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ddy weed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36초

다분광 영사을 이용한 논 잡초 검출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n Algorithm to Detect Weeds in Paddy Field Using Multi-spectral Digital Image)

  • 서상룡;김영태;유수남;최영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1권1호
    • /
    • pp.59-64
    • /
    • 2006
  • Application of herbicide for rice cropping is inevitable but notorious for its side effect of environmental pollution. Precision fanning will be one of important tools for the least input and sustainable fanning and could be achieved by implementation of the variable rating technology. If a device to detect weeds in rice field is available, herbicide could be applied only to the places where it is needed by the manner of the variable rating technology.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n algorithm of image processing to detect weeds in rice field using a machine vision system of multi-spectral digital images. A series of multi-spectral rice field picture of 560, 680 and 800 nm of center wavelengths were acquired from the 27th day to the 39th day after transplanting in the ineffective tillering stage of a rice growing period. A discrimination model to distinguish pixels of weeds from those of rice plant and weed image was developed. The model was proved as having accuracies of 83.6% and 58.9% for identifying the rice plant and the weed, respectively. The model was used in the algorithm to differentiate weed images from mingled images of rice plant and weed in a frame of rice field picture. The developed algorithm was tested with the acquired rice field pictures and resulted that 82.7%, 11.9% and 5.4% of weeds in the pictures were noted as the correctly detected, the undetected and the misclassified as rice, respectively, and 81.9% and 18.0% of rice plants in the pictures were marked as the correctly detected and the misclassified as weed, respectively.

벼 어린모 기계이앙답에서 수면부상성 Benzobicyclon합제의 제초활성 (Herbicidal Efficacy of Benzobicyclon Up Granule Formulations in Infant Seeding Machine Transplanting of Rice)

  • 원옥재;신훈탁;노석원;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225-229
    • /
    • 2016
  • 본 시험은 벼 어린모 기계이앙 답에서 발생하는 일년생 잡초와 다년생잡초에 대한 방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enzobicyclon을 기반으로 한 수면부상성 입제로 개발한 BAO UG와 BBF UG의 방제효과를 BIF SC와 비교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약제인 BAO UG와 BBF UG의 잡초방제효과는 96%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벼에 대한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후기생육 및 수확량에 있어서도 시험약제와 대조약제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모두 벼에 대해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사용한 수면부상성 입제의 경우 쉽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벼 생력재배를 위해 이용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 남부지역 논잡초 발생분포 및 군락변화 (Weed Population Distribution and Change of Dominant Weed Species in Paddy Field of Southern Gyeonggi Region)

  • 박중수;원태진;노안성;장재은;김희동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2호
    • /
    • pp.86-94
    • /
    • 2014
  • 2013년에 경기 남부지역 벼 재배면적 64.9천ha를 대상으로 약 325 ha당 1점씩을 기준으로 하여 200개 지점에서 답유형, 이앙시기, 농업지대 등으로 구분하여 논잡초 분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생 논잡초 초종은 화본과 3종, 사초과 5종, 광엽 및 기타 잡초가 11종 등 총 19종으로 2005년 17종에 비해 2종이 증가하였다. 논잡초의 우점도는 올방개> 피> 벗풀>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가막사리> 순이었으며, 2005년 대비 올방개($30{\rightarrow}21%$), 가막사리($10{\rightarrow}6%$)는 감소하였고, 물달개비(815%), 올챙이고 랭이($2{\rightarrow}9%$), 벗풀($14{\rightarrow}16%$), 피($16{\rightarrow}18%$)는 증가하였다. $m^{-2}$ 당 논잡초 발생량은 2005년 2.83 g 에서 2013년에는 3.51 g으로 0.68 g 증가하였다. 일년생과 다년생잡초의 생활형 비율은 2005년 각각 45.2%: 54.8%에서 2013년에는 각각 45.8%: 54.2%로 나타났다. 논유형별 논잡초 발생분포는 보통답, 습답, 사질답에서 올방개, 염해답에서는 새섬매자기가 최우점 잡초로 나타났다. 이앙기별 논잡초 발생분포는 5월 중순은 올방개, 피, 5월 하순은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6월 상순은 물달개비, 올방개가 우점하였다. 경운방법별 논잡초 발생분포는 추경은 올방개, 피, 춘경은 올방개, 벗풀이 우점하였으며, 농업지대별 논잡초 발생분포는 남부평야는 올방개, 피, 서부해안은 물달개비, 가막사리, 동부내륙은 올방개, 벗풀이 우점하였다. 농가의 제초제 처리횟수는 2회 이상이 96%로 2005년 62%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으며, 적기처리 농가는 89%로 2005년 86%에 비해 소폭 증가하였다. 앞으로 전국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등 SU계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발생 증가가 예상되므로 주기적인 논잡초 발생 모니터링과 아울러 효율적인 방제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전국(全國) 맥류재배포장(麥類栽培圃場)의 잡초발생분포(雜草發生分布) 조사(調査) (Distribution of Weed Population in the Winter Wheat and Barley Field in Korea)

