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

검색결과 44,068건 처리시간 0.062초

Tetrabenzylalkylenediamine을 이용한 수소이온 선택성 막전극 (Hydrogen ion-selective membrane electrodes based on tetrabenzylalkylenediamine)

  • 김재우;조동희;정성숙;정구춘;박면용
    • 분석과학
    • /
    • 제10권3호
    • /
    • pp.161-167
    • /
    • 1997
  • Tetrabenzylmethylenediamine(TBMDA), tetrabenzylethylenediamine(TBEDA), tetrabenzylpropylenediamine(TBPDA), tetrabenzylhexylenediamine(TBHDA)의 중성운반체를 이용한 수소이온 선택성 막전극을 제조하였다. TBMDA, TBEDA, TBPDA, TBHDA의 아미노기간의 탄소수 변화에 따라 pH 1~pH 9, pH 2~pH 9, pH 3~pH 9, pH 4~pH 9 범위에서 수소이온에 대하여 선택적이고 선형적인 감응을 나타내었으며, 각각에 대한 기울기는 48mV/pH, 52mV/pH, 64mV/pH, 59mV/pH를 나타내었다. 각 전극에 대하여 알칼리금속이온($Li^+$, $Na^+$, $K^+$) 및 알칼리토금속이온($Mg^{2+}$, $Ca^{2+}$, $Sr^{2+}$, $Ba^{2+}$), 전이금속이온($Cu^{2+}$, $Ni^{2+}$, $Co^{2+}$)과 음이온($I^-$, $Br^-$, ${NO_3}^-$, $SCN^-$)에 대한 방해효과를 측정하였다. 선택계수는 분리용액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산성 용액에서 선형성을 나타내는 TBMDA가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작물의 산성비 내성 간역검정법 (A Simple Test for Evaluating Acid Rain Tolerance in Crops)

  • 이석순;김태주;김복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7-85
    • /
    • 1995
  • 벼, 옥수수, 보리, 밀, 콩, 팥, 배추, 무, 상추, 시금치, 고추, 토마토 등 12개 작물의 최근 성숙엽의 절편을 pH 3.0, 4.0, 5.0, 5.6의 인공산성비 용액에 1, 2, 3, 4시간 침지하여 침지용액의 pH 및 EC 변화와 침지 잎 절편의 변색정도를 조사하였다. 또 이 결과와 인공산성비에 대한 내성과의 상관관계와 침지용액의 pH 및 EC 변화와 잎에서 용출된 양이온과의 상관관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잎 침지용액의 pH가 안정되고, 작물간 차이가 현저한 것은 pH 4.0 인공산성비 용액에 I~4시간 침지하였을 때이며, 침지용액의 pH는 용액의 Ca및 Mg 함량과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K 및 Na 함량과는 상관이 없었다. 2. 잎 침지용액의 EC가 안정되고, 작물간 차이가 현저한 것은 pH 5.0인공산성비 용액에 1∼4시간 침지하였을 때이며, 침지용액의 EC는 용액의 K, Ca, Mg 함량과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Na 함량과는 상관이 없었다. 3. 침지용 인공산성비의 pH가 3.0 이상일 때는 침지 후 4시간까지 엽색이 변하지 않았으며, pH 2.0에서는 작물과 침지시 간에 따라 엽색이 변하는 정도가 달랐다. 4. 포장에서 인공산성비에 의한 잎 피해정도와 잎 절편 침지용액의 pH와는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EC 및 잎 절편의 색깔 변화와는 상관이 없었다.

  • PDF

생사 품위향상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견층 Sericin과 용체 단백질의 용해거동에 관한 연구(III) (A Study on Basic Investigation for Quality Improvement of Raw-Silk A Study on the Dissolving Behavior of Sericin in the Cocoon Shell and Pupa Protein (Bombyx mori L.) (Part III))

