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zone treatment of wood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오존 처리에 의한 이태리포플러 목분의 화학적 성상 변화 (Chemical Characteristics of Ozone Treated Aspen Wood Meal)

  • 김강재;엄태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43권1호
    • /
    • pp.29-35
    • /
    • 2011
  • Since the role of lignin in the wood cell wall is to keep integrity and structure rigidity of lignocellulosic substrate, lignin of the cell wall has to be destroyed before enzymatic hydrolysis of wood polysaccharides. The aspen wood meals were delignified with ozone in acidic conditi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ood meal were investigated. The 60% of lignin and almost zero % of polysaccharides in aspen wood meal was degraded with 10min. ozone treatment. The phenolic hydroxyl groups of lignin in ozonated wood meal were increased with ozonation time. The sugar composition of ozonated wood meal showed that the hemicellulose was more susceptible to ozonation than cellulose. The yield of aldehyde was increased in some degree with 10min. ozone treatment and decreased with longer ozone treatment.

오존 처리에 의한 목재 세포벽의 미세구조변화와 효소가수분해 (Enzymatic hydrolysis and micro-structure of ozone treated wood meal)

  • 김강재;엄태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42권3호
    • /
    • pp.67-73
    • /
    • 2010
  • Pine (Pinus densiflora) and aspen (Populus euramericana) wood meals were treated with ozone at various time schedule in acidic condition. The lignin contents and surface area of the ozone treated wood meals were determined and the enzymatic hydrolysis rate of ozonated wood meals was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enzymatic hydrolysis of the ozone treated wood meal was obviously influenced with the degree of delignification. After ozone treatment of wood meal for 10min, total pore volume were slightly increased in the surface of wood meal. When wood meals were treated with ozone longer than 10min, few change in the pore volume was observed. However, the area of over $50{\AA}$ of pore size is increased with ozonation time. As a conclusion, the rate of enzymatic hydrolysis of wood is more effective with the pore size distribution than the total pore volume.

오존처리(處理) 고수율(高收率)펄프의 고해(叩解) 특성(特性)(I) - 오존처리(處理) 펄프 고해후(叩解後) 섬유장(纖維長) 분포(分布) - (The Beating Properties of High Yield Pulp Treated Ozone(I) - Fiber Length Distribution of Ozonenation Pulp for Beating -)

  • 윤승락;코지마 야스오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75-80
    • /
    • 1997
  • This research has been examined to measure the degree of the fiber damage of ozonenation high yield pulp in the beating process. Ozone treated the TMP(Thermomechanical Pulp) and CTMP(Chemithermomechanical Pulp) of spruce and the CTMP of birch has been beaten to be reached 200ml(freeness) of its content. It had been studied the forming of fiber distribution by treatment for long fiber, short fiber, fine with the above method. As ozone treatment time gets longer, the pulp has showed the tendency of increasing the fiber content of 28, 48mesh. Ozone treated fiber has been increased long fiber content by being added softness. By given longer ozone treatment time, the TMP and CTMP of spruce has showed the decreasing of fiber content. On the contrary, CTMP of birch has showed the increasing its fiber content. It had proved that the results of difference are rather closer to the species of tree than closer to the kinds of pulp. The fiber content of over 200mesh which has created in beating process demonstrates the decreasing of its fiber content by getting longer ozone treatment time. The softness of fiber can be extracted by the lignin of fiber surface that had been formed by ozone treatment. Thus we assume that the fiber in the process of beating obtains less physical damage.

  • PDF

백판지의 휨강성 증대를 위한 목질섬유의 이용 (2) 오존처리 (Improvement of Bending Stiffness in White Duplex Board by Utilization of Wood Fibers from Medium Density Fiberboard (2) Ozone treatment)

  • 서영범;김현준
    • 펄프종이기술
    • /
    • 제47권1호
    • /
    • pp.1-9
    • /
    • 2015
  • Wood fibers for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was used in the filler layer of the white duplex board for increasing thickness and bulk of the board. The MDF fibers were treated with ozone (3% based on dry weight of the fibers), and mixed together with OCC (old corrugated container) to form paper. Ozone-treated MDF fibers gave high bulk, high tensile strength, high internal bond and fast drainage to the furnish mixed with OCC.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possibilities to reduced basis weight of the filler layer without loss of thickness, stiffness, and tensile strength. Furthermore, it showed the possibility to develop a new kind of board product that has high stiffness as well as high strength properties with light basis weight by application of the ozone-treated MDF fibers.

