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smolality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8초

양식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생리조건에 미치는 연속적인 수온 급강하의 영향 (Physiological Responses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on Series of towering Seawater Temperature Sharply and Continuously)

  • 장영진;박명룡;강덕영;이복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01-606
    • /
    • 1999
  • 냉수대로 인한 양식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생리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4차례의 수온 급강하 조건 (Exp.I$\~$IV)을 설정하여 사육실험을 실시하였다. Exp.I에서는 개시시 $18^{\circ}C$에서 9시간만에 $9^{\circ}C$까지 급격히 수온을 떨어뜨린 다음 3시간만에 $12^{\circ}C$로 상승시켜 3일간 두었다가 다시 6시간만에 개시시 수온인 $18^{\circ}C$로 상승시켰다. Exp.II, III 및 IV에서는 각각 $3^{\circ}C$ ($20^{\circ}C), $9^{\circ}C$ ($23^{\circ}C) 및 $6^{\circ}C$ ($23^{\circ}C)의 수온차를 주어 5일간 둔 다음, 다시 원래의 수온으로 올려 주었고, 수온 구배는 시간당 $1^{\circ}C$씩 하강 또는 상승시켰다. 모든 실험에서 넙치의 혈청 코티졸과 글루코스를 측정하였고, Ht Hb, RBC 및 MCHC는 Exp.I에서, 혈청의 삼투질 농도, 전해질 지수 ($Na^+,\;Cl^-,\;K^+,\;Ca^{2+}$), 총단백질량, 아미노기 전이효소인 ALT 및 AST 활성의 변화는 Exp.II, III 및 IV에서 조사하였다. 코티졸 농도는 모든 실험에서 수온의 급강하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특히 수온변화의 폭이 클수록, 수온이 낮을수록 변화폭이 컸다(Exp.I>III>II>IV). 글루코스 농도는 Exp.I에 있어 유의한 변화 경향을 파악할 수 없었지만, Exp.II에서 수은이 급강하할 때 다소 상승하였고, 수온충격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Exp.III과 IV)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Ht, RBC, Hb는 수온 하강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MCHC는 증가하였다. 4차례의 수온급변에 따라 어체의 삼투질 농도는 감소하였고, 전해질 지수는 안정적이지 못하였다. 혈중의 총단백질량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ALT 및 AST의 활성은 뚜렷한 증감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 PDF

일차성 야뇨증 아동에서 야간 수분 제한의 치료 효과 (Therapeutic Effect of Nocturnal Water Restriction in Children with Primary Nocturnal Enuresis)

