fos expression in both the PVN and NTS, but saccharin only in the NTS in the fasted rats. Conclusion: Neither restoration of the fasting-induced elevation of plasma corticosterone nor the activation of neurons in the PVN and NTS after refeeding requires the palatability of food or the post-ingestive satiety and caloric load. In addition, neuronal activation in the hypothalamic PVN may not be an implication in the restoration of the fasting-induced elevation of the plasma corticosterone by oropharyngeal stimuli of palatable food.

히솝(Hyssopus officinalis)을 혼합한 쌀음료 제조조건 설정 (Establishment of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of hyssop (Hyssopus officinalis)-rice drink)

  • 김학윤;김숙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45-352
    • /
    • 2015
  • 쌀과 히솝을 이용하여 히솝쌀음료를 가공하고자 제조특성을 조사하였다. 히솝쌀음료의 제조조건은 amylase 함량($X_1$, 1~5 mL), 당화시간($X_2$, 10~18 hr) 및 히솝 함량($X_3$, 1.0~3.0 g)으로 당화 후 당도, 황색도, 관능적 특성을 반응표면분석을 통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당화 중 당 함량이 가장 많이 생성되는 조건은 amylase 함량 4.96 mL, 당화시간 14.93 hr 및 히솝 함량 2 g에서 $9.62^{\circ}Brix$로 나타났다. 황색도인 Hunter's color b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조건은 amylase 함량 1.90 mL, 당화시간 16.64 hr 및 히솝 함량 2.51 g에서 $14.86^{\circ}Brix$로 나타났다. 색상에 대한 최대의 관능평점은 amylase 함량 4.60 mL, 당화시간 15.66 hr 및 히솝 함량 1.57 g에서 4.09로 나타났다. 향미에 대한 최대의 관능평점은 amylase 함량 3.46 mL, 당화시간 10.79 hr 및 히솝 함량 1.45 g에서 3.99로 나타났다. 맛에 대한 최대의 관능평점은 amylase 함량 3.67 mL, 당화시간 17.64 hr 및 히솝 함량 1.76 g에서 3.17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종합적인 선호도를 나타내는 전반적인 기호도는 amylase 함량 3.73 mL, 당화시간 13.66 hr 및 히솝 함량 1.85 g에서 3.61로 가장 높게 나타나 최적조건을 설정할 수 있었다.

참취 추출물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Aster scaber extracts solution and powder)

  • 김규민;김현기;홍주연;최영준;남학식;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28-334
    • /
    • 2015
  • 본 연구는 참취를 이용한 가공식품의 개발을 위하여 참취 착즙액 및 참취 분말을 첨가한 참취 국수의 개발과 더불어 이들 첨가량에 따른 수분함량, 재흡수률, 색도, 물성 등 이화학적 특성과 조리국수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참취 국수의 품질특성 결과, 참취 국수의 조리 후 중량은 대조군과 착즙액을 첨가한 국수에서 높았고, 수분흡수율은 참취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참취 국수의 생면과 조리면의 색도 측정 결과 L값은 참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했고, a값은 모두 음의 값을, b값은 모두 양의 값을 보여 녹황색임을 의미하였다. 참취 국수 생면의 pH는 대조군 및 분말 첨가 국수에서 pH 5~6을 보였으며, 착즙액을 첨가한 국수에서는 보다 낮은 pH값을 보였다. 참취 국수 생면의 물성 측정 결과 탄력성은 참취의 첨가량이 적을수록 높았고, 응집성은 대조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씹힘성은 참취 분말을 첨가한 국수에서 높았다. 참취 국수 조리면의 관능 평가는 대조군에 비해 참취 착즙액과 분말첨가 국수의 기호도가 비교적 높았으며, 특히 참취 착즙액을 첨가한 국수가 분말첨가 국수보다 기호도가 더 높았다. 따라서 참취 착즙액과 분말을 첨가한 참취 국수는 대조군에 비해 기호성 등이 우수하였으며, 참취를 이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의 개발은 국민 건강과 더불어 참취의 소비확대 및 부가가치 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색미 미강층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도병의 제병 적성 검정 (Processibility aptitude of Dobyeong with pigmented rice bran extract)

  • 김주희;김미현;강미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6호통권96호
    • /
    • pp.898-90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유색미를 미강과 배유 부분으로 분리 활용함으로써 쌀 가공제품의 다양화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색미 미강층 에탄올 추출물 일정량 첨가시켜 제조한 도병의 가공적성을 검토하였다. 일반미에 유색미 미강층 에탄올 추출물 0.5% 첨가하여 제조한도병과 유색미로만 만든 도병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색미 도병이 유색미 미강추출물을 첨가한 도병에 비해 부피가 줄어들어 있고 조직도 거침을 알 수 있다. 유색미 도병에 비해 유색미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도병에서 점도가 더 낮게 나타나 유색미 단독으로 도병을 제조하는 것보다 일반미에 미강 추출분획을 첨가하여 도법을 제조하는 것이 노화억제 효과가 더 큼을 알 수 있다. 탄력성, 부착성, 응집성, 껌성 및 씹힘성은 유색미 도병에 비해 유색미 분획추출을 첨가한 도병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유색미 도병과 유색미 추출분획을 첨가한 찹쌀도병 간에 경도 차이는 없었다. 유색미 도병에 비해 유색미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찹쌀도병은 유색미의 강한 향은 반감시키고, 노화가 덜 일어났으며 색감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유색미 미강추출물을 첨가하여 도병을 제조 할 경우 식품에서 중요한 기능인 기호성도 고려하면서 유색미의 생리활성물질까지 이용할 수 있으므로 건강 기능성 쌀 가공식품 제조용 신소재로서의 적극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도에서 사육된 개량 흑돼지와 비육돈 등심의 아미노산 함량 및 육질 특성 (Amino Acid Contents and Meat Quality Properties on the Loin from Crossbred Black and Crossbred Black and Crossbred Pigs Reared in Jejudo)

