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ired-t tests

검색결과 394건 처리시간 0.029초

리소스 마인드풀니스에 관한 효과성 연구 (Effect of Resource Mindfulness on Emotional State, Focusing on Anxiety and Stress Reduction)

  • 이승호;이도은;유영수;정문주;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7-189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mpact of Resource Mindfulness on participants' emotional state, focusing on anxiety and stress reduction and to explore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resources in this process. The effectiveness of Resource Mindfulness was investigated throug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examining its influence on subjective distress, mindfulness, core emotions, and identification of personal resources. Methods: This study involved 27 participants, including Korean medicine students, psychological counselors, clinical psychologists, and Korean medicine specialists, who attended a 2-night, 3-day M&L psychological support education program from July 2 to July 4, 2022. Participants were informed of the study's purpose and procedures. They provided written consent. Quantitative measures included Subjective Units of Disturbance Scale (SUDS), Five Facet Mindfulness Questionnaire (FFMQ), and Core Seven-Emotions Inventory Short Form (CSEI-s).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rawing the Rooms of the Mind" technique. Pre- and post-program assessments were conducted to compare changes in subjective distress, mindfulness, and core emotions.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s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s. Results: Significant reductions in subjective distress and improvements in mindfulness components were observed. Core emotions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negative emotions.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increased tranquility, relief, and confidence, with resourceful places often being nature-related. Conclusions: Resource Mindfulness effectively reduced anxiety and stress and enhanced self-awareness and self-efficacy. It is useful for managing various mental health issu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generalize these findings.

Comparison of the Strength of the Ankle Evertor, Invertor, and Ratio at Different Ankle and Toe Positions Between Sides With and Without Chronic Ankle Instability in Taekwondo Athletes

  • Beom-jun Kim;Ui-jae Hwang;Oh-yun Kwo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1-158
    • /
    • 2024
  • Background: In Taekwondo athletes, ankle sprain is the most common risk factor for injury. Repeated ankle injuries lead to weakness and imbalance of the ankle muscles, resulting in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Both the ankle and toe muscles contribute to the inversion and eversion of the foot at the subtalar joi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ankle and toe joint positions when measuring ankle invertor and evertor strength. Object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muscle strength and ratio differences of the ankle invertor and evertor muscles in both the toe and ankle positions between the CAI and uninjured sides in Taekwondo athletes. Methods: Fifteen Taekwondo athlet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sometric strengths of both the ankle invertor and evertor were determined in different ankle and toe positions (dorsiflexion with toe extension, dorsiflexion with toe flexion, plantarflexion with toe extension, and plantarflexion with toe flexion). Paired t-tests were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nkle invertor and evertor in strength and ratio according to toe and ankle positions between the ankle CAI side and the uninjured side.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nkle evertor strength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ankle and toe positions on the CAI side (p < 0.05).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ratios of the ankle invertor and evertor strengths in the dorsiflexion with toe flexion, plantarflexion with toe extension, and plantarflexion with toe flexion positions (p < 0.05).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thletes, trainers, and clinicians should consider ankle and toe positions when measuring invertor and evertor strength and develop ankle rehabilitation protocols for Taekwondo athletes with CAI.

임플란트 길이, 직경 및 식립 위치에 따른 임플란트 안정성에 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f implant stability according to the implant length, diameter and position)

  • 김지혜;전진용;허유리;손미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69-275
    • /
    • 2013
  •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임플란트 직경, 길이 및 식립 부위가 임플란트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후향적 평가를 통해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72명의 환자에게 식립된 총 90개의 임플란트(US II plus$^{TM}$, Osstem co, Busan, Korea)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식립 직후와 인상 채득 당시에 공진주파수분석법(RFA)으로 임플란트 안정성 지수(ISQ)가 측정되었다. 상 하악에 식립된 직경은 4 mm와 5 mm이고 길이는 10 mm, 11.5 mm, 13 mm인 임플란트가 실험대상으로 선택되었다. 측정된 ISQ 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우선적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Independent t-test를 시행하였다. 임플란트 직경, 길이, 식립부위에 따른 ISQ 값의 실험군간 차이는 One-way ANOVA를 이용해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을 위해 Tukey HSD test가 사용되었다. 임플란트 식립시와 인상채득시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인상채득시가 임플란트 식립 직후보다 임플란트 안정성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임플란트 길이가 증가할수록 ISQ 값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직경 5 mm 임플란트는 4 mm 임플란트 보다 유의성 있게 높은 ISQ 값을 보였다(P<.05). 하악에 식립된 임플란트가 상악보다 더 높은 ISQ값을 보였다(P<.05). 결론:본연구결과, 임플란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경이 큰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악보다는 하악에서 더 높은 임플란트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임플란트 식립 직후의 일차 안정성보다 골유착 후 이차 안정성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서 RFA를 이용한 방법이 골유착을 통한 임플란트 안정성의 변화를 평가함에 있어 임상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임플란트 안정성 평가와 이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한 고려는 임플란트 하중 시기를 결정하고 임플란트 성공률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구강악습관이 저작근 및 안면표정근의 경직도 및 탄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al Parafunction on the Stiffness and Elasticity in the Muscles of the Mastication and Facial Expression)