잣나무 유래 리그노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및 나노종이 특성에 미치는 탈리그닌의 영향 (Delignification Effect on Properties of Lignocellulose Nanofibers from Korean White Pine and Their Nanopapers)

  • 장재혁;이승환;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1호
    • /
    • pp.9-1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고온증기 및 오존 전처리로 제조된 리그노셀룰로오스 나노섬유의 탈리그닌 처리가 나노섬유 및 나노종이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형태학적 특성 관찰 결과, 탈리그닌 처리에 의해 평균 직경 35 nm 이하의 균일한 섬유가 얻어졌다. 또한 탈리그닌 처리는 리그노셀룰로오스 나노섬유의 비표면적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특히 오존 전처리의 경우는 탈리그닌 처리에 의해 무처리에 비하여 1.5배 증가하였다. 나노종이 제조 과정 중의 여수시간 또한 탈리그닌 처리에 의해 크게 증가하여, 고온증기 전처리의 경우는 탈리그닌 처리에 의해 무처리와 비교하여 5.4배 증가하였다. 탈리그닌 처리는 나노종이의 백색도를 향상시켰으며, 고온증기 전처리의 경우는 탈리그닌 전과 비교하여 색상차가 41.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나노종이의 인장강도, 탄성율 및 신장율도 탈리그닌에 의하여 크게 향상되었으며, 고온증기 전처리 후의 탈리그닌에 의한 나노종이의 인장강도가 142 MPa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오존산화 처리한 콩기름을 이용한 변성 pMDI 접착제의 화학 구조 및 접착력 변화 (Effects of Ozonized Soybean Oil to Changes of Chemical Structures and Bond Strength of pMD)

  • 유영삼;이현종;이택준;박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37-43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천연자원이며 보속적인 생산이 가능한 식물성기름(콩기름)을 오존 산화 처리에 의한 구조적인 변성을 시도하여 이를 바탕으로 친환경 목재 접착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식용 콩기름을 사용하여 시간당 약 7.13 g의 오존을 발생시켜 15분, 30분, 60분, 120분간 오존산화 처리한 후 화학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FT-IR을 측정하였으며 오존 산화 처리된 콩기름/pMDI를 중량비로 1:1로 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여 상태, 준내수 및 내수 인장전단 접착력을 평가하였다. FT-IR 측정 결과, 콩기름은 $3010cm^{-1}$ 부근에 불포화 이중결합에 기인하는 흡수를 나타내었으며 오존산화가 진행될수록 $3010cm^{-1}$ 부근의 흡수가 사라지고 $1700cm^{-1}$ 부근의 카르복실기 또는 알데히드의 흡수가 크게 나타났다. 인장전단 접착력의 경우 상태, 준내수 접착력 시험 결과 모든 오존 산화 처리 시간에서 KS 합판 접착성 기준인 $7.0kgf/cm^2$를 안정적으로 상회하였으며 오존산화 처리 반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접착력도 증가하여 60분 처리에서 최대의 접착력을 보이다 120분 처리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내수 접착력의 경우 30분, 60분, 120분 처리에서는 접착 기준을 만족 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ffect of Dissolved and Colloidal Contaminants of Newsprint Machine White Water on Water Surface Tension and Paper Physical Properties

  • Consultant, Seika-Tay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Pre-symposium of the 10th ISWPC
    • /
    • pp.61-69
    • /
    • 1999
  • Contaminants such as fatty acids, triglycerides, resin acids and foam collected from a high yield sulfite weak liquor storage tank lowered the water surface tension and reduced inter-fibre bonding but also tended to benefit sheet opacity. Some common wet end additives such as defoamers and dispersants gave similar results. Lignosulfonate and naphthalene sulfonate showed little if any negative effect on both surface tension and sheet strength properties. Among the natural wood extractives. fatty acids were identified to be most detrimental followed by triglycerides and then resin acids. In order to alleviate the detrimental impact of these contaminants, membrane separation, air floatation and ozone treatment were carried out on paper machine white water samples. The effect of these treatments on removal of fatty and resin acids was quantified by a GC-Mass analysis. Reverse osmosis with a 1000 molecular weight cut off membrane failed to totally reject fatty and resin acids, but markedly reduced losses of sheet properties due to contaminants. Ozone treatment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of the surface tension and air floatation was considered to be a practical and useful method for removing fatty and resin acids from the machine white water.