  • 이수진;양재영;김혜순;이승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5권1호
    • /
    • pp.51-58
    • /
    • 2001
  • 목 적 : 일차성 야뇨증의 치료는 민간 요법과 다양한 병인론에 근거한 각종 치료 방법이 개발 되어 있으나 가장 기본 치료인 야간 수분 제한의 치료 효과는 간과되어 왔다. 이에 저자들은 야뇨증의 일차적인 치료의 철저한 야간 수분 제한 효과만을 평가하고 성공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10월부터 1999년 6월까지 이대목동병원 소아과 외래를 방문한 일차성 야뇨증 아동(주 3회 이상의 아뇨)중 2개월간의 야간 수분 제한에 순응도가 높은 41명(7.9${\pm}$2.3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야간 수분 제한 전과 2개월 치료 후 매 2주마다 24시간 수분 섭취량과 요량을 (매주 1일이상) 기록하도록 하여 순응도를 평가하였다. 치료후 야뇨 횟수가 90$\%$이상 감소된 완전반응군, 50$\%$이상 9$\%$미만 감소된 부분반응군, 50$\%$이하로 감소된 무반응군으로 구분하여 치료율을 조사하였고, 치료에 대한 성공 요인으로 성별, 연령, 주간 배뇨 이상, 수분 섭취량, 요량, 최대 요량, 요농축능 등을 분석하였다. 치료 2개월 후 야간 요량, 최대 요량, 농축요삼투질 농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 과 : 야간 수분 제한 2개월 후의 반응률은 39.0$\%$ (l6/41)에서 완전반응, 43.9$\%$ (18/41)에서 부분반응, 17.1$\%$(7/41)에서 무반응을 보여 전체적으로 82.9$\%$ (34/41)에서 호전되었다. 야간 수분 제한의 치료 효과에 대한 예견 요인은 주간 배뇨 이상, 야간 수분 섭취량, 야간 요량, 방광 요인 등으로, 단증상 야뇨증 아동에서는 완전반응 50$\%$(13/26), 부분반응 46.2$\%$ (12/26)로 다증상 야뇨증 아동의 20$\%$ (3/15), 40$\%$ (6/15)에 비하여 유의하게 치료율이 높았다(P<0.05). 야간 수분 섭취량은 완전반응군 385${\pm}$109mL, 부분반응군 335${\pm}$105mL, 무반응군 233${\pm}$45 mL, 야간 다음은 각각 48.5$\%$(16/33), 42.4$\%$(14/33), 9.1$\%$(3/33)로 야간 수분 섭취량이 많을수록 유의하게 치료율이 높았다 (P<0.05). 야간 요량은 완전반응군 390${\pm}$62mL, 부분반응군 330${\pm}$136mL, 무반응군 140${\pm}$43mL, 야간 다뇨는 각각 59.3$\%$(16/27), 40.7$\%$(11/27), 0$\%$(0/27)로 야간 요량이 많을수록 유의하게 치료 효과가 좋았다(P<0.05). 일회 최대 요량은 완전반응군 236${\pm}$42 mL, 부분반응군 209${\pm}$56 mL, 무반응군 107${\pm}$36mL로 최대 요량이 많을수록 유의하게 치료 효과가 좋았다 (p<0.05). 연령, 성별, 일일 수분 섭취량, 다음, 일일 요량과 다뇨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야간 수분 섭취 제한 후 야간 요량의 감소 정도는 완전반응군 173${\pm}$56mL, 부분반응군 135${\pm}$83mL로 무반응군 28${\pm}$15mL에 비하여 유의하게 컸다 (P<0.05). 최대 요량의 증가도 완전반응군 88${\pm}$27mL, 부분반응군 79${\pm}$38mL로 무반응군 17${\pm}$13mL에 비하여 유의하게 컸다 (p<0.05). 농축요삼투질 농도의 증가 역시 완전반응군 190${\pm}$42mO느/kg, 부분반응군 254${\pm}$115mOsm/kg으로 무반응군 25${\pm}$32 mOsm/kg에 비하여 유의하게 컸다(p<0.05). 결 론 : 일차성 야뇨증은 야간 수분 섭취 제한만으로도 치료율이 높았고, 주간 배뇨 이상이 없고, 야간 다음, 야간 다뇨, 및 최대 방광용적이 높은 아동에서 치료 효과가 좋았다.

