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53

검색결과 7,648건 처리시간 0.038초

DNA Damage-inducible Phosphorylation of p53 at Ser20 is Required for p53 Stabilization

  • Yang, Dong-Hwa;Rhee, Byung-Kirl;Yim, Tae-Hee;Lee, Hye-Jin;Kim, Jungho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6권3호
    • /
    • pp.263-269
    • /
    • 2002
  • The p53 tumor suppressor gene is among the most frequently mutated and studied genes in human cancer, but the mechanisms by which it sur presses tumor formation remain unclear. DNA damage regulates both the protein levels of p53 and its affinity for specific DNA sequences. Stabilization of p53 in response to DNA damage is caused by its dissociation from Mdm2, a downstream target gene of p53 and a protein that targets p53 for degradation in the proteosome.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that phosphorylation of human p53 at Ser20 is important for stabilizing p53 in response to DNA damage through disrup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Mdm2 and p53. We generated mice with an allele encoding changes at Ser20, known to be essential for p53 accumulation following DNA damage, to enable analyses of p53 stabilization in vivo. Our data showed that the mutant p53 was clearly defective for full stabilization of p53 in response to DNA damage. We concluded that Ser20 phosphorylation is critical for modulating the negative regulation of p53 by Mdm2, probably through phosphorylation-dependent inhibition of p53-Mdm2 interaction in the physiological context.

PIG3 Regulates p53 Stability by Suppressing Its MDM2-Mediated Ubiquitination

  • Jin, Min;Park, Seon-Joo;Kim, Seok Won;Kim, Hye Rim;Hyun, Jin Won;Lee, Jung-Hee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5권4호
    • /
    • pp.396-403
    • /
    • 2017
  • Under normal, non-stressed conditions, intracellular p53 is continually ubiquitinated by MDM2 and targeted for degradation. However, in response to severe genotoxic stress, p53 protein levels are markedly increased and apoptotic cell death is triggered. Inhibiting the ubiquitination of p53 under conditions where DNA damage has occurred is therefore crucial for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cancer, because if cells with severely damaged genomes are not removed from the population, uncontrolled growth can result. However, questions remain about the cell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regulation of p53 stability. In this study, we show that p53-inducible gene 3 (PIG3), which is a transcriptional target of p53, regulates p53 stability. Overexpression of PIG3 stabilized both endogenous and transfected wild-type p53, whereas a knockdown of PIG3 lead to a reduction in both endogenous and UV-induced p53 levels in p53-proficient human cancer cells. Using both in vivo and in vitro ubiquitination assays, we found that PIG3 suppressed both ubiquitination- and MDM2-dependent proteasomal degradation of p53. Notably, we demonstrate that PIG3 interacts directly with MDM2 and promoted MDM2 ubiquitination. Moreover, elimination of endogenous PIG3 in p53-proficient HCT116 cells decreased p53 phosphorylation in response to UV irradiation. These results suggest an important role for PIG3 in regulating intracellular p53 levels through the inhibition of p53 ubiquitination.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HeLa 세포의 자살 과정 중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 빈발 부위에서의 핵산 변화의 부재 (Lack of p53 Gene Nucleotide Change in Mutation Hot Spots During HeLa Cell Apoptosis by Adriamycin)

  • 류승욱;김정우;김은희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31-37
    • /
    • 1997
  • 세포의 자살 현상은 항암제를 이용한 치료법에 있어 중요하다. p53 은 세포 자살을 유발하여 암세포를 죽이는 핵심적 요소임이 밝혀졌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는 p53 과 무관한 세포 자살 경로가 있음을 보였다 (Gaftenhaus 외, 1996). 본 저자들은 유전독성적 항암제인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하여 유도된 세포 자살 과정에서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일어나는지를 관찰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하여 유도된 세포 자살 과정에서 HeLa 세포 집단에서의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 상태를 조사하였다. DNA 분절 현상으로 관찰한 바, 본 실험 조건하에서는 아드리아마이신을 1 uM 농도로 12 시간 처리하였을 때 세포 자살 현상이 일어났다. p53 유전자의 돌연 변이 상태를 관찰하고자 돌연변이 빈발 부위가 존재한다고 알려진 exon 5, 7 및 8 부위를 종합 효소연쇄반응으로 증폭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p53 유전자 손상없이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하여 세포 자살이 유도됨을 밝혔다.

