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6초

RT-PCR Detection of dsRNA Mycoviruses Infecting Pleurotus ostreatus and Agaricus blazei Murrill

  • Kim, Yu-Jeong;Park, Sang-Ho;Yie, Se-Won;Kim, Kook-Hy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343-348
    • /
    • 2005
  • The partial nucleotide sequences of the genomic dsRNA mycoviruses infecting Pleurotus ostreatus (isolates ASI2596, ASI2597, and Bupyungbokhoe) and Agaricus blazei Murrill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dsRNA mycoviruses. Partial nucleotide sequences of the purified dsRNA from ASI2596 and ASI2597 revealed RNA-dependent RNA polymerase sequenc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Oyster mushroom isometric virus 2, while nucleotide sequences and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from dsRNA mycovirus infecting Agaricus blazei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homology to the other dsRNA mycoviruses. Specific primers were designed for RT-PCR detection of these dsRNA viruses and were found to specifically detect each dsRNA virus. Northern blot analysis confirmed the homogeneity of RT-PCR products to each purified dsRNA. Al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these virus-specific primer sets can be employed for the specific detection of each dsRNA mycovirus in infected mushrooms.

알바시아나무톱밥 첨가에 따른 병재배용 느타리버섯의 생육특성 (Effect of albasia sawdust in Pleurotus ostreatus by bottle cultivation)

  • 장명준;이윤혜;강영주;주영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11
    • /
    • 2014
  • 느타리버섯 재배를 위해 알바시아나무톱밥과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포플러톱밥, 미송톱밥이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톱밥재료별로 혼합하여 배지의 이화학성 및 수량성을 검토한 결과 재료별 일반성분 중 C/N은 미송톱밥에서 504로 가장 높았고, T-N은 알바시아나무톱밥에서 4.03%로 가장 높았다. 페놀계화합물의 경우 알바시아나무톱바에서 21.65%로 가장 높았다. 혼합배지에 따른 이화학성 중 pH는 처리구별 모두 5.1~5.2로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고, C/N범위는 처리구 모두 이와 대등한 경향을 보였으며, 그 중 T2가 20으로 가장 작았다. 혼합배지별 경시적 균사생장량을 조사한 결과 T1, T3 및 T4는 모두 대등한 경향이었으나 T2의 경우 배양일수가 25일로 가장 늦었다. 혼합배지별 생육특성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유효경수는 T2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대등하였고, T2에서 가장 작았다. 알바시아나무톱밥을 기존의 미루나무톱밥이나 미송톱밥을 전량 대체할 수는 없었으나 기존 톱밥의 50%정도를 대체할 경우 수량과 회수율에서 모두 대등한 결과를 보였다.

배양기간 중 차광처리가 느타리 발이 균일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hading Treatment on the Uniform Primordium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Pleurotus ostreatus during Incubation)

  • 정윤경;이윤혜;백일선;지정현;강영주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47-252
    • /
    • 2014
  • 느타리 주요 재배품종의 균사배양중 차광처리가 발이 균일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양중 수한 1호의 배지내 온도는 차광처리 시기에 관계없이 11~12일에, $24{\sim}25^{\circ}C$, 곤지 7호는 11~12일에 $25{\sim}26^{\circ}C$로 상승하였다. 온도가 가장 높게 상승되는 시점에서 수한 1호의 $CO_2$는 9~11%, 곤지 7호는 9~10% 발생되는 반면, $O_2$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균사생장에 좋은 조건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특히, 접종 후 배양 10일부터 차광 처리시 수한 1호는 무처리 대비 20%, 곤지 7호는 13%까지 발이 불균일이 감소하면서 발이 균일도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수량에도 차이가 없었다.

