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 leaching

검색결과 400건 처리시간 0.021초

해수-석탄회 상호작용에 의한 미량원소 용출특성:Batch 실험연구

  • 박성민;김강주;황갑수;김진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295-298
    • /
    • 2004
  • It was revealed that leaching of elements were partly inhibited because seawater contains plenty of dissolved ions than fresh water. On the other hands, the low activity coefficient and the formation of complex with chloride and sulfate play roles in enhancing element leachability. However, the pH buffaring capacity of seawate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makes the leaching of elements and its chemical behavior in the seawater system different from those in the fresh water environments. In general, the leaching from the weathered ash was smaller than that from the fresh ash.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he leaching of Si, Fe, Al, Mn, phosphate, and some other elements were independent of ash weathering. They were dependant only on the pH of the solutions.

  • PDF

전기화학법(電氣化學法)에 의해 생성(生成)된 전해생성(電解生成) 염소(鹽素)를 이용한 루테늄의 침출(浸出) (Leaching of Ruthenium by Electro-generated Chlorine Gas by Electrochemical Method)

  • 안종관;이아름;김민석;안재우;이재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2권6호
    • /
    • pp.55-6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기화학법으로 생성된 염소를 산화제로 이용하여 루테늄의 침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휘발성 루테늄산화물의 손실을 막기 위해 전 시스템이 밀폐형으로 제작된다. 루테늄의 침출의 최적조건을 조사하기 위해 pH, 온도, 전해 염소 생성시 인가전류 등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염소전해생성 시스템에 산화전류를 인가하여 염소가스를 발생시키고 침출조에 공급하여 루테늄 용해에 필요한 염소화합물을 생성시켰다. 산화제인 염소화합물의 농도가 포화상태에 도달하였을 때 루테늄 분말시료를 장입하고 침출반응을 진행하였다. 일정시간 간격으로 침출액을 채취하면서 루테늄 침출농도를 분석하였다. 본 실험결과 최적조건은 pH 10, 2 A, $40^{\circ}C$로 이 때 침출률은 88% 이다.

탄자니아의 소규모 광산에서 구리광석 정제를 위한 침출 및 용매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eaching and Solvent Extraction for the Recovery of Copper Ore for Small-Scale Mining in Tanzania)

  • 소순영;전용진;암브로즈 이티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38-445
    • /
    • 2017
  • 탄자니아에는 풍부한 구리 매장량이 있으나, 적절한 구리 회수 공정의 결핍과 광산 기술 개발을 위한 자금 부족으로 구리 금속의 추출량은 여전히 낮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소규모 구리 채굴을 위한 간단한 처리공정 개발에 중점을 두어 구리광석에서 구리를 추출하기 위한 침출법과 용매 추출법을 연구하였다. 사용된 구리광석은 규공작석이었으며, 침출 시약으로 황산을 사용하였다. 침출 공정에서 시료의 입경이 $53{\mu}m$보다 작고, 98%(w/w) 황산 농도가 5.0 g/L, 교반 속도가 60에서 80 rpm일 때 최대 구리 회수율이 95.1% 이었다. 용매 추출에서 구리 2가 양이온의 최고의 선택 비율은 등유에 녹인 15 % LIX-70을 이용하여 얻어졌다. pH가 0.5에서 3.0까지, 구리 2가 양이온 추출 효율은 pH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다. 그러나 3.0이상의 pH에서는 다른 금속 이온이 구리 2가 양이온보다 유기물층으로 더 많이 추출되었다. 최고의 용매 추출율은 15% LIX-70를 사용하여 각각 pH 2.0 및 3.0에서 96.5% 이었다.

유기산 침출용액에서 용매추출법에 의한 구리 및 코발트 분리 (Separation of Copper & Cobalt by Solvent Extraction in Organic Acid Leaching Solution)

  • 김태영;류승형;안재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4권3호
    • /
    • pp.3-10
    • /
    • 2015
  • 코발트와 구리가 함유된 유기산 침출용액으로부터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구리와 코발트의 분리 회수를 위한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구리와 코발트의 추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평형 pH, 추출제의 농도, 상비 변화에 대하여 용매 추출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리 추출제로 LIX 84, 코발트 추출제로 Cyanex 272 및 Versatic acid 10을 사용하였는데 실험 결과 구리의 경우 평형 pH 2.0 이상에서 약 99%의 추출율을 보였고, 코발트의 경우는 추출제로 Cyanex 272를 사용 시 평형 pH 6.0에서 Versatic acid 10 사용 시에는 평형 pH 7.5에서 각각 90% 이상의 추출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구리와 코발트를 탈거하기 위한 탈거제로 최적의 황산농도는 120 ~ 150 g/L 이었다. 그리고 구리 및 코발트가 함유된 미생물 침출용액에서 구리와 코발트를 회수할 수 있는 기초 최적 공정을 제시하였다.

