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dontic movement

검색결과 345건 처리시간 0.03초

Clinical effectiveness of different types of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devices for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 Wang, Jiangwei;Yang, Yingying;Wang, Yingxue;Zhang, Lu;Ji, Wei;Hong, Zheng;Zhang, Linku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313-323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clinical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devices by using a network meta-analysis. Methods: We searched seven databases for randomized and controlled clinical trials that compared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with tooth-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interventions or untreated groups up to May 2021. After literature selection, data extraction, and quality assessment, we calculated the mean differences, 95% confidence intervals, and surface under the cumulative ranking scores of eleven indicator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 statistical software with the GeMTC package based on the Bayesian framework. Results: Six interventions and 667 patients were involved in 18 studies. In comparison with the tooth-anchored groups, the bone-anchored groups showed significantly more increases in Sella-Nasion-Subspinale (°), Subspinale-Nasion-Supramentale(°) and significantly fewer increases in mandibular plane angle and the labial proclination angle of upper incisor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Sella-Nasion-Supramentale(°) decreased without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ll treated groups. IMPA (angle of lower incisors and mandibular plane) decreased in groups with facemasks and increased in other groups. Conclusions: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can promote greater maxillary forward movement and correct the Class III intermaxillary relationship better, in addition to showing less clockwise rotation of mandible and labial proclination of upper incisors. However, strengthening anchorage could not inhibit mandibular growth better and the lingual inclination of lower incisors caused by the treatment is related to the use of a facemask.

최적구조설계를 이용한 교정브라켓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Correction Bracket Performance Using Optimal Structural Design)

  • 이정화;권현규;권동재;박상준;전유진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7-32
    • /
    • 2022
  • There has always been a demand for orthodontic treatment. Orthodontic treatment allows tooth to be arranged by flexible arch wire fixed with tooth-attached brackets. Arch wire generate constant pressure to tooth brackets which moves the teeth to proper place. When the bracket transmits force, the braced wing of the bracket may deform. Deformed tie wing will lead to lost tension of elastic ligature. Then, lacking grip between tie wing and ligature might delay the tooth movement. Furthermore, tooth brackets used for orthodontic treatment make contact with in direct oral surface and this cause feeling of irritation that comes from height of tooth braces. This study suggests an optimal teethe bracket design to make up for inconvenience by shorten the height of bracket and complement the shape of bracket to reduce strain rate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As a result, new optimal design of teethe bracket indicates lower strain rate of the bracket wing and takes good effects of shorten body height in terms of convenience.

백서에서 불소의 투여가 실험적 치아이동시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uoride on osteoclastic bone resolution during experimentally moved rat molars)

  • 김도훈;문윤식;고재승;김현만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23-730
    • /
    • 2000
  • 교정적인 치아이동은 치주조직, 특히 치조골의 개조를 필요로 한다. 불소는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를 방해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불소의 섭취가 교정적인 치아이동시 압박측 치주조직에서 파골세포의 출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40마리의 백서에게 60일동안 불화나트륨(NaF)가 각각 0, 10, 25 mg/kg/일 함유된 물을 음수시킨 후, 약 50-70g의 교정력을 가하여 상악 제 1 대구치를 근심쪽으로 경사이동시켰다. 교정력을 가한 24, 48, 그리고 96 시간 후에 대조군과 실험군을 희생시킨 후 조직편을 제작하여 상악 제 1 대구치의 압박측 치주조직 $450\times700\;{\mu}m^2$을 관찰하여 출현한 파골세포의 수와 흡수량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모든 측정시간에서 25 mg/kg/일 군에서 대조군보다 파골세포의 수가 유의성 있게 적었다. (p<0.05) 2. 24, 48시간 측정에서 25 mg/kg/일 군에서 대조군보다 흡수되는 면적이 유의성 있게 적었다. (p<0.05) 3. 대조군에서는 48시간에서 96시간 사이에 흡수되는 면적이 약간 감소하였으나, 10 mg/kg/일 군과 25 mg/kg/일 군 모두에서는 약간 증가하였다.