오존과 활성탄 공정해서의 1,4-Dioxane 제거 특성 (Removal of 1,4-dioxane in Ozone and Activated Carbon Process)

  • 손희종;최영익;배상대;정철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280-1286
    • /
    • 2006
  • 활성탄 재질별 신탄에서의 1,4-dioxane에 대한 흡착능을 평가한 결과, 석탄계 신탄의 파과시점은 BV 3600, 야자계와 목탄계 신탄의 경우는 BV 1440과 144 정도로 나타났다. 1,4-dioxane에 대한 최대 흡착량(X/M)은 석탄계 활성탄이 578.9 ${\mu}g/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야자계 142.3 ${\mu}g/g$, 목탄계 7.4 ${\mu}g/g$이었다. CUR은 석탄계 활성탄의 경우 0.48 g/일, 야자계와 목탄계 활성탄은 1.41 g/일과 6.9 g/일로 나타났으며 야자계와 석탄계 활성탄의 k값은 17.9와 91.5로 나타났다. 오존 단독처리 공정에서의 1,4-dioxane 제거특성을 평가해 본 결과, 2 mg/L의 오존 투입농도에서는 1,4-dioxane의 제거율이 38%인 반면 5 mg/L 고농도 오존처리로 87%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전처리 산화공정이 없는 BAC 공정(3.1년 및 5년 이상 사용탄)에서는 부착 미생물에 의한 생물분해에 의한 제거는 없었으며 2와 5 mg/L $O_3+BAC$ 공정에서 EBCT를 $10{\sim}30$분으로 하여 운전하였을 경우 오존 단독공정에 비해 $2%{\sim}6%$ 정도 제거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오존처리 후의 BAC 공정은 1,4-dioxane 제거에 큰 효과가 없었다. 1,4-dioxane이 고도 정수처리공정으로 유입되었을 시 GAC 공정을 채택한 정수장의 경우 석탄계 신탄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오존/BAC 공정의 경우는 BAC 접촉조의 EBCT를 증가시키는 운전 방법 보다 오존의 투입농도를 증가시키거나 오존 접촉조의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운전하는 방식이 1,4-dioxane 제거에 대해 효과적인 운전 방법으로 조사되었다.

오존 처리한 폐식용유의 화학구조와 pMDI로 제조한 접착제의 목재 접착강도 (Chemical Structure of Ozonized Waste Cooking Oil and Wood Bonding Strengths of Reaction Products with pMD)

  • 강찬영;이응수;류재윤;이현종;서준원;박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316-32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폐식용유를 오존산화 처리에 의한 구조적 변성을 시도하고 이를 pMDI와 반응시켜 목재접착제로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폐식용유를 사용하여 1, 2, 3시간 오존산화 처리 한 후 화학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FT-IR을 측정하였다. 또한 접착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태, 내수, 내온수, 반복끓임 실험을 하였다. FT-IR 측정 결과, 폐식용유의 오존산화가 진행될수록 불포화 이중결합에 기인한 3,010 $cm^{-1}$ 부근의 흡수가 사라지고 1,700 $cm^{-1}$ 부근의 카르복실기의 흡수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3시간대에 3,010 $cm^{-1}$ 부근에 이중결합이 거의 사라짐을 알 수 있었다. 3시간 처리한 폐식용유의 상태 접착력 시험 결과, 폐식용유: pMDI 비율이 1 : 0.5일 때 8.08 kgf/$cm^2$, 1 : 0.75일 때 9.53 kgf/$cm^2$, 1 : 1일 때 44.16 kgf/$cm^2$ 1 : 2일 때 58.08 kgf/$cm^2$, 1 : 3일 때 61.41 kgf/$cm^2$, 1 : 4일 때는 46.95 kgf/$cm^2$를 나타내어 MDI와의 적정당량이 1 : 2, 1 : 3 부근에서 결정됨을 알 수 있었다. 중량비 1 : 2, 1 : 3만을 선택하여 각각 내수, 내온수, 반복끓임 상태로 접착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내수 접착강도에서는 1 : 3의 경우가 더 높은 값을 보였으나 실험조건이 강화된 내온수, 반복 끓임에서는 혼합비율 1 : 2와 1 : 3이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