세라믹소지에 생성되는 석회에 의한 백화현상분석 (Analysis of Ca-rich efflorescence in ceramic bodies)

  • 이기강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27-131
    • /
    • 2006
  • 세라믹소지에 발생하는 온도별 백화생성기구를 백화를 형성하는 양이온과 음이온을 분석하여 규명하였다. 백화가 발생된 세라믹 소지의 표면을 SEM과 EDS 분석을 하여 백화의 주 성분은 Ca와 S임을 확인하였다. 세라믹소지를 pH 7과 pH 10에서 각기 습식혼합 하였으며, 이때 여과된 액을 ICP와 IC 분석을 하여, 양이온 및 음이온 농도분석을 하였다. pH 7에서 제조된 세라믹 소지의 Ca 이온농도는 pH 10에서 제조된 세라믹소지의 Ca 이온농도의 8배 값을 보였으며, pH 10에서 제조된 세라믹소지는 $1100^{\circ}C$ 이상으로 소결된 소지에서도 백화가 발견되지 않았다.

라이시미터를 이용한 중화처리된 산성화경사지의 계절별 pH 용탈특성 평가 (The Assessment of pH Variation for Neutralized Acidic Areas using Lysimeters by Seasons)

  • 오승진;오민아;박찬오;정문호;이재영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79-86
    • /
    • 2015
  • 우리나라의 지형은 약 70% 이상이 산악지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평균 pH는 4 ~ 5로 산성화 정도가 심각한 수준이다. 현재 국내에는 약 1,000여개의 휴 폐광된 많은 금속광산이 오염 방지시설이나 처리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채 중금속을 함유한 광미나 폐석이 장기간 환경 중에 노출되어 왔으며, 지속적인 관리 및 환경오염에 대한 모니터링이 미흡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휴 폐광산은 산림지역에 밀집하여 있어 경사지면으로 이루어진 곳이 많다. 경사지에서의 강우에 의한 토양유실은 작물의 생산성과 함께 수계의 부영양화 등에도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한 2차 오염원으로 발전할 수 있어 심각한 수준의 환경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산성화경사지와 유사한 조건의 라이시미터를 조성하고 과거 기 수행된 연구의 산출물인 폐자원을 활용한 중화제를 이용하여 중화처리를 실시한 후, 계절별 특성에 따라 인공강우를 살포하여 토양과 유출수의 pH 용탈에 따른 2차 환경오염 여부를 가늠하고 중화처리 후 식물식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실험은 산성토양만을 충진한 대조군과 중화처리를 실시한 실험구 1, 중화처리 후 식물식재를 조성한 실험구 2로 구성하였다. 실험결과, 모든 계절에서 중화처리를 실시한 실험구 1, 2가 낮은 pH 용탈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험구 2에서는 pH 용탈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강도와 강우빈도 등 계절별 특성에 따른 pH 용탈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 Styrofoam 혼합토의 다짐 및 용출 특성 (Compaction and Leaching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Weight Soil Used Recycled Styrofoam Beads and Disposal soils)

  • 신방웅;이봉직;이종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61-70
    • /
    • 2002
  • 본 논문은 폐 Styrofoam과 현장발생토를 활용하여 경량 성토재로서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폐 Styrofoam 입자는 가볍고 단열성이 좋으며 진동차단효과도 우수하기 때문에 경량 성토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Styrofoam은 1996년 재활용 품목으로 선정되어 토공재료로서의 적합성만 확인된다면 체계적인 공급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폐 Styrofoam 혼합토의 동적 다짐시험, 정적 다짐시험, pH 및 용출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 효율적인 다짐관리를 위해서는 정적 다짐방식으로 다짐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경량 성토재의 환경적 위해성 평가결과 pH는 지정폐기물 판정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u 이온에 적응된 토착호산성박테리아를 이용한 폐광석으로부터 미생물용출 효율 향상 (The Efficiency of Bioleaching Rates for Valuable Metal Ions from the Mine Waste Ore using the Adapted Indigenous Acidophilic Bacteria with Cu Ion)