  • PDF

Effects of Sucrose and Trehalose on the Freezability of Markhoz Goat Spermatozoa

  • Khalili, B.;Farshad, Abbas;Zamiri, M.J.;Rashidi, A.;Fazeli,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2호
    • /
    • pp.1614-1619
    • /
    • 2009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effect of increased osmolality of basic tris extender supplemented with trehalose and sucrose on post-thawing quality (motility, progressive motility, viability, the rate of acrosome abnormality, total abnormality and membrane integrity) of Markhoz goat spermatozoa. Fresh semen samples were evaluated for motility and sperm concentration. Only semen samples with motility more than 70% and sperm concentration higher than $3{\times}10^{9}$ sperm/ml were used for cryopreservation. In Exp. 1, trehalose (50, 75 or 100 mM) and sucrose (40, 60 or 80 mM) were added to a basic tris diluent.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iment 1, the goal of Exp. 2 was to investigate the combinational effects of the highest and lowest concentrations ($T_{100}+S_{80}$ or $T_{50}+S_{40}$) of trehalose and sucrose. As the control, semen was diluted and frozen in the tris diluent without trehalose or sucrose. The results in Exp. 1 showed that all evaluated spermatozoa characteristics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freezing and thawing (p<0.05) and at the same time the increase of trehalose and sucrose concentrations in basic extenders was seen, with the best results obtained for extenders containing 70 and 100 mM trehalose and 80 mM sucrose. Comparing these results with those of control diluents,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were significantly (p<0.05) better. In Exp. 2,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between $T_{100}+S_{80}$ and $T_{50}+S_{40}$ extenders, but the results of $T_{50}+S_{40}$were slightly better than obtained with $T_{100}+S_{80}$ diluents.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the sperm characteristics in the isotonic control extender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examined extender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goat sperm can tolerate hypertonic trehalose and sucrose solutions better than isotonic control diluents in the freezing period. In particular, these positive effects have been shown for acrosome integrity, which is very important for the fertilization capacity of sperm. The data indicated that addition of trehalose plus sucrose to the freezing extender can be recommended for cryopreservation of goat spermatozoa, but more data is needed on pregnancy rate, acrosome reaction and IVF to ascertain the real effect.

수온별 붉바리(Epinephelus akaara)의 행동, 생존율 및 혈액생리학적 반응 (Behavior, Survival and Blood Physiological Responses of Red-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at Different Water Temperature)

  • 박형준;민병화;김성연
    • 환경생물
    • /
    • 제35권2호
    • /
    • pp.128-1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붉바리(Epinephelus akaara)의 장거리 수송 시 최적의 수온 (대사활동과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수온)을 조사하고자, 수온별(9, 12, 15, 18 및 $21^{\circ}C$)로 48시간 동안 어체를 노출시켜 어류의 행동 변화, 생존 및 혈액생리학적 반응을 확인하였다. $9^{\circ}C$에 노출된 붉바리는 48시간만에 전량 폐사하였지만, 12 15, 18 및 $21^{\circ}C$의 그룹에서는 모두 생존하였다. 15, 18 및 $21^{\circ}C$의 붉바리는 정상적인 유영활동을 보였으나, $12^{\circ}C$에 노출시킨 붉바리는 유영없이 수조 바닥에 가라앉아 있는 상태를 보였다. 혈장 코티졸 농도와 글루코스는 다른 실험구보다 $12^{\circ}C$에 노출시킨 붉바리에서 더 유의하게 높았다(P<0.05). 12 및 $15^{\circ}C$ 그룹은 18 및 $21^{\circ}C$보다 Ht 및 Hb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AST, $NH_3$ 및 삼투질 농도는 혈장 코티졸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P<0.05), ALT와 총단백질은 다른 실험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붉바리의 장거리 수송을 위한 적정 수온은 $15^{\circ}C$ 임을 시사하고 있다.

여윔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증상에 대한 병태생리학적 고찰 (Pathophysiology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suffering from emaciation)