이산화 유황이 느타리버섯 자실체(子實體)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ulfur Dioxide on Growth of the Fruit Body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 신관철;구자형;유성준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63-167
    • /
    • 1983
  • $SO_2$가 느타리버섯의 자실체생장(生長)과 갓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SO_2$의 농도(濃度)를 0.625, 1.25, 2.5 및 5 ppm으로 조절(調節)하고 노출시간을 15, 30, 60, 120 및 180분(分)으로 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느타리버섯의 자실체(子實體)에 $SO_2$를 처리하면 갓색이 변화(變化)하였는데 낮은 처리수준(處理水準)에서는 회청색(灰靑色)을 띄었고 처리수준(處理水準)이 높아질수록 담갈색(淡褐色), 암갈색(暗褐色)으로 변색(變色)이 심하여 졌다. 2. 자실체(子實體) 변색(變色)의 한계점(限界點)은 0.625 ppm 120분(分), 1.25 ppm 30분(分), 2.5 ppm 15분(分)이었고 5 ppm에서는 10분(分) 이내(以內)에 변색(變色)하였다. 3. $SO_2$를 1.25 ppm 120분이상(分以上), 2.5 ppm 60분이상(分以上), 5 ppm 30분이상(分以上) 처리(處理)하면 자실체(子實體)의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되었다. 2.5 ppm, 180분(分), 5 ppm 60분(分)에서는 자실체(子實體)가 고사(枯死)하였다. 4. $SO_2$의 처리(處理)는 담자기(擔子器)의 발육(發育)과 포자형성(胞子形成)을 심하게 억제(抑制)하였고 형성(形成)된 포자(胞子)의 $20{\sim}25%$는 기형화(畸形化)하였다. 5. $SO_2$를 처리(處理)한 자실체(子實體)에서 ethylene 발생(發生)은 검출되지 않았다.

  • PDF

느타리버섯 균상재배 중 배지내 미생물상의 변화 및 분포양상 (Changes and Distributional Pattern of Microflora in Cotton Waste Media of Oyster Mushroom Cultivation)

  • 이찬중;윤형식;전창성;정종천;한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50-154
    • /
    • 2009
  • The diversity of microflora according to growth stage of Pleurotus ostreatu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microbe and medium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In farmhouse I, the aerobic bacteria and fungi as longer of growing period were increased. And, thermophilic bacteria and fluorescent Pseudomonas sp. showed high density at the early stage of spawn inoculation. The thermophilic actinomycetes were distributed evenly during all the growing period, but mesophilic actinomycetes were not observed. In farmhouse II, thermophilic actinomycetes were not observed in fermented medium and density of fungi were suddenly increased at 60 days after spawn inoculation. And also, mushrooms can hardly be harvested due to Penicillium spp. After medium fermentation, density of aerobic bacteria, thermophilic bacteria, and fluorescent Pseudomonas sp. was higher at farmhouse I than those of farmhouse II. In farmhouse I, Bacillus sp. and Pseudomonas sp. dominated at early stage of mushroom growth but as time goes by, density of Bacillus sp. was higher than the others. And also, the kind of microbe showed a few at early stage of mushroom growth but increased as time goes by. In farmhouse II, Bacillus sp. was dominated at early stage of mushroom growth. And the growth of Bacillus sp. and Pseudomonas sp. showed intersect aspect each other in the farmhouse I but Bacillus sp. dominated during all growth periods in the farmhouse II.

버섯재배 후 탈병배지의 원예용 상토재료 이용성 검토 (Applicability of Spent Mushroom Media as Horticultural Nursery Media)

  • 이찬중;정종천;전창성;김승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17-122
    • /
    • 2009
  • 본 연구는 팽이버섯과 큰느타리버섯 재배 후 탈병 배지를 대상으로 원예용 상토재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탈병배지의 이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팽이버섯 탈병배지에서 pH와 암모니아태 질소가 높았고, CEC는 느타리재배 탈병배지에서 높았다. 인산과 양이온 함량은 팽이버섯 탈병배지가 큰느타리 시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미생물 분포는 팽이버섯 탈병배지에서 Microbacterium, Rhodococcus, Agrobacterium, 큰느타리버섯은 Bacillus, Pseudomonas, Curtobacterium, Microbacterium, Plantibacte속 등이 우점하였다. 버섯재배 탈병배지를 퇴비화한 결과 시판용 상토원료보다 CEC는 낮았으나, 질소, 인산 및 양이온 함량은 오히려 높았다. 팽이와 큰느타리버섯 탈병배지를 퇴비화한 후 질석을 혼합하여 고추와 배추에 대한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팽이버섯 탈병배지는 질석 혼합 비율에 관계없이 고추와 배추의 발아율이 높았다. 그러나 큰느타리 탈병배지와 질석혼용시 질석 20% 이상 혼합시 고추의 발아율이 100%였으나, 10% 혼합의 경우는 발아가 전혀 되지 않았다. 특히 배추의 경우 질석 30%를 혼합하여도 10%의 발아율을 나타냄으로써 큰느타리재배 탈병배지는 배추재배용 상토원료로는 부적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팽이버섯 탈병배지는 시판용 상토원료와 혼합할 경우 혼합비율에 관계없이 사용가능하다고 판단되나, 큰느타리 탈병배지의 경우는 시판용 상토원료와 20% 미만의 적은 양을 혼합할 경우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추 유묘의 생육은 팽이버섯과 큰 느타리 탈병배지 모두 질석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초장, 생체중 및 근중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큰느타리 탈병배지를 이용한 상토에서 고추 유묘의 생육촉진 효과가 뚜렷하였다.

