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namental tree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3초

개발예정지 내 자생수목 처리방법에 따른 비용 연구 (Cost Effectiveness Depending on the Native Tree Treatment Methods)

  • 조흥렬;김세빈;오도교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1-6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fitability by selecting Pinus densiflora S. et Z. worthy of ornamental tree from among the cutting timber in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and then presents the improvements. The study site is the whole area of Oedong-eup Gyeongju city Gyeongsangbuk-do and subject trees numbers are 2,180 trees. Analysis method is cost analysis because it is used generously pubic land development. In results, at first, in case of forest development currently cutting tree costs 7.3 million Won/ha. and no profit is occurred at all. Secondly, the forward direction order of tree treatments expenses are in sawdust production, selling lumber, selling ornamental tree, and selling ornamental tree, sawdust production, selling lumbered on the aspect of profits by the selling stumpage. Especially, selling trees as ornamental tree costs 127 million Won/ha. which shows the highest profits. Third, the management of ornamental tree pine tree after transplantation from development site costs 5 times less than purchasing the same quality trees. Hence, it is recommended to re-utilize the trees from the development sites to produce a high standard gardens and it also provides the basis for the low carbon green growth society.

포항시 마을 숲 조성실태 연구 (A Study on Condition of Village Groves in Pohang City)

  • 이경락;최상범;허상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7호
    • /
    • pp.615-62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illage groves in Pohang city by classifying them into 5 categories: sage plantation, shelter-belt plantation, shore plantation, ornamental plantation and bower pla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village groves in Pohang city consist of 16 sage plantations ($128,682m^2$), 14 shelter-belt plantations ($807,755 m^2$), 17 shore plantations ($447,616m^2$), 10 ornamental plantations ($141,276m^2$) and 6 bower plantations ($79,075 m^2$). Namely, the ratio of shore plantations is highest (n=17) in terms of number, while that of shelter-belt plantations is highest (50.3%) in terms of area. On the other hand, Pinus Thunbergii account for the absolute majority (n=55,239, 74.1 %) of the trees, followed by pine trees (n=18,017, 24.2%). Both species are combined to account for 98.3% of the entire trees, which means that the plantations are simple in terms of tree species When the village groves were compared in terms of functional age, sage plantations are oldest or aged 143 years, followed by bower plantations (aged 137), ornamental plantations (aged 118), shore plantations (aged 92) and shelter-belt plantations (aged 88).

실내에서 LED광질이 관엽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D Light Quality on Foliage Plants Growths in Interior Environment)

  • 김명선;채수천;이명원;박갑순;안승원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499-1508
    • /
    • 2013
  • In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role of LED light quality in enhancing the ornamental value of indoor foliage plants, amber and red light increased plant height, leaf width, and leaf stalk, and the consequent tree shape decreased the ornamental value. The chlorophyll content increased significantly under white light and compound light.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plant leaf color on ornamental value, the value of lightness was markedly enhanced by red light. As to the functionality of plants according to photosynthetic activity, plants such as Dieffenbachia, Clusia, and Dracaena were found favorable to those staying indoors for a longtime from morning to evening. Spathiphyllum, and Ficus were found to be recommendable for indoor spaces used actively during afternoon because their photosynthesis was activated in the afternoon. With regard to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light quality, white light consumed 119 W/hour, around 45% lower than that of fluorescent lamps, so it is considered the optimal artificial light quality that can enhance energy efficiency. Red light consumed 72 W/hour, only 33% of that of fluorescent lamps, but it was not considered the optimal light quality because plant growth was poor under the light quality. White light and compound light were found to be the ideal light sour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ality and ornamental value of indoor plants and reducing the cost of maintenance, but because compound light hinders people from recognizing the original color of plants and makes their eyes easily tired, white light was considered the optimal light satisfying all of the ornamental value, economic efficiency and functionality resulting from plant growth.