  • 양승주;김영길;현재석;문윤희;정인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2
    • /
    • 2005
  • 제주도산 돼지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체중 90∼100 kg(JJ90) 및 110∼120 kg(JJ110)의 일반돼지와 생체중 90∼100 kg(JB90)의 개량 흑돼지 등심에 대한 구성 아미노산과 유리 아미노산 함량, pH, 보수력, 경도, 씹힘성, 색도 및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구성 아미노산 총량은 18.15∼20.22%로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모두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및 leucine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JB90이 0.891%로 JJ90과 JJ110보다 많았으며, taurine, serine, glycine, alanine, valine과 leucine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적색도 및 황색도는 JB90이 JJ90과 JJ110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보수력, 경도, 씹힘성, 다즙성 및 종합적인 기호도는 JJ90보다 JJ110과 JB90이 우수하였으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숙성온도(熟成溫度)에 따른 김치의 비휘발성(非揮發性) 유기산(有機酸)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Kimchis fermen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 김현옥;이혜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4-81
    • /
    • 1975
  • 생(生)배추, $6^{\circ}{\sim}7^{\circ}C$ 숙성(熟成)김치, $22^{\circ}{\sim}23^{\circ}C$ 숙성(熟成)김치를 ion-exchange chromatography로 총유기산(總有機酸)을 분리(分離)하고, silicic acid partition column chromatography로 각유기산(各有機酸)으로 분리(分離), 정량(定量)한 후(後) paper chromatography로 정성확인(定性確認)하였다. 생(生)배추, $6^{\circ}{\sim}7^{\circ}C$ 숙성(熟成)김치, $22^{\circ}{\sim}23^{\circ}C$ 숙성(熟成)김치에는 maleic, fumaric, lactic, succinic, malonic, oxalic, glycolic, malic, citric, tartaric acid 의 유기산(有機酸)과 $H_2SO_4$, $H_3PO_4$ 의 무기산(無機酸)이 들어 있다. 생(生)배추에는 유기산(有機酸)이 염(鹽)의 형태(形態)로 많이 들어 있으며, malic acid가 가장 많고, $6^{\circ}{\sim}7^{\circ}C$ 숙성(熟成)김치, $22^{\circ}{\sim}23^{\circ}C$ 숙성(熟成)김치에는 lactic acid+succinic acid 가 가장 많다. $6^{\circ}{\sim}7^{\circ}C$ 숙성(熟成)김치에는 $22^{\circ}{\sim}23^{\circ}C$ 숙성(熟成)김치보다 lactic acid와 succinic acid의 생성량(生成量)이 많으며, citric acid의 생성량(生成量)은 비슷하고, oxalic, malic, tartaric, fumaric, malonic, maleic, glycolic acid 의 생성량(生成量)은 적다. $6^{\circ}{\sim}7^{\circ}C$ 숙성(熟成)김치가 $22^{\circ}{\sim}23^{\circ}C$ 숙성(熟成)김치보다 더 상큼한 산미(酸味)가 많고 맛이 좋으며 이는 많이 생성(生成)된 lactic acid와 succinic acid 가 관련(關聯)이 되는 것 같다.

  • PDF

건조 감귤부산물을 급여한 제주도 재래돼지의 품질 (Quality of Jeju Island's Indigenous Pork Fed with Dried Citrus Byproducts)

  • 정인철;문윤희;양승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28-232
    • /
    • 2007
  • 본 연구는 대량으로 폐기되고 있는 밀감 부산물을 제주 재래돼지에게 급여하여 폐기물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밀감 부산물이 제주 재래돼지의 품질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돼지고기는 밀감 부산물을 급여하지 않은 제주도 재래돼지 등심부위(JNP-0) 및 밀감 부산물을 육성기에 8% 급여한 후 비육기에 15% 급여한 등심부위를 대상으로 품질 및 관능특성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pH, VBN 함량 및 일반세균수는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TBARS 값은 감귤 부산물을 급여한 돼지고기(0.149 mg MA/kg)가 급여하지 않은 돼지고기(0.209 mg MA/kg)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표면색도 중에서 L*값은 시료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a* 및 b*값은 JNP-0가 JNP-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보수력 및 팬 가열감량은 JNP-0가 JNP-1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동결감량, 해동감량, 열탕 가열감량은 시료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기계적 물성에서 경도, 탄성, 응집성, 씹힘성 및 전단력은 차이가 없었으나 뭉침성은 JNP-1이 JNP-0보다 높았다(p<0.05). 돼지고기의 맛, 풍미,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연도는 JNP-1이 JNP-0보다 유의하게 우수하였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