  • PDF

벤조피렌에 의한 p53 및 관련 단백질 변화 (Benzo[a]pyrene-induced Modification on p53 and Related Proteins)

  • 이순미;예상규;최진희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0권1호
    • /
    • pp.23-28
    • /
    • 2005
  • PAH 위해성 평가의 생체지표 개발을 위하여, benzo[a]pyrene을 인체 간암 세포주인 HepG2세포에 처리하여 암 억제 단백질인 p53 및 관련 단백질의 발현 양상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HepG2 세포의 생존력은 benzo[a]pyrene을 노출시킨 군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p53과 인산화 p53의 발현 양상은 benzo[a]pyrene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반면에 아세틸화 p53은 benzo[a]pyrene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세포 주기 조절에 관련된 p21 단백질은 화학 물질 처리에 의해서 p53과 마찬가지로 증가하였으나, CdK4와 Rb 단백질의 발현에는 변화가 없었다. 상관분석 결과 Benzo[a]pyrene 노출, 세포 생존력, p53, 인산화 p53, p21이 서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p53 단백질의 축적이 benzo[a]pyrene 독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현상이며, 이는 선택적인 지표와 함께 p53 이 benzo[a]pyrene과 같은 PAH 계열의 물질의 위해성 평가를 위한 민감한 생체 지표로써 개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유잉육종의 p53 돌연변이 (p53 Mutations in Ewing's Sarcoma)

  • 배대경;선승덕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43-151
    • /
    • 2000
  • 목적 : p53 종양억제 유전자는 사람의 암에서 변형이 가장 많이 발견되는 유전자로 유잉 육종에서 p53 유전자의 변형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유잉육종 환자 35례의 파라핀 블록을 사용하였으며, 유전자의 결핍과 p53 유전자의 염기서열의 변형을 관찰하였다. 결과 : 정성적인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한 p53의 4-9번까지의 유전자검사중 2례에서 동일성의 유전자 결핍이 관찰되었으며, exon 5-8의 유전자 중합효소 연쇄반응에서는 3례에서 missense 점돌연변이가 관찰되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p53은 유전적으로 적은 부분에서 유잉육종에 관여하는 것으로 관찰 되었다.

  • PDF

원발성 폐암에서 종양억제유전자 RB와 p53 단백질 발현양상과 예후와의 상관관계 (Expression Pattern of RB and p53 Proteins and its Correlation with Prognosis in Primary Lung Cancer)

  • 이상용;허혜경;최필조;우종수;홍숙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223-1231
    • /
    • 1996
  • 72예의 원발성 폐암조직에서 두 종양억제유전자 RB와 p53의 단백질 발현 빈도를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검출한 결과 RB 단백질 발현은 38예 (52.8%)에서 감소하거나 소실되었고, 변이형 p53 단백질은 35예(48.6%)에서 발현을 보였다. 이들의 발현 빈도는 폐암의 조직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 RB는 선암에서 그리고 p53은 편평세포암에서 발현율이 높았다(p<0.05). 그러나 임상 병기와는 두 단백질의 발현율과는 상관이 없었다. 폐암 환자의 2년 생존율은 두 단백질 발현의 변화가 동반된 군(RB-/p53+)에서 22.4%, 두 단백질 발현의 변화가 전혀 없는 군(RB+/p53-)에서 63.1%로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본 연구에서 RB와 p53단백질의 발현의 유무가 원발성 폐암 환자의 생존율과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었고, 특히 RB가 원발성 폐암의 예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을 나타내었다.

  • PDF

Ras에 의해 유도된 노화세포에서 핵인 스트레스에 의한 p53 안정화 연구 (The Stability of p53 in Ras-mediated Senescent Cells in Response to Nucleolar Stress)

  • 신충렬;박길홍;이기호;김상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36-441
    • /
    • 2009
  • B23/nucleophosmin은 핵인 단백질로서 외부 스트레스에 의해 핵인에서 핵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세포 내 위치변화는 MDM2에 의한 p53단백질의 안정화에 영향을 미친다. 노화세포는 거대한 단일 핵인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스트레스에 의해 p53 안정성이 감소한다. 그렇지만, 노화세포에서 어떠한 기전에 의해 p53의 불안정성이 증가하는 지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화세포에서 B23/nucleophosmin과 p53간의 상호 관련성을 조사하여 p53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MR90세포주에 ras oncogene을 과발현시켜 노화세포를 유도하였다. 핵인 스트레스에 의해 노화세포 내 p53 단백질 발현은 감소하였으나, B23/nucleophosmin 단백질의 발현은 정상세포와 큰 차이가 없었다. 그렇지만, 두 단백질의 세포 내 위치는 노화세포에서 변화가 있었다. 즉, 정상세포와 달리, 노화세포에서는 스트레스에 의해 핵 내 p53발현이 증가하지 않았으며, B23/nucleophosmin은 핵 내로 이동하지 않고, 핵인에 그대로 머물러 있었다. 노화세포에서 MDM2와 p53간 상호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대 비하여, p53과 B23/nucleophosmin간의 상호결합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화세포에서 핵인 스트레스에 의한 p53단백질의 안정성은 B23/nucleophosmin 결합이 감소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Streptozotocin, an O-GlcNAcase Inhibitor, Stimulates $TNF\alpha -Induced$ Cell Death