  • 하용웅;남윤일;박무언;조장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0-128
    • /
    • 1983
  • 전국(全國) 맥류재배포장(麥類栽培圃場)의 전답(田畓) 및 각(各) 재배조건(載培條件)에 따른 잡초(雜草)의 발생(發生) 및 분포(分布)를 조사(調査)코자 1982 년(年) 월동전(越冬前) 12월(月)과 '83 월동후(越冬後) 3~4월(月)에 60 개군(個郡) 1,800 개(個) 지점(地點)을 대상(對象)으로 조사(調査)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맥류재배포장(麥類栽培圃場)에 발생(發生)하는 주요(主要) 잡초(雜草)는 화본과(禾本科) 2종(種), 광엽잡초(廣葉雜草) 35종(種)이었으며, 이 중(中) 전작(田作)에 발생(發生)하는 것이 36종(種), 답리작(畓裏作)에 발생(發生)하는 것이 29종(種)이었다. 2. 생활형(生活型)으로 보면 월년생(越年生) 잡초(雜草)가 42~45%로 가장 많이 발생(發生)하였고 다음이 다년생(多年生), 일년생(一年生)의 순위(順位)였다. 3. 맥류재배포장(麥類栽培圃場)의 최우점(最優點) 잡초(雜草)는 전작(田作)에서 벌꽃과 독새풀이었고, 답리작(畓裏作)에서는 독새풀과 벼륙나물이었다. 4. 지역별(地域別) 잡초분포(雜草分布)는 어느 지역(地域)이나 월년생(越年生) 잡초(雜草)가 가장 많았는데 전작(田作)이 답리작(畓裏作)보다 또 남(南)쭉으로 갈수록 초종수(草種數) 많았다. 5. 재배(栽培) 양식별(樣式別) 잡초(雜草) 발생량(發生量)을 보면 관행파(慣行播)>광파(廣播)>휴립광산파(畦立廣散播)>협폭파(狹幅播)의 순서(順序)였고, 휴폭(畦幅)이 넓은 것이 잡초발생(雜草發生)이 많았다. 6. 무경운재배(無耕耘栽培)는 경운재배(耕耘栽培)보다 잡초발생수(雜草發生數)가 많았는데 월동전(越冬前)에는 일년생(一年生) 잡초(雜草)가 월동후(越冬後)에는 월년생(越年生) 잡초(雜草)가 많이 발생(發生)하였다. 7. 토양(土壤) 유형별(類型別)로 보면 전작(田作)에서는 사양토(砂壤土)와 양토(壤土)가, 답리작(畓裏作)에서는 보통답(普通畓)이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이 가장 많았다.

  • PDF

논밭 윤환재배시(輪換栽培時) 작부유형별(作付類型別)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 (Effect of the Alternation of Lowland-Upland Field and the Cropping Pattern on Weed Population)

  • 유철현;양창휴;김종구;이경수;한성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98-304
    • /
    • 1995
  • 논밭 윤환재배시(輪換栽培時) 잡초발생양상(雜草發生樣相)을 조사(調査)하여 합리적(合理的)인 잡초방제(雜草防除)를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코져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논 일년생(一年生) 및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의 발생량(發生量)은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에 비하여 윤환구(輪換區)에서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고 밭 기간(期間)이 길수록 적었다. 월년생잡초(越年生雜草)의 발생량(發生量)은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에 비해 대두(大豆)와 수도(水稻)의 윤환구(輪換區)에서 적었으며 특히 그 경향(傾向)은 뚝새풀 발생량(發生量)에서 뚜렷하였다. 또한 월년생(越年生) 잡초량(雜草量)은 논밭 윤환년수(輪換年數)가 l년<2년<3년의 순(順)으로 밭 기간(期間)이 길수록 증가(增加)하였다. 암거시설(暗渠施設)한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 포장(圃場)에서의 월년생(越年生) 잡초(雜草) 건물중(乾物重)은 무암거시설포장(無暗渠施設圃場)에서 보다 높았으나 대두연작구(大豆連作區)에서는 그 반대(反對)의 경향(傾向)이었다.