  • 김이경;정준범;이무근;박수일;박명애;최미경;여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18
    • /
    • 2011
  • 본 연구는 여윔증상을 보이는 넙치의 병태생리학적 변화를 관찰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였다. 여윔넙치가 발생한 수조 내의 정상넙치와 여윔넙치의 혈장 삼투압을 측정한 결과, 정상적인 해산어의 삼투압(280~330 mOsm/L)보다 훨씬 높은 약 361과 405 mOsm/L로 각각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여윔넙치와 동일한 수조 내의 정상넙치의 삼투압 조절기능에 이상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외관상 증상을 나타내고 있지 않으나, 여윔넙치가 발생한 수조의 정상적인 넙치는 여윔증상이 나타나기 이전의 초기단계로 정의할 수 있다. H&E염색을 통하여 여윔넙치의 장을 관찰한 결과, 여윔넙치의 전장에서는 상피세포가 남아 있기는 하나, 점막하 조직에서는 염증반응이 확인되었으며, 전장의 영양물질 흡수 기능에 손상이 야기되어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그리고 후장의 경우 점막상피는 거의 손실되었으며, 직장에서는 점막상피의 소실과 아울러 소화관 고유의 folding 구조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면역염색의 결과에서도 장의 상피조직이 손실됨으로써 점막상피에 존재하는 $Na^+/K^+/2Cl^-$ (NKCC) cotransporter 에 대한 면역반응이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해산어의 수분흡수의 중요한 장소인 후장과 직장의 상피조직이 심하게 손실됨으로써 넙치의 삼투조절기능의 균형이 깨지고 탈수현상이 보이고 따라서 여윔증상이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뿐만 아니라 전장의 조직학적 변화를 통한 여윔증상에 대한 영양학적 관점에서의 고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양식넙치의 여윔증 원인분석을 위해서 여윔증상 개체뿐만 아니라 여윔증상을 보이다가 회복된 개체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희석액과 보존온도에 따른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 정자의 냉장보존 효과 (Effect of Diluents and Temperature on Sperm Storage in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 임한규;안철민;손맹현;박민우;김응오;변순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7-51
    • /
    • 2006
  • 다양한 희석액과 보존온도에 따른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 정자의 냉장보존 효과가 검토되었다. 강도다리 어미로부터 채정된 정액의 spermatocrit와 정자농도는 각각 $72{\pm}5$$6.00{\pm}0.98{\times}10^8/mL$였으며, 정장의 삼투질농도와 pH는 각자 $337{\pm}g\;mmol/kg$$7.7{\pm}0.1$이었다. 강도다리 정자의 냉장보존을 위해 희석액으로 인공정장(artificial seminal plasma, ASP), Stein's solution (SS), 해산어류용 생리식염수(marine fish Ringer's solution, MFRS)를 이용하여 각각 $0^{\circ}C,\;2^{\circ}C,\;4^{\circ}C$에서 30일간 보존하면서 정자의 활성을 검토하였다. 강도다리 정자의 냉장보존을 위해서 희석액으로는 SS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보존온도는 $0^{\circ}C$에서 정자의 활성이 가장 좋아 30일 동안 높은 운동성을 유지하였다.

말기신부전증 환자에서 혈액투석액 나트륨 농도가 혈압, 투석간 체중증가 및 갈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ypertonic Dialysate on Hemodynamic Parameters (blood pressure, pulse rate, ultrafiltration rate), Interdialytic Weight Gain and the Incidence of Thirst with Hemodialysis Patients)

  • 박혜자;장은정;김미경;조남미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8-98
    • /
    • 2000
  • Hemodialysis(HD)-associated hypotension is a frequent complication, but it is difficult to manage. Until now, several maneuvers have been tried to prevent the HD-associated hypotension. Of these, the sodium content of dialysate was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maintaining blood pressure during HD.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hypertonic dialysate on blood pressure, interdialytic weight gain and the incidence of thirst. The study was done for 6 weeks successively with 3 different groups. Each patient was dialysed with 3 different dialysates for 2 weeks: Group I(Conventional HD: sodium concentration: 137 mEq/L), Group II(Hypertonic HD: 147 mEq/L) and Group III (Sequential HD: from 147 to 140 mEq/L). Hemodynamic parameters(blood pressure, pulse rate and ultrafiltration rate), biochemical parameters(hematocrits, blood urea nitrogen, creatinine, osmolality, sodium, potassium, chloride, fasting blood sugar) and complications (interdialytic weight gain & thirsty sensation) were compared among 3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ecline of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t the time of a 3 hour check during hemodialysis was lower in the Group II than Group I and III (p=0.002; p=0.012). and decline of diastolic blood pressure at the time of a 4 hour check during hemodialysis was lower in the Group II and III than Group I (p=0.04). 2. Incidence of hypotensive episodes during dialysis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II than group I (p=0.0287). 3. The ultrafiltration in Group III at the time of 1 hour, 2 hour and 3 hour check during hemodialysis was higher than that in Group I and II at the time of 1 hour, 2 hour and 3 hour check during hemodialysis respectively (p=0.0001; p=0.0001; p=0.0004). 4. Interdialytic weight gain was higher in Group I($3.1{\pm}0.8$) than Group I($2.8{\pm}0.8$) and III ($2.9{\pm}0.9$) (p=0.0422). 5. Hematologic and biochemical resul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3 Groups. 6. Frequency of thirst was different in Group I, II and III, $0.05{\pm}0.12$, $0.41{\pm}0.24$and $0.22{\pm}0.29$ respectively (p=0.0259). The results suggest that hypertonic HD was effective in preventing HD-associated hypotension but interdialytic weight gain and thirst sensations were increased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method. In this situation, sequential HD seems to be an alternative method to minimizes the side effect of hypertonic HD.