  • 임영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1-170
    • /
    • 1975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intruded in the sericin of cocoon shell and pupa by treatment of buffer solution (pH 1 to pH 13) 20 ml per 1 gram for 30 and 60 minutes at 30$^{\circ}C$, 60$^{\circ}C$ and 100${\pm}$2$^{\circ}C$,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quantity of total crude protein obtained from cocoon shell and pupa by treatment during 30 minutes at 30$^{\circ}C$ was dissolved as the largest quantity of 11.874 mg/g at pH 1 and l5.93mg/g at pH 13, but dissolved the smallest quantity 1.75g/g at pH 5 as known. and tile quantity of crude protein treated for 60 minutes is 13.437mg/g at pH 1 and 22.50mg/g at pH 13. Also, the smallest quantity is 2. 813mg/g at pH 5 as known. 2. By the treatment during 30 minutes at 60$^{\circ}C$, the dissolved largest quantity was 13.12mg/g at pH 1 and 21.875 mg/g at pH 13, but the smallest quantity is 2.375mg/g at pH 5 as known After treatment for 60 minutes at 60$^{\circ}C$, the dissolved largest quantity was 17.500 mg/g at pH 1 and 31.56mg/g at pH 13, bu the smallest quantity is 3.849 mg/g at pH 5. 3. The dissolved crude protein from the cocoon shell and pupa by treatment for 30 minutes at 100${\pm}$2$^{\circ}C$ was the largest quantity of 147.000mg/g at pH 1 and 398. 125mg/g at pH 13, but the smallest quantity is 75.00mg/g at pH 5 as known. After treatment for 60 minutes at 100${\pm}$2$^{\circ}C$, the largest quantity was 253.76 mg/g at pH 1 and 460.625mg/g at pH 13, but the smallest quantity is 139.375mg/g at pH 5 as known. 4. The dissolved crude protein from the cocoon shell and pupa was not different in quantity by treatment at 30$^{\circ}C$ or 60$^{\circ}C$. But dissolved crude protein was large quantity from cocoon shell more than pupa, as known. 5. The treatment of cocoon shell and pupa during 60 minutes at 100${\pm}$20$^{\circ}C$ was increased to the dissolved largest quantity of crude protein of 19.20% at pH 1 and 22. 18% at pH 13 from the cocoon shell and 6. 12% at pH, an d 23.87% at pH 13 from the pupa. But dissolved crude protein was increased to the larger quantity from pupa more than cocoon shell.

  • PDF

토양에서 카드뮴의 흡착과 치환성양이온의 탈착 : pH와 유기물함량의 영향 (Cadmium Adsorption and Exchangeable Cations Desorption in Soils: Effects of pH and Organic Matter Content)

  • 박병윤;신현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43-252
    • /
    • 1996
  • 미국 New Jersey주에서 채취한 4종류의 토양사료를 이용하여 토양에서 카드뮴 흡착과 치환성양이온의 탈착에 미치는 pH와 유기뮬함령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카드뮴용액으로는 $1\times10^{-5}$M,$1\times10^{-4}$M, $2\times10^{-4}$M, $3\times10^{-4}$M ${Cd(NO_3)}_2$ 용액을 사용하였고, 흡착평형시의 토양용액의 pH는 4.0,5.5, 7.0, 8.5로 맞추었다. 카드뮴흡착등온선의 기울기는 토양용액의 pH가 증가하였으며, partition coefficient($K_4$)도 용액의 pH가 증가할수록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Langmuir흡착방정식에 의하여 구한 카드뮴대흡착량도 용액의 pH가 높은 경구가 낮은 경우보다 훨씬 많았다. $1\times10^{-4}$M ${Cd(NO_3)}_2$ 용액을 사용한 실험에서 유기물함량과 partition coefficient사이의 correltion coefficient($r^2$)는 용액의 pH가 4.0인 경우의 0.3027에서 pH가 8.5인 경우의 0.9964로 증가하였으며, $2\times10^{-4}$M ${Cd(NO_3)}_2$ 용액을 사용한 실험에서는 pH가 4.0인 경우의 0.2093에서 pH가 8.5인 경우의 0.9657로 증가하였다. 칼슘과 마그네슘의 탈착량은 토양용액의 pH가 증가할수롱, 흡착된 카드뮴의 양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pH 감응성 하이드로젤 입자의 합성 (Synthesis of pH-Sensitive Hydrogel Nanoparticles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양주승;류원선;이상민;김규식;최문재;이영무;김범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4호
    • /
    • pp.453-458
    • /
    • 2009
  • 최근 환경문제가 크게 대두됨에 따라 고분자 합성과 가공 공정에서도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친환경적 공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는 고분자 합성에서 용매로 사용될 경우, 기존의 유기용매와 비교하여 불연성이고 독성이 없으며 생성물과의 분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의약학 및 화장품 분야에서 지능형 약물전달체로 사용할 수 있는 pH 감응형 하이드로젤인 P(MAA-co-EGMA) 하이드로젤을 수 백 nm 수준의 입자 형태로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중합과정에서 사용하는 분산안정제인 PtBuMA-PEO와 중합개시제인 AIBN이 하이드로젤 입자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입자의 합성에서 PtBuMA-PEO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입자 크기는 감소하였으나 AIBN의 함량에 따른 입자 크기의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합성된 P(MAA-co-EGMA) 하이드로젤 입자의 pH에 따른 팽윤 실험결과, PMAA의 $pK_a$인 pH 5를 전후하여 급격한 하이드로젤의 평형 질량팽윤비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즉, pH 5보다 낮은 pH에서는 낮은 팽윤비를, 반면에 pH 5보다 높은 pH에서는 매우 높은 팽윤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Rh-B를 이용한 방출실험에서는 높은 pH에서는 다량의 Rh-B가 하이드로젤 입자로부터 방출되었으나 낮은 pH에서는 Rh-B가 거의 방출되지 않는 pH에 따른 선택적 방출 특성을 나타내었다.