세포질전환 기법에 의한 신품종 느타리 '천화심'의 육성 및 자실체 특성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a new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variety 'Chunhwashim' by using cytoplasmic hybrid)

  • 신평균;유영복;공원식;오연이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9-134
    • /
    • 2015
  •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의 품종 육성을 위해서 는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어, 최근에는 분자 육종방법으로 마커를 이용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교잡주를 선발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육종효율을 증진하기 위해 교잡효율이 높은 Di-Mon 교배방법으로 부친의 핵과 모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진 세포질전환 교잡주를 선발하였다. 느타리버섯 수한3호와 흑변이체의 교잡종인 '다굴'의 이핵균주에 춘추2호의 단핵균주와 교잡하여 120여개의 교잡주를 얻고 여기에 1차로 미토콘드리아 microsatellite DNA 마커 (MtPO1)를 이용하여 단핵균주 춘추2호의 미토콘드리아 밴드를 형성하는 교잡주 80개를 1차 선발하였다. 선발된 80균주중에서 URP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다굴'의 2핵균주 핵 DNA 패턴을 가진 26교잡주를 선발하였다. 이 중에서 수량성이 우수한 3개 교잡주의 자실체 특성을 조사한 결과 초발이일수가 2일이나 빠르면서 수량성이 좋은 품종을 선발하여 '천화심'이라 명명하였다. 천화심은 수량이 높으면서 여름에도 재배가 가능해 춘추2호의 약점을 보완함으로써 춘추대체품종으로도 재배가 가능하리라 본다.

느타리버섯의 일반성분(一般成分) 및 유리당(遊離糖)의 합량변화(合量變化) (Changes in the Contents of General Compositions and Free Sugars of Oyster Mushrooms)

  • 김태영;홍재식;이태규;김명곤;오경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1호
    • /
    • pp.14-22
    • /
    • 1989
  • 고온성(高溫性) 균주(菌株)인 P. sajor-caju와 저온성(低溫性) 균주(菌株)인 P. ostreatus 2-1, P. ostreatus 2-3, P. ostreatus 201의 균사생육(菌絲生育)과 버섯의 수량(收量)을 검토(檢討)하고 이들 중(中)에서 균사생육(菌絲生育)과 버섯수량(收量)이 양호(良好)한 P. sajor-caju, P. ostreatus 201 버섯균(菌)을 生育日數(생육일수)에 따라 각(各) 주기별(週期別)로 버섯크기별 일반성분(一般成分)과 당류(糖類)를 분석(分析)하였다. 4개(個)의 느타리버섯 균주중(菌株中)에서 균사생육(菌絲生育)과 버섯수량(收量)이 양호(量好)한 균주(菌株)는 P. sajor-caju와 P. ostreatus 201이었으며 P. sajor-caju 버섯의 전수획량(全收獲量)은 약 $20.2kg/m^{2}$이었고 P. ostreatus 201은 약 $19.79kg/m^{2}$이었다. 양(兩) 버섯중(中)에서 조단백질(粗蛋白質), 수용성(水容性) 순단백질(純蛋白質), 유리(遊離) 환원당(還元糖), 전당(全糖) 및 週脂肪(조지방) 함량(含量)은 P. ostreatus 201 버섯이 다소 높았으며 주기별(週期別)로는 이들 성분(成分)이 1,2주기(週期) 버섯은 비슷하나 유리환원당(遊離還元糖)을 제외하고는 $3{\sim}5cm$ 버섯에서 제일 높았고, 버섯 크기가 클수록 점진적으로 감소(減少)되었다. 양(兩) 버섯의 조섬유(粗纖維) 함량(含量)은 P. sajor-caju 버섯이 다소 높았고 주기(週期)가 경과(經過)할수록 점차 증가(增加)되었으며 무기물(無機物) 함량(含量)은 1,2주기(週期)는 비슷하였으나 3주기(週期)부터는 정차 감소(減少)되었고 버섯 크기가 클수록 이들 성분(成分)이 점진적(漸進的)으로 증가(增加)되었다. P. sajor-caju 버섯에서는 xylose, glucose, mannitol, trehalose, P. ostreatus 201 버섯은 xylose, fructose, glucose, mannitol, trehalose, P. ostreatus 201 버섯이 약간 높았으며, glucose는 양(兩) 버섯이 $1{\sim}3cm$ 크기의 버섯에서 많았고 나머지 당류(糖類)는 $3{\sim}5cm$ 크기의 버섯에서 많았으며 버섯이 커갈수록 이들 성분(成分)은 다소 감소(減少)되었다.