관상수목의 미기록 흰가루병(I) (New Records of Powdery Mildews from Ornamental Trees in Korea (I))

  • 신현동;양성일;이상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2호통권89호
    • /
    • pp.158-163
    • /
    • 1999
  • 네 종의 관상수목에서 흰가루병이 발생하였는데, 이들은 지금까지 한국에서 보고되지 않았으므로 발병양상을 기록하고 병원균을 동정하였다. 노린재나무 흰가루병은 그늘에서 자란 잎에서만 약하게 발생하였으므로 그리 문제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병원균은 Microsphaera nomurae U. Braun으로 동정되었다. 꽃산딸나무 흰가루병은 그리 심하지 않았으나 묘포에서의 대발생이 우려되었는데, 병원균은 Microsphaera pulchra Cooke & Peck으로 동정되었다. 야광나무 흰가루병은 묘포에서 어린잎과 어린줄기에 주로 발생하였는데, 병원균은 Podosphaera leucotricha (Ellis & Everh.) Salmon으로 동정되었다. 왕느릅나무 흰가루병은 주로 가을철에 발생하였으며 2차 생장한 어린 가지에서 특히 심하였는데, 병원균은 Uncinula kenjiana Homma로 동정되었다.

  • PDF

컴퓨터를 이용한 식물병 임상진단 시스템 개발 (A Computer-Based Advisory System for Diagnosing Crops Diseases in Korea)

  • 이영희;조원대;김완규;김유학;이은종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9-104
    • /
    • 1994
  • A computer-based diagnosing system for diseases of grasses, ornamental plant and fruit trees was developed using a 16 bit personal computer (Model Acer 900) and BASIC was used as a programing language. the developed advisory system was named as Korean Plant Disease Advisory System (KOPDAS). The diagraming system files were composed of a system operation file and several database files. The knowledge-base files are composed of text files, code files and implement program files. The knowledge-base of text files are composed of 79 files of grasses diseases, 122 files of ornamental plant diseases and 67 files of fruit tree diseases. The information of each text file include disease names, causal agents, diseased parts, symptom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ausal organisms and control methods for the diagnosing of crop diseases.

  • PDF

Phylogenetic position of Daphne genkwa (Thymelaeaceae) inferred from complete chloroplast data

  • YOO, Su-Chang;OH, Sang-Hun;PARK, Jongsu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71-175
    • /
    • 2021
  • Daphne genkwa (Thymelaeaceae) is a small deciduous shrub widely cultivated as an ornamental.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of this species is presented here. The genome is 132,741 bp long and has four subregions: 85,668 bp of large single-copy and 28,365 bp of small single-copy regions are separated by 9,354 bp of inverted repeat regions with 107 genes (71 protein-coding genes, four rRNAs, and 31 tRNAs) and one pseudogene. The phylogenetic tree shows that D. genkwa is nested within Wikstroemia and is not closely related to other species of Daphne, suggesting that it should be recognized as a species of Wikstroemia.

아황산가스가 조경수목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ulfur Dioxide on the Growth of Ornamental Trees)

  • 김태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29-233
    • /
    • 1981
  • 경기도 의정부시에 위치하고 있는 도봉농장내에서 생육하고 있는 조경수목이 인근 공장의 연료연소시 발생되는 $SO_2$ gas에 의해 피해를 입어 고사된 것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피해수종별 엽내유황함량을 분석한 결과 피해가 심할수록 전유황함량이 증가하는 각수종에서 나타났다. 농장서쪽 경계선에서 $70\~120m$ 거리가 피해가 가장 심하였고, 여기서 전유황함량이 가장 높았다. 또한 전유황함량의 최대치가 $0.5\~0.6\%$인데, 이러한 피해가 발생된 것은 급성적인 피해가 기온의 차이가 큰것에 기인된다. 2. 향나무에서 동일개체내의 건전부위와 피해부위의 전유황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2. 엽조직의 해부학적 조사에서 피해엽은 공통적으로 갯솜조직과 표피세포의 원형질분리가 일어나 수축 파괴가 일어났고, 또한 세포간극과 기공주변이 넓어진다.

  • PDF

환경개선(環境改善)을 위한 녹화수목재배(綠化樹木裁培)의 현황(現況) 및 경영분석(經營分析)과 전망(展望) (A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Management Analysis, and Future Prospect of the Ornamental Tree Cultivation with respect to Environmental Improvement)