N-(p-니트로페닐)-벤조히드라조닐아지드 유도체의 가수분해 반응메카니즘과 그의 반응속도론적 연구 (Kinetics and Mechanism of the Hydrolysis of N-(p-Nitrophenyl)-benzohydrazonyl Azide Derivatives)

  • 성낙도;권기성;김태린
    • 대한화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50-157
    • /
    • 1978
  • N-(p-nitrophenyl)-benzohydrazonyl azide (p-$CH_3,\;p-CH_3O,\;p-NO_2$, p-Cl, p-Br) 유도체들의 가수분해 반응 속도상수를 $25^{\cicr}C$의 50% dioxane 수용액속에서 자외선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여 넓은 pH 범위에서 잘맞는 반응속도식을 구하였다. 위 반응속도식과 가수분해 반응속도에 미치는 치환기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Hammet의 식에 도시한 결과 pH 5.0 이하에서는 $\rho$ = -0.47을, pH 7.0 이상에서는 $\rho$ = 0.68을 얻었다. 또한 반응속도에 미치는 염의 효과, 용매효과, 그리고 azide ion 효과로부터 이 가수분해 반응은 pH 5.0 이하에서는 $S_N1$ 반응, pH 7.0 이상에서는 hydrazonyl azide에 hydroxide 이온이 직접 반응하는 $S_N2$ 반응이 일어나며 pH 5.0와 pH 7.0 사이에서는 이 두반응이 서로 경쟁적으로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Postmortem Metabolic Rate on Meat Color

  • Park, B.Y.;Lee, J.M.;Hwang, I.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4호
    • /
    • pp.598-604
    • /
    • 2007
  •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carcass characteristics, objectives and sensory meat qualities of Hanwoo longissimus muscle as affected by ultimate pH. Twenty-four steers and bulls ($556{\pm}53$ kg and $0.63{\pm}0.32$cm for live weight and backfat thickness, respectively) were used. As there was a linear relationship (r = 0.77) between lean meat color and ultimate pH, cattles were thus segregated into normal $pH{\leq}5.8$, Normal, n = 13) and DFD (pH>5.8, n = 11) groups. Normal pH group had significantly (p<0.05) higher carcass weight, marbling score and backfat thickness than those for high pH group, while fat color and lean meat color were inverse. In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for co-ordinates of DFD and normal meats, fat color, lean meat color, texture, time to pH 6.2 and pH at 24 h postmortem were associated with the positive range of the first factor (67.5%) while backfat thickness marbling score and temperature at 24 h were placed in negative values. The rate constant of decline in pH (pH k)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implying that initial pH (i.e., pH at slaughtering) differed between two groups. Contour mapping of pH k between pH at 1 and 24 h postmortem indicated that high pH k was related to lower pHs at 1 and 24 h postmortem. This suggested that the high pH cattles (i.e., DFD cattle) resulted from their own potential. Although the time to reach pH 6.2 was significantly (p<0.05) shorter for normal meat (i.e., 3.2 h) than that for DFD one (i.e., 19.8 h),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both WB-shear force and sensory attributes. Given that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sampled from a similar group, which implies a similar myoglobin pigment content, the current data suggested that pre- and post-slaughter animal handling like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ltimate pH and consequently meat color of Hanwoo longissimus muscle, and also small animals with lower marbling score and backfat thickness had a higher risk for DFD meat.