  • PDF

다발성 신품종 느타리 '다굴'의 육성 및 자실체 특성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a new multi-generation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variety 'Dagul')

  • 신평균;김희정;최찬식;유영복;공원식;장갑열;오연이;정종천;서장선;오세종;이금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54-158
    • /
    • 2013
  • 느타리(Pleurotus ostreatus)의 품종 육성은 ASI 2596(수한3호)와 ASI 2782(흑변이체)와 Mon-Mon 교잡을 통하여 3계통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우량계통 중에서 품질이 가장 우수한 SB-73을 '다굴'로 명명하였다. 주요 특성은 균사생장 적온이 $25^{\circ}C$이나 $30^{\circ}C$에서도 잘 자라며, pH의 범위가 pH5~8까지 넓게 형성되었고, 자실체 발생 최적온도는 $14{\sim}17^{\circ}C$였다. 균사체 배양에서 대선형성유무는 모균주 수한3호와 흑변이체와는 뚜렸한 대선을 형성하였다. 자실체 갓의 색깔은 연회색을 나타내었고, 형태로는 대조품종인 수한3호와 같이 다발형이었다. 자실체 수량은 병당 $68.0{\pm}24.1$로 수한3호의 수량지수를 100으로 보았을 때 115를 나타내었다. 또한 대의 길이는 수한3호보다 길고 개체발생수가 $26.1{\pm}7.5$로 수한3호 $10.5{\pm}2.6$보다 많이 형성되어 다발성을 보여주었다. 2종류의 primer를 이용하여 새로운 품종 '다굴'에 대한 RAPD pattern를 분석한 결과 모균주 수한3호와 같은 pattern를 가지면서 다른 밴드가 존재하였다. 신품종 '다굴'은 개체발생수가 많고 대가 길어 재배방법이 확립되면 농가 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외선 B파 조사가 느타리버섯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V-B Irradiation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Oyster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 이진실;임정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5-62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V-B irradiation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oyster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Vitamin $D_2$ concentration, weight loss rate, color value, total plate counts and consumer acceptability of irradiated oyster mushrooms were measured. UV-B irradiation at doses of $0\;kj/m^2$, $20\;kj/m^2$ and $40\;kj/m^2$, significantly increased the vitamin $D_2$ concentrations from $0\;{\mu}g/g$ dry weight (control) to $85.87\;{\mu}g/g$ dw and $116.28\;{\mu}g/g$ dw, respectively, at 5% level. Rate of weight loss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0% (control) to 2.21% and 4.31% at $20\;kj/m^2$ and $40\;kj/m^2$ UV-B irradiation, respectively, at 5% level.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V-B irradiated groups, total plate coun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0{\times}10^5$ (control) to $9.4{\times}10^3$ and $1.9{\times}10^3$at $20\;kj/m^2$ and $40\;kj/m^2$ of UV-B irradiation, respectively, at 5% leve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 values and consumer acceptability between the groups. Therefore, UV-B irradiated oyster mushrooms could be used as health promoting ingredients for many fo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