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gonal complex structur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1초

Functional Anatom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nd Pathologic Changes in Temporomandibular Disease Progression: A Narrative Review

  • Yeon-Hee Lee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14-35
    • /
    • 2024
  •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is one of the most unique joints in the human body that orchestrates complex movements across different orthogonal planes and multiple axes of rotation. Comprising the articular eminence of the temporal bone and the condylar process of the mandible, the TMJ integrates five major ligaments, retrodiscal tissues, nerves, and blood and lymph systems to facilitate its function. Cooperation between the contralateral TMJ and masticatory muscles is essential for coordinated serial dynamic functions. During mouth opening, the TMJ exhibits a hinge movement, followed by gliding. The health of the masticatory system, which is intricately linked to chewing, energy intake, and communication, has become increasingly crucial with advancing age, exerting an impact on oral and systemic health and overall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to lead a healthy and pain-free lif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basic anatomy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TMJ and masticatory muscles is imperative.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s) encompass a spectrum of diseases and disorders associated with changes in the structure, function, or physiology of the TMJ and masticatory system. Functional and pathological alterations in the TMJ and masticatory muscles can be visualized using various imaging modalities, such as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bone scans. An exploration of potential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related to the TMJ anatomy contributes to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MD and informs targeted treatment strategies. Hence, this narrative review presents insights into the fundamental functional anatomy of the TMJ and pathological changes that evolve with TMD progression.

효율적인 파이프라인 구조와 스케줄링 기법을 적용한 고속 8-병렬 FFT/IFFT 프로세서 (High Speed 8-Parallel Fft/ifft Processor using Efficient Pipeline Architecture and Scheduling Scheme)

  • 김은지;선우명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3C호
    • /
    • pp.175-18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해 OFDM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고속 FFT/IFFT 프로세서를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프로세서는 높은 데이터 처리율을 만족하기 위해서 MDC 구조와 다중 병렬 처리 기법을 채택하였다. 하드웨어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연산에 필요한 연산기의 수를 줄이는 구조로 버터플라이 연산기의 수를 줄인 MRMDC 구조와 효율적인 스케줄링 기법을 적용하여 복소 곱셈기의 수를 줄이는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연산 싸이클을 증가시키지 않고 하드웨어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UWB, WiMAX, O-OFDM과 같은 고속 OFDM 시스템을 위해 제안하는 프로세서는 128-포인트와 256-포인트 두 가지 모드를 지원 가능하다. 제안하는 프로세서는 IBM 90nm 공정으로 합성하여 메모리를 제외한 전체 게이트 수가 760,000개를 보이며, 동작속도는 430MHz를 나타내었다.

무선 랜 모뎀용 저전력 FFT/IFFT프로세서 설계 (Low-power FFT/IFFT Processor for Wireless LAN Modem)

  • 신경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1A
    • /
    • pp.1263-1270
    • /
    • 2004
  •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무선 랜 모뎀에 사용되는 고속/저전력 64-점 FFT/IFFT 프로세서 코어를 설계하였다. Radix-2/4/8 DIF (Decimation-In-Frequency) FFT 알고리듬을 R2SDF (Radix-2 Single-path Delay Feedback) 구조에 적용하여 설계하였으며, 내부 데이터 흐름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데이터 패스의 불필요한 switching activity를 제거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최소화하였다. 회로 레벨에서는 내부의 상수 곱셈기와 복소수 곱셈기를 절사형(truncated) 구조로 설계하여 칩 면적과 전력소모가 감소되도록 하였다. Verilog-HDL로 설계된 64점 FFT/IFFT 코어는 0.25-$\mu\textrm{m}$ CMOS 셀 라이브러리로 합성한 결과, 약 28,100 게이트로 합성되었으며, 추출된 게이트 레벨 netlist와 SDF를 이용한 타이밍 시뮬레이션 결과, 50-MHz@2.5-V로 안전하게 동작하는 것으로 검증되어 64점 FFT/IFFT 연산에 1.3-${\mu}\textrm{s}$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설계된 코어를 FPGA에 구현하여 다양한 테스트 벡터로 동작시킨 결과 정상 동작함을 확인하였으며, 50-dB 이상의 신호대잡음비(SNR) 성능과 50-MHz@2.5-V 동작조건에서 약 69.3-mW의 평균 전력모소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