  • 박태식;김태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1-46
    • /
    • 1977
  • 관상수재배(觀賞樹栽培)의 현황(現況), 생산(生產), 유통과정(流通過程), 문제점(問題點), 전망(展望)과 개선방안(改善方案)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관상수재배(觀賞樹栽培)의 일반현황(一般現況) (1) 전국(全國)(서울제외(除外))의 관상수재배면적(觀賞樹栽培面積)과 재배자수(栽培者數)는 각각 1,872.02ha, 2,717명(名)으로서 농수산부(農水產部) 집계(集計)와 많은 차이(差異)가 있는데, 이것은 재배업자(栽培業者)들이 조세부담등(租稅負擔等)의 이유(理由)때문에 정확(正確)한 답(答)을 하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2) 직업(職業)은 원예(園藝)(관상수포함(觀賞樹包含)), 농업(農業)을 비롯한 일차산업분야(一次產業分野)의 종사자(從事者)들이 대부분이었으며, 공무원(公務員), 회사원(會社員)도 약간 있었다. (3) 관상수재배자(觀賞樹栽培者)는 학력(學歷)이 높을수록 그 수(數)가 많은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연령(年齡)은 청년층(青年層)보다 장년(壯年)에서 노년층(老年層)이 많은 분포(分布)를 보였다. (4) 관상수재배동기(觀賞樹栽培動機)는 취미(趣味)로 시작, 수익(收益)이 높아서 자산저축적(資產貯蓄的)인 취지(趣旨)에서 공한지활용등(空閑地活用等)의 순(順)으로 나타났으며 재배경력(栽培經歷)은 5~10년(年)이 가장 많고, 대체로 5~15년(年)까지의 재배경력(栽培經歷)을 가진 자가 전체(全體)의 약 $\frac{2}{3}$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5) 관상수재배장소(觀賞樹栽培場所)는 전(田)이 반이상(半以上)이었으며 그밖에 임야(林野), 답(畓), 하천부지등(河川敷地等)의 순(順)으로 전(田)과 답(畓)을 합(合)하면 66.1%로서 전체(全體) 재배장소(栽培場所)의 2/3나 되었다. (6) 관상수(觀賞樹)의 재배면적(栽培面積)은 1,000~3,000평(坪)의 재배자수(栽培者數)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이 3,000~10,000평(坪), 10,000평(坪) 이상(以上), 300~1,000평(坪), 300평미만(坪未滿)의 순(順)으로 1정보(町步)(3,000평(坪))이상(以上)의 재배자(栽培者)가 44.3%로 나타났다. 2. 관상수(觀賞樹)의 생산(生產) (1) 관상수원(觀賞樹園)의 경영형태(經營形態)는 부업(副業), 주업(主業), 겸업순(兼業順)이었으며, 경영방식(經營方式)은 기업경영(企業經營), 반자영(半自營), 자영순(自營順)으로서 관상수재배(觀賞樹栽培)에는 고용노동(雇傭勞動)을 많이 사용(使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관상수(觀賞樹)의 재배수종(栽培樹種)은 다양한데 30종(種) 미만(未滿)의 재배자(栽培者)가 전체(全體)의 약 3/4, 30종(種) 이상(以上)의 재배자(栽培者)가 전체(全體)의 약 l/4로 나타났다. (3) 1977년(年) 3월말(月末) 현재(現在) 관상수재배자(觀賞樹栽培者)들이 재배(栽培)하고 있는, 10가지 주요관상수종(主要觀賞樹種)은 (1) 향나무류, (2) 철죽류, (3) 회양목, (4) 은행나무, (5) 단풍나무, (6)목련류, (7) 잣나무류, (8) 주목, (9) 사철나무류, (10) 히말라야시다로 나타났다. (4) 출하(出荷)가 곧 가능(可能)한 수종(樹種)은 (1) 향나무류, (2) 회양목, (3) 철죽류, (4) 단풍나무류, (5) 목련류등이었다. 3. 