  • PDF

작물의 제초작업체계 확립에 관한 연구 1. 논보리의 적정제초시기에 관하여 (Studies on the Establishment of Weed Control System 1. Determination of the Optimum Weeding Date for Barley Growing in Paddy Condition)

  • 최진식;한경수;최진용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12
    • /
    • 1977
  • 논보리의 제초작업체계를 확립하는 기초자료로서 적정제초시기를 구명코자 제초시기를 달리하여 포장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회 제초의 경우, 월동후 조기(2월 상순)에 행할수록 수량구성요소와 수량이 증가하였고, 후기의 잡초량도 감소하였다. 2. 초기잡초의 방임기간은 2월 10일이나 늦어도 2월 25일까지였다. 3. 제초를 끝내도 좋은 시기는 3월 11일까지였고, 4월 이후의 제초는 수량증수에 큰 효과가 없다고 생각되었다. 4. 잡초와 맥류와의 경쟁시기는 2월 25일부터 3월 30일까지가 가장 심하였고, 그 후에도 경쟁이 계속되면서 약화해지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이 기간에는 잡초를 제거해 주어야 수량감소를 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5. 주요 잡초는 둑새풀, 벼룩나물, 갈퀴덩굴의 순위였다.

  • PDF

전남지역 논 조건에서 무경운 재배가 콩의 생육, 수량 및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o-Tillage on Soybean Yield and Weed Emergence in Drained Paddy Field Condition in Jeonnam Province)

  • 김동관;천상욱;허북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89-97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soybean growth and yield and the degree of weed emergence according to no-tillage and conventional tillage system in two different drained paddy fields, loam of Chilgok series and silty clay loam of Deokpyeong series. In both soil conditions, the maturing time of the soybeans by the no-tillage system was two days earlier than that by the conventional tillage system. In the loam of Chilgok series, the stem length of the soybeans in the no-tillage system was 5.7 cm longer than that in the conventional tillage system. The miss-planted rate and diseased plants of black root rot (Calonectria iliacola) in the no-tillage system were 9.2% and 2.8% lower, respectively than those in the conventional tillage system. Also, the nodulation and seed yield in the no-tillage system were 32% and 13% more, respectively, than those in the conventional tillage system. In the silty clay loam of Deokpyeong series, the stem length of the soybeans in the no-tillage system was 4.6cm shorter than in the conventional tillage system. The diseased plants of black root rot (Calonectria iliacola) in the no-tillage system were 4.2% lower than those in the conventional tillage system.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ed yield between the no-tillage and conventional tillage systems was observed.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lower occurrence of weed in the no-tillage system than in the conventional tillage system, and the income increased by 19% owing to yield increase and reduced management costs.

  • PDF

Combined application of oil cake and rice bran reduced the number of weeds and increased the yield of paddy rice in a paddy field incorporated with white clover

  • Sugimoto, Hideki;Araki, Takuya;Morokuma, Masahiro;Hossain, Shaikh Tanveer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57-357
    • /
    • 2017
  • The combined application of oil cake and rice bran into the soil surface was found useful for weed control in our previous pot study.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white clover (Trifolium repens L.) while incorporated in the paddy field and effects of combined fertilizer on weed control and rice yield. A plot was divided into two parts i.e. white clover incorporated and not incorporated. The nitrogen content of the incorporated white clover was $12.5gm^{-2}$. Chemical fertilizer and combined fertilizer plots were compared with non-fertilizer conditions. The mixed ratio of combined fertilizer was oil cake 1.35 and rice bran 1.0. Combined fertilizer was applied to the soil surface, and chemical fertilizer was mixed in the soil. Nitrogen application rate was $8gm^{-2}$ for any fertilizer. The weed number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white clover plot irrespective of application condition both at heading and harvest time. Also, weed control ability was improved by the use of combined fertilizer. In the not incorporated plot, the number of weeds was suppressed about 90% by applying combined fertilizer. The rice yield was markedly increased by the incorporation with white clover under all fertilization conditions. Contribution rates of increased rice yield by white clover and combined fertilizer were about 55% and about 25%, respectively. The rice yield was increased by the incorporation with white clover, and the number of weeds remarkably decreased as well. Also, these effects were improved due to combined application of oil cake and rice br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