  • Yang Won-Ho;Ju Jung-Won;Cho Jin Won
    • 한국미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학회 2004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f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 /
    • pp.65-67
    • /
    • 2004
  • O-GlcNAcylation of p53 has been already identified and reported, but the function of O-GlcNAc on p53 has not been studied well. In this report, the general function of O-GlcNAc modification on p53 has been investigated using mouse fibroblast cell, L929. When streptozotocin (STZ), a non-competitive O-GlcNAcase inhibitor was treated to L929, O-GlcNAc modification level was dramatically increased on nucleocytoplasmic proteins, including p53. Because it has been already reported that $TNF\alpha$ induced the production of p53 in L929, $TNF\alpha$ was treated to obtain more p53. Approximately two times more amount of p53 was found from the cells treated STZ and $TNF\alpha$ simultaneously compared to the cell treated $TNF\alpha$ alone. The p53 increment in the presence of STZ was not caused by the induction of p53 gene expression. When new production of p53 induced by the $TNF\alpha$ was inhibited by the treatment of cycloheximide, O-GlcNAc modification decreased and phosphorylation increased on pre-existing p53 after $TNF\alpha$ treatment. But in the presence of STZ and $TNF\alpha$ at the same time, more O-GlcNAcylation occurred on p53, The level of ubiquitination on p53 was also reduced in the presence of STZ. Approximately three times less amount of Mdm2 bound to this hyperglycosylated p53. From this result it might be concluded that treatment of STZ to inhibit O-GlcNAcase increased O-GlcNAc modification level on p53 and the increment of O-GlcNAc modification stabilized p53 from ubiquitin proteolysis system.

  • PDF

간암치료신약개발 및 이의 제제화 연구 (Replication of Hepatitis B Virus is repressed by tumor suppressor p53)

  • 이현숙;허윤실;이영호;김민재;김학대;윤영대;문홍모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78-178
    • /
    • 1994
  • Hepatitis B Virus (HBV) is a DNA virus with a 3.2kb partially double-stranded genome. The life cycle of the virus involves a reverse transcription of the greater than genome length 3.5kb mRNA. This pegenomic RNA contains all the genetic information encoded by the virus and functions as an intermediate in viral replication. Tumor suppressor p53 has previously been shown to interact with the X-gene product of the HBV, which led us to hypothesize that p53 may act as a negative regulator of HBV replication and the role of the X-gene product is to overcome the p53-mediated restriction. As a first step to prove the above hypothesis, we tested whether p53 represses the propagation of HBV in in vitro replication system. By transient cotransfection of the plasmid containing a complete copy of the HBV genome and/or the plasmid encoding p53, we found that the replication of HBV is specifically blocked by wild-type p53. The levels of HBV DNA, HBs Ag and HBc/e Ag secreted in cell culture media were dramatically reduced upon coexpresion of wild-type p53 but not by the coexpression of the mutants of p53 (G154V and R273L). Furthermore, levels of RNAs originated from HBV genome were repressed more than 10 fold by the cotransfection of the p53 encoding plasmid. These results clearly states that p53 is a nesative regulator of the HBV replication. Next, to addresss the mechanism by which p53 represses the HBV replication, we performed the transient transfection experiments employing the pregenomic/core promoter-CAT(Chloramphenicol Acetyl Transferase) construct as a reporter. Cotransfection of wild-type p53 but not the mutant p53 expression plasmids repressed the CAT activity more than 8 fold. Integrating the above results, we propose that p53 represses the replication of HBV specifically by the down-regulation of the pregenomic/core promoter, which results in the reduced DNA synthesis of HBV. Currently, the mechanism by which HBV overcomes the observed p53-mediated restriction of replication is tinder investigation.

  • PDF

설과 편도 편평 상피세포암에서 P53의 표현양상에 관한 연구 (P53 Expression in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ongue and Tonsil)

  • 최건;김만수;최종욱;황순재;유홍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83-83
    • /
    • 1993
  • 정상 p53 유전자는 17번 염색체의 short arm에 위치하는 항암 유전자이나 point mutation에 의한 p53 유전자의 변이는 반감기가 긴 p53단백을 합성하여 핵내에 축적되고 변이형 p53은 암의 발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p53에 대한 단크론성 항체가 개발되어 조직에서 변이형 p53의 검색이 가능하여 여러종류의 종양조직에서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으로 p53에 대한 표현 양상이 연구되었다. 이에 설 및 편도의 편평상피세포암 조직에서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으로 p53의 표현 양상을 검색하고 p53의 표현 양상과 임상적, 병리적 소견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29례의 편평상피세포암(설암 19례, 편도암 10례)의 진단시 채취한 생검조직에서 p53에 대한 단크론성 항체를 사용하여 p53의 표현양상과 병리조직학적 분화도, 종양의 원발부위, 원발종양의 크기, 경부 임파전이 여부와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53은 대조군과 실험군의 모든 비종양핵에서는 음성반응을 보였고, 29례의 실험군 중 4례의 종양핵에서 양성반응을 보여 양성율은 13.8%이었다. 2. p53의 양성반응은 종양의 크기가 4cm 이상인 예에서 4cm 미만인 예에서 보다 양성인 예가 많았다(p<0.05). 3. p53의 양성반응은 종양의 병리조직학적 분화도, 종야의 원발부위, 경부 임파전이 여부와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