  • PDF

상악 전치부의 전하방 이동을 위한 치조골신장술 (Alveolar Bone Distraction Osteogenesis at Maxillary Anterior Region for Forward-Downward Movement)

  • 양훈주;이수연;황순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5호
    • /
    • pp.459-466
    • /
    • 2010
  • Alveolar distraction osteogenesis (ADO) has been regarded as an acceptable treatment for the alveolar bone deficiency. For ADO at anterior maxillary area, the vector should be oriented to forward and down-ward direction to get an adequate occlusion with mandibular teeth and to increase bone length and width for implant placement. However, the conventional commercial distraction devices for ADO are designed to allow mainly downward movement of alveolar segment, even though a forward movement can be obtained a little by controlling of inclination of device. To make ADO with controllable bidirectional vector possible, we used customized devices using self-manufactured ABDUL (Alveolar Bone Distractor Using Lag screw principle) and commercial orthodontic palatal expansion device ($Hyrex^{(R)}$). In all cases (n = 4), ADO could be performed successfully and dental implants were able to placed with adequate occlusion. We report the procedure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se methods.

Clear Aligner Therapy: Evidence, Eloquence and Reality

  • Nikhilesh R. Vaid;Samar M. Adel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115-127
    • /
    • 2023
  • The demand for orthodontic clear aligner therapy (CAT) has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he last decade, offering advantages over the fixed appliances (FA) including enhanced aesthetics, better hygiene and comfort, along with minimal restrictions on the patient's diet. Moreover, a marked improvement in the efficacy of tooth movement using aligners has been documented. On the contrary, there have been known limitations of CAT including the compliances issues and the apparent lack of efficacy for certain types of tooth movement such as closure of extraction space compared to FA. Thus, evidence-based evaluation of the accuracy of prediction of tooth movement with clear aligners and their ability to effectively perform major tooth and root movements compared to FA are crucial. Although several systematic reviews have investigated various aspects of the effectiveness of CAT, we are yet to obtain a rather conclusive answer to this question. The current review attempted to summarize the evidence-based findings of most systematic reviews about CAT available to date. Major issues regarding the predictability of tooth movement, the role of attachments and auxiliaries in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CAT, and the treatment outcomes in comparison to FA were investigated. Clinical recommendation have been also elaborated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findings of all systematic reviews included in this study.

치근 부착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력 분포 분석 (An Analytical Study on Strain Distribution Using Strain Gauge Attached On Root Surface)

  • 김상철;박규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25-333
    • /
    • 2001
  • 바람직한 교정치료는 최적의 교정력을 치아에 가하여 정확하게 치아이동을 조절하고 예측함에 따라 가능해진다. 치관에 힘과 모멘트가 동시에 적용될 때 그 비율(M/F ratio)에 따라 치주인대에 나타나는 응력 분포가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른 회전중심의 위치가 변하게 되는데 이런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정확한 치아이동을 조절하고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력에 따른 치주인대 및 치조골 부위에서의 응력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악 중절치 치근 8부위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한 인공 치아를 광탄성 레진에 매식한 4mm 정중이개 증례의 상악 전치부 실험모형을 제작하여 응력 분포를 조사하였다. 폐쇄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1. 금속 호선의 삽입 없이 100g의 힘을 발휘하는 elastomeric chain만 사용한 경우, 2. .016" 금속호선을 삽입하고 elastomeric chain을 사용한 경우, 3. .016“x.022” 금속호선을 삽입하고 elastomeric chain을 사용한 경우. 각각의 경우에서 치근의 근심면, 원심면 및 순면, 설면에 나타나는 응력을 계측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근 부착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력 분포 조사 방법으로 치아이동시 치근의 근 원심면 및 순 설면에서의 응력 분포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모멘트 팔의 형성을 추정함으로써 치아의 회전양상을 알 수 있었다. 2. 호선없이 교정력을 적용한 경우 정출 및 경사이동이 컸으며 호선 적용에 따라 압하 및 치체이동 양상을 보이는 것을 응력 분포 파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교정치료에 따른 미맹출 하악 제3대구치의 위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ERUPTIVE POSITIONAL CHANCE OF THE LOWER THIRD MOLAR FOLLOWING ORTHODONTIC TREATMENT)

  • 이경원;배성렬;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5-111
    • /
    • 1996
  • 임상교정에서의 원활한 치아배열을 도모하기 위하여 진단과 치료계획의 수립 방향에 따라 제1소구치 혹은 제2소구치 발치 또는 제2대구치 발치 또는 비발치로 치료가 진행된다. 이때 나타나는 하악제3대구치의 위치적 변화 특히 근원심, 협설측 경사도의 변화도를 알아보고자 163명의 교정환자 (비발치군 77례, 제1소구치 발거군 78례, 제2대구치 발거군 8례)의 치료전후 Pantomogram상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하악 제2대구치 발거군에서 치료전후 근원심 경사도의 변화가 컸으며, 하악 제3대구치의 초기 근심 경사도는 치료 전후의 근심경사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치료전 후의 근심경사도 변화량과도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비발치군과 제1소구치 발거군에서 치료전후의 협설경사도 변화의 차이가 인정되었다. 치료전후의 협설경사도 변화는 치료전의 협설 경사도, 치료후의 협설경사도, 치료후의 근심경사도, 치료전후의 근심경사도 변화량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 PDF

