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xygen index

검색결과 606건 처리시간 0.028초

연안 부영양화 평가: 한국 진해만의 최근 영양 상태(2020-2023) (Evaluating Coastal Eutrophication: Trophic State Trends in Jinhae Bay, South Korea (2020-2023))

  • 김관우;나수진;강종완;이수미;최민규;임재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97-409
    • /
    • 2024
  • To evaluate the recent trophic state of Jinhae Bay, field campaigns were conducted in June and August during 2020-2023, measuring environmental factors in both the surface and bottom layers. Temperature differences between layers were greater in August than in June. Surface salinity was decreased in August, probably due to runoff, while bottom salinity remained stable. Dissolved oxygen levels showed a more pronounced stratification in August, leading to hypoxic conditions in the bottom layer. Chemical oxygen demand (COD) was higher at the surface, with rainfall contributing to elevated levels. The eutrophication index (EI) was consistently higher at the bottom across all stations, driven by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and phosphate (DIP), with a notable increase in August due to organic matter decomposition. The trophic index (TRIX) was also higher in the bottom layer, with surface TRIX influenced by DIN and salinity, and bottom TRIX by salinity, rainfall, COD, and DIN. The average TRIX for Jinhae Bay was 4.21±1.30, classified as "poor", but comparable to values from other regions.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trophic state is essential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Jinhae Bay's fisheries.

Effects of dynamic oxygen concentrations on the development of mouse pre- and peri-implantation embryos using a double-channel gas supply incubator system

  • Lee, Seung-Chan;Seo, Ho-Chul;Lee, Jaewang;Jun, Jin Hyun;Choi, Kyoo W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6권4호
    • /
    • pp.189-196
    • /
    • 2019
  • Objective: We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oxygen conditions (20% [high O2], 5% [low O2] and 5% decreased to 2% [dynamic O2]) on mouse pre- and peri-implantation development using a novel double-channel gas supply (DCGS) incubator (CNC Biotech Inc.) to alter the oxygen concentration during in vitro culture. Methods: The high-O2 and low-O2 groups were cultured from the one-cell to the blastocyst stage under 20% and 5% oxygen concentrations, respectively. In the dynamic-O2 group, mouse embryos were cultured from the one-cell to the morula stage under 5% O2 for 3 days, followed by culture under 2% O2 to the blastocyst stage. To evaluate peri-implantation development, the blastocysts from the three groups were individually transferred to a fibronectin-coated dish and cultured to the outgrowth stage in droplets. Results: The blastocyst form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ow-O2 and dynamic-O2 groups than in the high-O2 group. The total cell numb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ynamic-O2 group than in the low-O2 and high-O2 groups. Additionally, the apoptotic index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low-O2 and dynamic-O2 groups than in the high-O2 group. The trophoblast outgrowth rate and spread are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ow-O2 and dynamic-O2 groups than in the high-O2 group.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at a dynamic oxygen concentration (decreasing from 5% to 2%) had beneficial effects on mouse pre- and peri-implantation development. Optimized, dynamic changing of oxygen concentrations using the novel DCGS incubator could improve the developmental competence of in vitro cultured embryos in a human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program.

비예혼합 대향류화염에서 산소부화에 따른 NOx 생성특성 (NOx Formation Characteristics with Oxygen Enrichment in Nonpremixed Counterflow Flames)

  • 이창언;황철홍;유병훈;한지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7-22
    • /
    • 2007
  • 비예혼합 대향류화염에서 산소부화에 따른 NOx 생성특성에 관한 수치해석이 수행되었다. 순산소의 연소과정에서 공기침투에 의한 부득이한 질소 유입의 상황을 체계적으로 고려하기 위하여, 산화제의 $O_2$는 체적비 21%에서 100%까지 변화되었다. 결과적으로 NO 배출지수$(EI_{NO})$는 산소부화율 75%까지 증가하다가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이러한 경향은 화염온도, 화염두께 및 체류시간 보다는 NOx 생성과 관련된 $N_2$ 소모율 변화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N+NO=$N_2+O$ 반응이 가장 크게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Silicone Hydrogel Ophthalmic Lens Containing Hydrophilic Monomer

  • Lee, Min-Jae;Sung, A-Young
    • 대한화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261-266
    • /
    • 2016
  • The majo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acromolecules used in silicone hydrogel ophthalmic lenses include optical transmittance, oxygen permeability, water content, and refractive index. For the preparation of highly functional silicone hydrogel lens materials, two silicone monomers were used in the presence of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and hydroxypropyl methacrylate (HPMA). The samples containing HEMA and HPMA had oxygen transmissibility (Dk) values in the range of 73.38–50.98 × 10-11 (cm2/s) (mLO2/mL×mmHg) and 71.94–42.80 × 10-11 (cm2/s) (mLO2/mL×mmHg),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water contents of samples containing HEMA and HPMA were in the range of 32.73–34.67% and 31.94–33.74%, respectively, and the refractive indices were in the range of 1.4348–1.4364 and 1.4385–1.4407, respectively. Thus, silicone monomers containing HEMA and HPMA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fabricating high-oxygen-permeability silicon hydrogel ophthalmic lenses.