  • PDF

명아주과 3종 식물의 염 환경에 대한 적응특성의 비교 (Adaptations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Chenopodiaceae Species under Saline Environments)

  • 송승달;김진아;추연식;배정진;김인숙;추보혜;이인중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2호
    • /
    • pp.101-107
    • /
    • 2002
  • 건조 및 염 환경에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는 명아주과 식물의 염 및 무기 영양 농도에 다른 생리적 적응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염습지에 널리 분포하는 칠면초(Suaeda japonica), 퉁퉁마디(Salicornia herbacea) 및 채소로 재배되는 근대(Beta vulgaris var. 챠침)를 재료로 하여 염 농도 (0, 50, 100, 200, 400 mM NaCl) 및 무기 영양염 농도(Hoagland 용액의 1/1, 1/5, 1/10배액)를 달리하여 식물의 엽생장과 질소, 무기 이온, 전기 전도도 및 삼투조절물질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3종 명아주과 식물은 무기영양 및 염의 농도변화에 대해 식물체에 상당량의 염을 축적하였으며, 높은 내염성 기구를 통해 400 mM NaCl 처리에서도 현저히 생장을 촉진하는 호염성의 퉁퉁마디와 200 mM NaCl 처리까지 약간의 생장 촉진을 보이는 근대 및 높은 내염성을 가지면서 50 mM NaCl 이상 처리구에서 약간의 생장 저해를 보이는 칠면초의 세가지 염내성의 종 특성을 보였다. 무기이온의 동태에 있어서 3종 식물은 무기 영양 및 염 농도와 무관하게 체내에 소량의 수용성 Ca을 함유하였고(<10μM/g plant water), K이온은 염 농도가 증가함에 다라 다소 감소하였으며, Na+과 Cl-은 배지의 무기 영양과는 무관하게 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였다. 총 질소 함량은 무기 영양 및 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기 전도도와 삼투몰농도는 무기영양보다 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Glycinebetaine과 proline의 함량은 각각 0.2∼2.5 μM/g plant water와 0.1 ∼ 0.6 ㎛M/g plant water였고, 50mM NaCl 처리구에서 최대치를 보였다.