백서의 치아이동 시 피질골 천공이 치주조직의 MMP-1, -8, -13 mRNA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xpression of MMP-1, -8, and -13 mRNA in the periodontal ligament of rats during tooth movement with cortical punching)

  • 곽춘;김성식;박수병;손우성;김용덕;전은숙;박미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87-201
    • /
    • 2008
  • 본 연구는 피질골 천공을 동반한 교정적인 치아이동이 통상의 교정적인 치아이동과 조직 재형성의 정도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실험동물은 15주령 군 300 - 350 g의 자성 백서(Sprague-Dawley Rat)를 사용하였으며 피질골 천공을 동반한 치아이동 실험군(TMC group, n = 16)과 단순 치아이동 대조군(TM group, n = 16)으로 나누었다. 모든 실험동물에 20 gm 이하의 힘으로 전치부를 이개시키는 치아 이동을 시행하였으며, 실험군은 상악전치부의 직후방 구개측에서 치근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직경 1.0 mm의 microscrew를 사용하여 피질골 천공을 하였다. 모든 실험동물은 1, 4, 7, 14일에 희생시켜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8, -13 효소의 RT-PCR과 I형 교원질(Collagen type I)과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TIMP-1)의 면역조직화학염색(immunohisto-chemistry)을 시행하였다. MMP-1은 실험군에서 4일째에 가장 활발한 발현을 보이다가 7일째와 14일째에 조금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대조군에서는 실험 7일째에 가장 높은 발현을 보이다가 14일째 들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MMP-8은 실험 1일째부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더 많은 발현을 보였으며, 특히 4일째의 실험군에서는 대조군보다 두 배 이상 발현되었다. MMP-13은 실험 1일째의 실험군에서 가장 높은 발현도를 보였으며, 대조군에서는 오히려 미처치 대조군에 비해 더 낮게 발현되었다. I형 교원질의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는 실험 4일째부터 압박측에서는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더 많은 교원질의 소실을 보였고, 인장측에서는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더 많은 교원질의 염색 소견을 보였다. TIMP-1은 실험 4일째에는 압박측에서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치주인대와 치조골의 골세포에서 좀 더 균일한 염색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피질골 천공은 백서의 실험적 치아이동에 있어 치주인대와 치조골 결합 조직의 재형성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Protraction of mandibular molars through a severely atrophic edentulous space in a case of juvenile periodontitis

  • Wu, Jian-chao;Zheng, Yu-ting;Dai, Yi-ju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45-154
    • /
    • 2020
  • Moving the mandibular posterior teeth into a severely atrophic edentulous space is a challenge. A carefully designed force-and-moment system that results in bodily protraction of the posterior teeth with balanced bone resorption and apposition is needed in such cases. This report describes the treatment of a 19-year-old woman with missing mandibular first molars due to juvenile periodontitis. Miniscrews were used as absolute anchorage during protraction of the mandibular second and third molars. Bodily mesial movement of the mandibular second and third molars was achieved over a distance of 11 to 17 mm after 39 months of orthodontic treatment.

Do customized orthodontic appliances and vibration devices provide more efficient treatment than conventional methods?

  • Aldrees, Abdullah M.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80-185
    • /
    • 2016
  • The incorporation of technological advances in the field of clinical orthodontics to increase treatment efficiency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appliances (Insignia$^{(R)}$), archwires (Suresmile$^{(R)}$), and the production of devices to enhance tooth movement (Acceledent$^{(R)}$). This review presents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these products, and analyzes the available evidence of their efficiency. To date, one pilot study has evaluated the efficiency of the Insignia$^{(R)}$ system, three retrospective studies have assessed the efficiency of the Suresmile$^{(R)}$ system, and a few Acceledent$^{(R)}$ reports have described its effect on treatment time. Critical appraisal of the reviewed papers revealed that the efficiency of the Insignia$^{(R)}$ system cannot be confirmed based on the available evidence, while the use of Suresmile$^{(R)}$ can reduce overall treatment time in simple cases. The acceleration of tooth movement by Acceledent$^{(R)}$ devices has not yet been confir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