DC펄스 스퍼터링 공정 변수가 다층 박막의 광 반사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cess parameter of DC pulsed sputtering on optical reflectance of multi-layer thin films)

  • 정연길;박현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9-12
    • /
    • 2016
  • 특정 광 파장 영역대역에서 광 반사율을 갖는 다층 박막을 DC펄스 스퍼터링 공정으로 제작하기 위하여 공정변수가 다층 박막의 광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연구되었다. 다층 박막 필름을 제작하기위한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졌으며, DC펄스 스퍼터링 공정을 이용한 저 굴절률의 $SiO_2$와 고 굴절률의 $TiO_2$ 박막의 광학 특성에 미치는 공정 변수 파라미터가 연구되었다. DC펄스 스퍼터링 파워 2kW, 아르곤 가스 200sccm(standard cubic centimeter per minute)기준조건에서 산소가스 비율 12% 범위에서 제작한 $SiO_2$박막은 굴절률 1.46이었고 산소가스 1% 비율에서 제작한 $TiO_2$박막은 굴절률 2.27이었다. 이들 박막으로 구성된 고 굴절률 박막/저 굴절률 박막/고 굴절률 박막의 3층 다층 박막 구조의 광학설계 시뮬레이션 결과와 측정된 광 반사율 특성결과는 파장 대역에 걸쳐 유사한 경향이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근적외선 780nm에서 1200nm파장 대역 영역에서 광 반사율 45%이상의 성능을 갖는 다층 박막 필름을 제작할 수 있었고 근적외선 차단 기능 박막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니트릴고무/타이어고무분말(GTR)를 이용한 발포체의 발포 및 난연 특성에 관한 연구 (Foaming Properties and Flame Retardancy of the Foams Based on NBR/GTR Compounds)

  • 문성철;조병욱;최재곤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7권3호
    • /
    • pp.159-16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NBR)/타이어고무분말(Ground Tire Rubber, GTR) 블렌드계의 발포체를 제조하고, 이들의 난연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 난연제 중 유기인 화합물 및 무기금속 수산화물의 함량 증가에 따라 난연성이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기인 화합물의 경우 함량 증가에 따라 한계산소지수(LOI)가 증가하고, 열 방출 속도(HRR) 및 유효 연소열(EHC)이 감소하는 반면에 CO 방출률(량) 및 역기밀도가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무기금속 수산화물은 함량 증가에 따라 난연효과 뿐만 아니라 열기발생 억제효과를 동시에 가짐으로써 LOI, HRR, EHC가 유기인 화합물 첨가에서와 같은 경향성을 보여주었지만 CO 방출률(량) 및 연기밀도에 있어서는 유기인 화합물 첨가에서와 상이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난연성을 판단함에 있어 중요한 변수들인 열 방출속도, 유효 연소열, 무게감소, 한계산소지수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는데, A-HRR과 LOI가 증가함에 따라 질량손실이 각각 증가 혹은 감소하는 뚜렷한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NBR/GTR의 조성비기 $100{\sim}80/0{\sim}20 wt.%$이고 고무/난연제의 조성비가 $1/1.55{\sim}3.60 wt.%$일 때, 원활한 핵의 생성 및 cell의 성장으로 인해 균일한 closed cell 및 semi-closed cell을 보여주었다. 또한 $225{\sim}250 %$의 발포율을 보이며, 낯은 HRR과 높은 LOI($28.0{\sim}39.3$)를 갖는 난연성 및 발포성이 우수한 발포체를 얻을 수 있었다.

Montmorillonite 첨가에 의한 Epoxy Resin의 난연성 개선 (Improvement the Flame Retardancy of Epoxy Resin by the Addition of Montmorillonite)

  • 송영호;정국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00-304
    • /
    • 2008
  • 고분자 물질의 화재 위험성 및 화재시 인명 피해의 감소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점토질의 첨가에 의한 난연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 수지의 난연성 향상과 연기의 발생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점토질의 montmorillonite(MMT)와 같은 천연 물질을 삽입하여 연소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하여 한계산소지수(limiting oxygen index, LOI), 탄화층 생성량(char yield), 연기 밀도(smoke density) 측정 둥의 난연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Epoxy/MMT의 복합재료는 MMT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한계산소지수 및 탄화층 생성량이 증가하여 난연성이 향상되었으나 연기 밀도는 오히려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페놀 폼과 폴리우레탄 폼의 난연 및 내열성 연구 (Study on Flame Retardancy and Thermal Resistance Properties of Phenolic Foam and Polyurethane Foam)

  • 이주찬;서중석;김상범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5-4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페놀 폼의 난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인계 난연제의 첨가에 따른 페놀 폼과 폴리우레탄 폼의 난연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난연제가 첨가된 페놀 폼과 폴리우레탄 폼을 각각 열분석(TGA)을 통하여 열분해 거동을 알아보았고 Cone calorimeter를 이용하여 열방출량(HRR), 연기발생량(TSR) 및 CO 및 $CO_2$ 발생량과 산소한계지수(Limited oxygen index, LOI)를 통하여 난연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페놀폼이 폴리우레탄 폼에 비해 초기 분해는 빠르지만 $800^{\circ}C$에서 잔존량이 월등히 많았으며 낮은 열방출속도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질량 감소율, 연기발생량도 폴리우레탄 폼보다 낮아 우수한 난연성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