  • 김승기;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1호
    • /
    • pp.85-95
    • /
    • 2008
  • 구강안면통증의 주원인의 하나인 측두하악장애는 다양한 기여요인에 의해 발생하거나 악화되는데, 특히 이갈이, 이악물기 등의 비기능적 구강악습관은 중요한 기여요인으로 고려된다. 구강악습관과 저작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근전도 등을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져왔으나, 안면표정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거의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근육의 탄성도과 경직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촉각센서(tactile sensor)를 이용하여 구강악습관이 저작근과 안면표정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건강하고 건전한 치열을 가지고 있으며 Class I 교합관계의 정상골격인 지원자10명(20대 남성)을 연구대상으로 선택하여 촉각센서(Venustron II, Axiom Co, 일본)를 이용하여 이완 상태와 편측 이악물기(피검자가 선호하는 측의 제1대구치 부위에서 교합측정기를 50Kg force의 힘으로 깨문 상태), 턱내밀기(전치 상하절단연이 만나는 위치까지 턱을 내민 상태), 입술힘주기(치아는 닿지 않는 상태에서 입술만 꼭 다문 상태) 상태에서 저작근과 안면표정근의 경직도와 탄성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근육은 측두근 전부, 교근(이상 저작근), 전두근, 하안륜근, 대관골근, 상 하 구륜근, 이근(이상 안면표정근)이었다. 통계처리를 위해 paired t-test, correlation coefficients, ANOVA 및 multiple comparison t-tests을 사용하였다. 편측 이악물기를 할 때 측정한 모든 근육에서 경직도와 탄성도는 좌우 차이를 보이지 않고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근은 편측 이악물기 뿐만 아니라 턱내밀기, 입술힘주기의 시행된 모든 구강악습관에 의해 경직도가 증가하고 탄성도는 감소하였다(p<0.05). 측두근과 대관골근은 편측 이악물기의 영향을 받았으며, 상 하구륜근 및 이근의 경직도와 탄성도는 입술힘주기에 의해 크게 변화하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편측 이악물기, 턱내밀기, 입술힘주기 같은 구강악습관은 저작근뿐만 아니라 안면표정근, 특히 구강주위근육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치료 전후 교합력 비교 (Comparison of Bite Forces between Pre- and Post-Treatment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이상일;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2호
    • /
    • pp.211-218
    • /
    • 2007
  • 본 연구는 측두하악장애가 관절과 근육 등 다양한 구조물에 이환되는 복합적인 질환을 통칭하는 용어인 점을 고려하여 이환 구조물에 따라 세부 진단군으로 분류하여 최대교합력을 조사함으로써 진단에 따른 교합력의 차이 및 치료 전후의 교합력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측두하악장애 환자 중 교합이 비교적 정상이고 치아상실이나 치주질환이 심하지 않은 편측성 증상과 징후를 환자 중에서 치료가 종결된 환자 36명 (남:여=7:29, 평균연령 $28.1{\pm}13.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 내원시에 교합력측정기를 이용하여 이환측 및 비이환측의 견치와 제1대구치에서 최대교합력을 측정하여 비교한 다음, 치료가 종결된 상태에서 다시 한번 최대교합력을 측정, 비교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paired t-test, ANOVA, multiple comparison t-tests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견치에서는 증상측과 비증상측 모두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 최대교합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증가했으며,(p=0.001, p=0.000) 제1대구치에서는 증상측에서만 다소 증가된 경향을 보여주었다.(p=0.081) 치료전후의 최대교합력의 변화는 견치에서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측두하악장애를 이환 조직에 따라 저작근장애군, 관절내장증군, 관절염증군 및 골관절염군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때 증상측 구치부에서 각 진단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고,(p=0.023) 견치에서는 일부 군에서만 차이가 관찰되었다. 견치와 제1대구치 모두에서 골관절염군의 최대 교합력이 다른 군과 비교하여 가장 낮았는데, 이는 통증과 정형적 불안정이 교합력의 감소를 유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치료전후의 차이는 저작근장애군과 관절내장증군에서는 증상측에서 유의하게 관찰된 반면, 골관절염군에서는 비증상측에서 유의하게 관찰되었다(p<0.05). 즉, 본 연구는 근육 또는 관절 기원의 통증, 기능이상, 정형적 불안정은 최대교합력의 감소를 야기하며 이는 보존적인 치료 후에 회복됨을 보여주는데, 치료 전후의 변화는 제1대구치보다 견치에서 뚜렷하게 나타났음을 시사한다.