Effect of Parotid Saliva Secretion on Dry Forage Intake in Goats

  • Sunagawa, Katsunori;Nakatsu, Yoshifumi;Nishikubo, Yoriko;Ooshiro, Takeshi;Naitou, Kouta;Nagamine, Itsu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8호
    • /
    • pp.1118-1125
    • /
    • 2003
  • Research was carried out to clarify whether a suppression of dry forage intake during the early stages of feeding in ruminants is caused by feeding induced hypovolemia which is produced by the accelerated secretion of parotid saliva. Goats with a parotid fistula were fed roughly crushed alfalfa hay cubes, commercial ground concentrate feed and $NaHCO_3$ twice daily (10:00-12:00, 16:00-18:00). The animals were free access to drinking water all day prior to, during and after experiments. The animals were intraruminally infused every day prior to the morning feeding period with parotid saliva collected from the parotid fistula over a 24 h period. The present experiment consisted of two treatments, non-infusion (RNI) and intraruminal infusion of parotid saliva (RSF). In the RSF treatment, 4-5 kg of parotid saliva (280-290 mOsm/l) collected over a 24 h period was intraruminally infused 1 h prior to the commencement of the morning feeding. During feeding, eating and parotid saliva secretion rates were measured. Blood samples were also periodically collected from the jugular vein. During and after 2 h feeding, water intakes were measured, respectively. These measurements were used to define thirst levels. It is thought that rumen fill in the RSF treatment was higher than the RNI treatment. Plasma osmolality in the RSF treatment increased in the first half of the 2 h feeding period due to the intraruminal infusion of parotid saliva. Therefore, parotid saliva secretion rates in the RSF treatment were lower than the RNI treatment for 30 min period from 30 to 60 min after the commencement of feeding. On the other hand, plasma total protein concentration and hematocrit in the RSF treatment decreased by 3.2 and 3.3% prior to the commencement of feeding due to the intraruminal infusion of parotid saliva. In the first half of the 2 h feeding period, plasma total protein concentration and hematocrit in the RSF treatment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compared to the RNI treatment. Thirst level in the RSF treatment during feeding was approximately 31.3% less than the RNI treatment. Upon the completion of the 2 h feeding period, cumulative feed intake in the RSF treatment was significantly larger (19.7%) than the RNI treat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a suppression of dry forage intake during the early stages of feeding in goats is partly caused by feeding induced hypovolemia, which is produced by the accelerated secretion of parotid saliva.

Development of objective indicators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sodium intake: the sodium to potassium ratio of second-void urine is correlated with 24-hour urinary sodium excretion

  • Kim, Jung Gon;Han, Sang-Woong;Yi, Joo Hark;Park, Hyeong Cheon;Han, Sang Youb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4권1호
    • /
    • pp.25-31
    • /
    • 2020
  • BACKGROUND/OBJECTIVES: To date, sodium intake has been evaluated based on spot urine instead of 24-hour (hr) urine collection. Nevertheless, the optimal method for assessing daily sodium intake remains unclear. SUBJECTS/METHODS: Fifteen male (age 32.7 ± 6.5 years) participants were offered 3 meals with a total of 9-10 g salt over 24 hours, and 24-hr urine was collected from the second-void urine of the first day to the first-void urine of the second day. Twenty-four-hr urinary sodium (24UNa) was estimated using Tanaka's equation and the Korean formula, and spot urine Na, potassium (K), chloride (Cl), urea nitrogen (UN), creatinine (Cr), specific gravity (SG) and osmolality (Osm) were measured. The ratios of urinary Na to other parameters were calculated, and correlations with total measured 24UNa were identified. RESULTS: Average 24-hr urine volume was 1,403 ± 475 mL, and measured 24UNa was 143.9 ± 42.1 mEq (range, 87.1-239.4 mEq). Measured 24UN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urinary Na/UN (r = 0.560, P < 0.01), urinary Na/Osm (r = 0.510, P < 0.01), urinary Na/Cr (r = 0.392, P < 0.01), urinary Na/K (r = 0.290, P < 0.01), 24UNa estimated using Tanaka's equation (r = 0.452, P < 0.01) and the Korean formula (r = 0.414, P < 0.01), age (r = 0.548, P < 0.01), weight (r = 0.497, P < 0.01), and height (r = 0.393, P < 0.01) in all spot urine samples. Estimated 24UNa based on the second-void spot urine of the first day tended to be more closely correlated with measured 24UNa than were estimates from the other spot urine samples. The significant parameters correlated with the second-void urine of the first day were urinary Na/K (r = 0.647, P < 0.01), urinary Na/Cr (r = 0.558, P < 0.05), and estimated 24UNa using Tanaka's equation (r = 0.616, P < 0.05) and the Korean formula (r = 0.588, P < 0.05). CONCLUSIONS: Second-void urine is more reliable than first-void urine for estimating 24UNa. Urinary Na/K in the second-void urine on the first day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24UN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the most reliable index and the optimal time of urine sampling for predicting 24U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