  • 김봉주;위대웅;최낙철;박천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7권4호
    • /
    • pp.9-18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leach valuable metal ions from the mine waste ore using the adapted indigenous bacteria. In order to tolerance the heavy metals, the indigenous bacteria were repeatedly subcultured in the adaptation-medium containing $CuSO_4{\cdot}5H_2O$ for 3 weeks and 6 weeks, respectively. As the adaptation experiment processed, the pH was rapidly decrease in the adaptation-medium of 6 weeks more than the 3 weeks. The result of bioleaching with the adapted bacteria for 42 days, the pH value of leaching-medium in the 3 weeks tend to increased, whereas the pH of the 6 weeks decreased. In decreasing the pH value in the adaptation-medium and in the leaching-medium, it was identified that the indigenous bacteria were adapted $Cu^{2+}$ the ion and the mine waste ores. The contents of Cu, Fe and Zn in the leaching solution were usually higher leached in 6 weeks than 3 weeks due to the adaptation. Considering the bioleaching rates of Cu, Fe and Zn from these leaching solutions, the highest increasing the efficiency metal ion were found to be Fe.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more valuable element ions can be leached out from the any mine waste, if the adapted bacteria with heavy metals will apply in future bioleaching experiments.

폐리튬이온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암모니아 침출법 (Ammoniacal Leaching for Recovery of Valuable Metals from Spent Lithium-ion Battery Materials)

  • 구희숙;정여진;강가희;김송이;김수경;양동효;이강인;손정수;권경중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4권3호
    • /
    • pp.44-50
    • /
    • 2015
  • 전기자동차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리튬이온전지의 생산량도 증가하여 효율적인 전지 재활용 기술이 요구된다. 폐리튬이온전지를 재활용하는 방법에는 크게 건식제련과 습식제련에 기반한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사용된 폐리튬이온전지의 양극활물질을 습식제련에 기반한 암모니아침출법을 이용하여 활물질 내의 유용금속인 Ni, Mn, Co의 침출거동을 조사하였다. 물리적으로 처리된 활물질의 입자크기는 -65 mesh이며, 주된 원소는 14.0 wt% Ni, 13.0 wt% Mn, 5.7 wt% Co이다. 암모니아, 환원제 (아황산암모늄), pH 완충제 (탄산암모늄 혹은 황산암모늄)의 존재하에 각 금속의 침출거동을 확인하고, 또한 침출시간과 온도에 따른 침출률의 영향도 조사하였다. 환원제의 존재는 Ni과 Co의 침출률 향상을 위해 필수적이다. 암모니아침출법은 산침출법과 달리 Ni/Co와 Mn의 선택적인 침출이 가능하여 침출된 유용금속을 분리하는 단계를 줄일 수 있고, 산침출 후 수반되는 침전과정 시 필요로 하는 추가 염기성 시약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토착박테리아의 중금속 적응효과와 직접산화작용에 의한 폐광석으로부터 유용금속 용출 (The Leaching of Valuable Metal from Mine Waste Rock by the Adaptation Effect and the Direct Oxidation with Indigenous Bacteria)

  • 김봉주;조강희;최낙철;박천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09-220
    • /
    • 2015
  • 폐광산에 방치되어 있는 폐광석으로부터 유용금속이온을 그 지역 토착박테리아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용출시키고자 하였다. 토착호산성박테리아를 중금속 이온에 내성이 형성될 수 있도록 중금속 이온에 주기적으로 반복 적응시켰다. 그 결과 적응실험이 진행될수록 성장-배양액의 pH가 더 안정적으로 감소하였다. $CuSO_4{\cdot}5H_2O$에 9주와 12주 동안 적응시킨 박테리아를 이용하여 42일 동안 미생물용출을 수행한 결과, 용출-배양액의 pH는 적응 횟수에 비례하여 더 빠르게 감소하였다. 황동석과 Cu 함량이 고성 폐광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게 포함된 연화 폐광석에서 더 많은 박테리아들이 부착하였고, 또한 Cu와 Fe 함량은 고성 박테리아 시료(각각의 용출률 = 66.77%와 21.83%)에 비하여 연화 박테리아 시료(각각의 용출률 = 92.79%와 55.88%)에서 더 많이 용출되었다. 따라서 중금속으로 오염된 광산에 오랫동안 서식한 토착호산성 박테리아를 이용한다면 또한 이 박테리아들을 목적중금속 이온이 포함된 성장-배양액에 계속하여 주기적으로 적응시킨다면, 폐광석으로부터 유용금속이온을 더 효과적으로 용출시킬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