췌담관자기공명영상에서 2D TSE(RT)와 3D GRASE(BH) 기법에 대한 영상의 질 평가 : Fast MRCP 기법 (Evaluation of Image Quality for 2D TSE(RT) and 3D GRASE in MRCP Study: Fast MRCP Method)

  • 구은회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983-98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환자상태가 좋지 않은 환자에게 적용하기 위하여 Fast MRCP 검사 방법를 이용한 2D TSE(RT)와 3D GRASE(BH) 기법에 적용하여 영상의 질을 평가하고 임상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한다. MRCP 검사를 시행한 환자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 평균나이 64±4.26)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사용된 장비는 Ingenia CX 3.0 T 장비를 사용하였고 Data 획득은 Ds anterior Coil을 사용하였다. 정량적 분석으로 각 영상의 SNR과 CNR을 측정하고 정성적 평가를 위해 5등급으로 나누어 영상의 질을 평가하였다. 영상평가는 paired t-test와 wilcoxon 검정을 하였으며 p 값이 0.05 이하 일 때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SNR과 CNR에 대한 정량적 분석 결과 2D TSE(RT) MRCP 와 3D GRASE(BH) 두 기법을 비교했을 때 3D GRASE(BH)가 높게 측정되었다(p<0.05). 정성적 분석결과는 담관의 선예도: 3D GRASE(BH):4.12 ± 0.03, 전반적인 영상의 질: 3D GRASE(BH):4.21 ± 0.91로 높게 나타났다(p=0.001). 담관의 움직임 인공물은 두 기법(2D TSE(RT): 4.41 ± 0.04, 3D GRASE(BH): 4.53 ± 0.14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67). 그러나 배경소거부분은 2D TSE(RT)가 4.14 ± 0.55로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다(p=0.001). 결론적으로, Fast MRCP 검사방법을 이용한 결과 3D GRASE (BH)로 획득한 MRCP 영상이 2D TSE(RT)를 사용한 MRCP 영상에 비해 우위의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호흡을 참기 힘든 환자의 경우 2D TSE(RT) MRCP 기법이 유용성이 있는 결과가 있을 것이다.

Comparison of Three, Motion-Resistant MR Sequences on Hepatobiliary Phase for Gadoxetic Acid (Gd-EOB-DTPA)-Enhanced MR Imaging of the Liver

  • Kim, Doo Ri;Kim, Bong Soo;Lee, Jeong Sub;Choi, Guk Myung;Kim, Seung Hyoung;Goh, Myeng Ju;Song, Byung-Cheol;Lee, Mu Sook;Lee, Kyung Ryeol;Ko, Su Yeo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1권2호
    • /
    • pp.71-81
    • /
    • 2017
  • Purpose: To compare three, motion-resistant, T1-weighted MR sequences on the hepatobiliary phase for gadoxetic acid-enhanced MR imaging of the liver.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79 patients underwent gadoxetic acid-enhanced, 3T liver MR imaging. Fifty-nine were examined using a standard protocol, and 20 were examined using a motion-resistant protocol. During the hepatocyte-specific phase, three MR sequences were acquired: 1) gradient recalled echo (GRE) with controlled aliasing in parallel imaging results in higher acceleration (CAIPIRINHA); 2) radial GRE with the interleaved angle-bisection scheme (ILAB); and 3) radial GRE with golden-angle scheme (GA). Two readers independently assessed images with motion artifacts, streaking artifacts, liver-edge sharpness, hepatic vessel clarity, lesion conspicuity, and overall image quality, using a 5-point scale. The images were assessed by measurement of liver signal-to-noise ratio (SNR), and tumor-to-liver contrast-to-noise ratio (CNR). The results were compared, using repeated post-hoc, paired t-tests with Bonferroni correction and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with Bonferroni correction. Results: In the qualitative analysis of cooperative patients, the results for CAIPIRINHA had significantly higher ratings for streak artifacts, liver-edge sharpness, hepatic vessel clarity, and overall image quality as compared to, radial GRE, (P < 0.016). In the imaging of uncooperative patients, higher scores were recorded for ILAB and GA with respect to all of the qualitative assessments, except for streak artifact, compared with CAIPIRINHA (P < 0.016).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ILAB and GA. For quantitative analysis in uncooperative patients, the mean liver SNR and lesion-to-liver CNR with radial GR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AIPIRINHA (P < 0.016). Conclusion: In uncooperative patients, the use of the radial GRE sequence can improve the image quality compared to GRE imaging with CAIPIRINHA, despite the data acquisition methods used. The GRE imaging with CAIPIRINHA is applicable for patients without breath-holding difficulties.