Clostridium ljungdahlii 성장 및 에탄올 생산에 pH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 on Growth and Ethanol Production of Clostridium ljungdahlii)

  • 박소정;홍성구;강권규;김영기
    • 공업화학
    • /
    • 제22권5호
    • /
    • pp.562-56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합성가스를 기질로 Clostridium ljungdahlii를 생물촉매로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 공정을 개발하고, pH가 미생물 성장 및 에탄올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초기 pH 조건(pH 5~8)에서 pH제어 없이 발효실험을 수행한 결과, 부산물인 acetic acid의 축적에 따라 모든 조건에서 24 h 이내에 pH 4.5 이하로 감소되고 미생물의 성장과 에탄올 생산이 중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용된 pH 조건 중에서 가장 높은 초기 pH 8의 경우가 가장 높은 미생물 성장과 에탄올 생산량(0.53 g/L)을 보였으며, 이는 상대적으로 pH의 감소가 늦게 일어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pH를 제어할 수 있는 생물반응기를 사용하여 pH 7로 유지시키며 생물공정을 운전한 결과, 최대 미생물 농도 1.65 g/L과 최대 에탄올 농도 1.43 g/L를 24 h 이내에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pH를 중성영역에서 유지할 경우 C. ljungdahlii의 성장을 최대화할 수 있고, growth-associated production의 특성을 보이는 에탄올의 생산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분리 강남콩 단백질의 유화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mulsifying Properties of Kidney Bean Protein Isolate)

  • 최희령;손경희;민성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17
    • /
    • 198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study the emulsifying properties of kidney bean protein isolate. Kidney bean protein isolate was test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the effect of pH, addition of NaCl, and heat treatment on the solbulity and emulsion capacity, emulsion stability, surface hydropobicity and emulsion viscosit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olubility of kidney bean protein isolate was affected by pH and showed the lowest value at pll 4.5 which is isoelectric point of kidney bean isolate. When the kidney bean protein isolate was heated, the highest value observed at pH 2 and pH 7 was 96.11%, 97.41% respectively. 2. The emulsion capacity of kidney bean protein isol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each pH. With addition of NaCl, emulsion capacity decreased steadily. When heated thr highest value observed at pH 2 and pH 7 was 82.91 ml oil/100 mg protein ($60^{\circ}C$), 82.08 m1 oil/100 mg protein ($80^{\circ}C$) respectively. 3. The emulsion sta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at pH 4.5 than that of pH 2 and pH 7 (p 0.05) When NaCl was added, emulsion stability was generally increased after 2hrs. When heated, the highest value observed at pH 2 and pH 7 was 21.25% ($80^{\circ}C$),23.7%($100^{\circ}C$) respectively after 2hrs. 4. Surface hydrophobicity increased sharply as 0.2 M NaCl was added to pH 4.5. When heated, the surface hydrophobicity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5. The highest value of emulsion viscosity was observed at pH 4.5 and pH 7 when 0.2 M NaCl was added. Under heat treatment, the highest value was 48,000 cps at pH 4.5 ($40^{\circ}C$). In the case of pH 7, the highest value was 105,000 cpa at $100^{\circ}C$.

  • PDF

사육수의 pH변화가 복해마(Hippocampus kuda)에 미치는 생리적 영향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Spotted Seahorse Hippocampus kuda to Low-pH Water)

  • 박천만;김기혁;문혜나;여인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826-833
    • /
    • 2017
  • 대기의 이산화탄소의 농도 증가는 해양산성화와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마는 해양생태계 및 수산자원생물로서 중요한 종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해양산성화로 인하여 개체수가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멸종 위기 종인 복해마(Hippocampus kuda)에 미치는 생리적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사육수의 산성조건인 pH 6.0, 6.5, 7.0 및 자연해수(pH 8.0)의 환경에서 복해마(H. kuda)를 15일 동안 사육 후 체내 조성 변화 및 항산화 효소 활성 변화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복해마(H. kuda)의 크기 및 성장은 대조군인 pH 8.0을 제외한 실험군에서는 pH가 저하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체내 조성성분인 회분, 조지방 및 조단백 또한 pH 저하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SOD, CAT 및 GSH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분석 결과, SOD활성의 경우, pH 저하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지만, 이와 상반되게 CAT 및 GSH에서는 pH저하에 따라 활성이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내었다. 이것은 복해마(H. kuda)가 사육수의 pH 저하에 따른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과정 중 스트레스가 야기되어 에너지 대사가 손상된 것으로 추정된다. 항산화효소는 일반적으로 산성화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작용하는데 본 연구에서도 사육수의 pH 변화에 따라 항산화 효소작용이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복해마(H. kuda)에 있어서 산성화 노출을 통한 생리학적 스트레스가 항산화 반응 및 체내 성분과 성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