암성통증에 대한 SBVP 효과 - 무작위대조시험, 이중맹검 (The Effect of Sweet Bee Venom Pharmacopuncture(SBVP) on Cancer-Related Pain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Double Blinded - Pilot study)

  • 유화승;김정선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1-29
    • /
    • 2008
  •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s of SBVP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ancer-related pain. Design : A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of SBVP. Setting : The study was conducted at the East West Cancer Center of Daejeon University Dunsan Oriental Hospital from March 1, 2007 to June 20, 2007. Patients : 11 patients diagnosed with cancer-related pain of over 3rd degree on the Numeric Rating Scale(NRS)(0, no pain at all, 10, worst pain imaginable) were entered into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of SBVP. They were randomized into Groups A and B(SBV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using the table of random sampling numbers and never informed of their affiliation by the coordinator. 5 of 6 patients in Group A and 4 of 5 patients in Group B completed the clinical trial. Intervention : SBVP(1ml/day) for group A and Normal Saline Placebo(1ml/day) for group B was injected into the abdomen acupoint, Zhong Wan(CV 12). The treatment was administered daily for five days. Outcome Measures : Degree of cancer-related pain was measured using the Numeric Rating Scale(NRS) before and after each treatment for "Pain right now" and "Average pain in last 24 hours". Statistical Analysis : Analysis regarding variations in NRS was carried out by applying t-tests(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ired sample t-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ith level of significance at 5%. Results : Differences in NRS of "Pain right now" for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an improvement point of SBV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2.48^{\circ}{\pm}1.52$ vs $0.97^{\circ}{\pm}1.88$, p<0.05). Differences in average pain score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SBVP group were also significant($5.13^{\circ}{\pm}1.77$ vs $2.65^{\circ}{\pm}0.67$, p<0.05)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two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long term effects in "Average pain in last 24 hours." Conclusion : Although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on the large scale, SBVP shows potential as an effective treatment for immediate relief of cancer-related pain.

복합운동이 고령여성의 혈중 염증인자, DHEA-s 및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the blood inflammatory factors, DHEA-s and arterial stiffness of elderly women)

  • 하수민;김정숙;김지현;김도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096-1107
    • /
    • 2018
  • 본 연구는 만 70~85세의 고령여성을 대상으로 주 1회 아쿠아로빅과 주 2회 맨손근력운동을 실시하는 복합운동프로그램을 12주간 적용하여 혈중 염증인자, DHEA-s 및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운동군 21명, 대조군 21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1회 운동지속시간은 60분으로 4주 간격으로 운동강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실시하였다. 복합운동 전과 후에 측정된 자료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을 위해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T검정을 사용하여 사후분석을 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12주간의 복합운동은 고령여성의 염증반응을 감소 시켰으며, DHEA-s가 증가함에 따라 노화호르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맥경직도는 중심동맥혈압(수축기, 이완기)이 감소하였고, 맥압 및 파형증가지수의 증가를 완화하였으며, 맥파전파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고령여성의 건강한 노화와 장수를 위해서 항염증, 노화호르몬의 개선 및 혈관건강의 역할로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복합운동이 권장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순환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건강 체력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irculation exercise on Health Related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obese middle age women)

  • 손원목;오덕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70-17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 순환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건강 체력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BMI\;25kg/m^2$ 이상인 40대 비만중년여성 중 순환운동군(10명), 대조군(10명)으로 총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모든 검사항목은 동일한 방법과 조건으로 건강 체력 및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대하여 사전, 사후 총 2회 측정하였다. 순환운동은 12주간, 주3회, 30~40분, 60~80%HRR 강도로 실시하였다. 측정변인에 대해 평균값과 표준편차($M{\pm}SD$)를 산출한 후 사전 운동군과 대조군의 신체적 특성과 각 측정변인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위하여 독립 t-test를, 집단 내의 사전 사후 평균치 변화에 대한 차이 검증은 종속 t-test를, 집단 간 차이에 대한 주효과 검정 및 집단 간 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는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건강 체력에서 체지방률(p<.01)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제지방량(p<.05), 근지구력(p<.01), 유연성(p<.01) 및 심폐지구력(p<.001)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중 허리둘레(p<.05), SBP(p<.05), Glucose(p<.05) 및 TG(p<.001)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HDL-C(p<.001)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순환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건강 체력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