관상수(觀賞樹)의 유통(流通) (1) 관상수(觀賞樹)의 처분(處分)은 주(主)로 중간상인(中間商人)에게 판매(販賣)하고 있었으며, 관상수유통과정(觀賞樹流通過程)은 5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대부분 중간상인(中間商人)과 하청자(下請者)를 거치며 심지어는 3~4단계의 중간단계(中間段階)를 거치는 유통경로(流通經路)도 실재(實在)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므로 관상수(觀賞樹) 거래가격(去來價格)이 마구 조작되고 있어 피해(被害)와 손해(損害)를 입는 것은 생산자(生產者)와 실수요자(實需要者)들이다. 따라서 생산자(生產者)를 보호육성(保護育成)하고 실수요자(實需要者)들에게 보다 싼 적정가격(適正價格)으로 관상수(觀賞樹)를 공급(供給)할 수 있는 단일유통체제(單一流通體制)의 수립(樹立)이 시급히 강구(講究)되어야 할 것이다. (2) 관상수생산자(觀賞樹生產者)들의 관상수판매가격(觀賞樹販賣價格)은 조사결과(調査結果) 입찰가격(入札價格)의 1/2~1/3, 심지어는 수종(樹種)에 따라 1/41~1/5에 불과한 예(例)도 있음이 나타났다. (3) 중간상인(中間商人)들이 얻는 중간이익(中間利益)은 20~50%정도(程度)를 얻는 사람이 대부분인 것으로 본조사결과(本調査結果) 밝혀졌다. 그러므로 관상수유통(觀賞樹流通)의 합리화(合理化)를 기(期)하기 위해서는 중간상인(中間商人)과 하청자(下請者)를 배제(排除)한 생사자(生產者)가 실수요자(實需要者)에게 직매(直賣)할 수 있는 유통경로(流通經路)의 모색(摸索)이 절실히 요청(要請)되며, 생산자(生產者)의 권리(權利)를 보장할 수 있는 방안(方案)도 아울러 검토(檢討)되어야 할 것이다. 4. 관상수(觀賞樹)에 대한 제반(諸般) 문제점(問題點) (1) 최근(最近) 대기업(大企業)에서 관상수재배(觀賞樹栽培) 진출(進出)을 하고 있는데 대해서 관상수재배자(觀賞樹栽培者)들은 (1) 과잉생산(過剩生產)의 초래(招來), (2) 농가(農家)의 부업적(副業的)인 재배(栽培)에 압박(壓迫)을 주기때문 등등의 이유(理由)로 반대의견(反對意見)이 지배적(支配的)이었는데 관계기관(關係機關)에서는 이에 대한 적절(適切)한 대응책(對應策)을 강구(講究)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2) 관상수(觀賞樹)의 평탄지(平坦地) 재배금지(栽培禁止)에 대한 반응(反應)은 반대(反對)한다가 지배적(支配的)인 견해(見解)로서 그 이유(理由)를 (1) 신규(新規) 재배자(栽培者)만 규제(規制)해도 법(法)의 목적(目的)이 달성(達成)된다는 것과, (2) 과거(過去)에 합법적(合法的)으로 식재(植栽)한 관상수(觀賞樹)를 무보상(無補賞)으로 옮겨 심게 하는 것은 위법(違法)이 라는 점(點)을 들고 있다. 한편 "농지(農地)의 보전(保全) 및 이용(利用)에 관한 법률(法律)"에 의하여 농수산부(農水產部)가 집계(集計)한 농지환원대상면적(農地還元對象面積)은 전(田)과 답(畓)을 합(合)하여 1,176.39ha로서 이 법(法) 시행(施行)에 앞서 관상수재배자(觀賞樹栽培者)들에 대한 대책(對策)을 강구(講究)한 후(後) 실시(實施)함이 당연(當然)한 처사(處事)요 정당(正堂)한 절차(節次)라고 생각된다. (3) 관상수(觀賞樹)의 대외수출(對外輸出)은 1970년(年) 최초로 편백, 산수유, 오동나무를 수출하기 시작하여 2~3년간 호조(好調)를 보여오다가 최근 부진(不振)현상을 겪고 있는데, 재배업자(栽培業者)들은 그 이유(理由)를 (1) 정보(情報)가 빈약(貧弱)하고 장려책(裝勵策)이 없기 때문, (2) 수입국(輸入國)의 경제불황(經濟不況), (3) 기호(嗜好)에 맞는 신수종(新樹種)의 개발(開發)이 없기 때문 등등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관상수수출(觀賞樹輸出)은 이제 대일의존(對日依存)에서 구미제국(歐美諸國)쪽으로 돌려야 할 것이며 관상수(觀賞樹)도 새로운 양묘기술(養苗技術)과 번식기술(繁殖技術)을 요(要)하는 특이수종(特異樹種)을 개발(開發)하는 것이 관상수(觀相樹) 수출진흥방안책(輸出振興方案策)이라 생각된다. (4) 관상수(觀賞樹)를 식재(植栽)하여 수입(收入)이 있기 전(前) 을류농지세(乙類農地稅) 납부여부(納付與否)에 대한 관상수(觀賞樹) 재배업자(栽培業者)들의 반응(反應)은 납부(納付)하지 않았다가 납부(納付)하였다는 반응(反應)보다 많았다. 한편 전반적(全般的)인 관상수재배지(觀賞樹栽培地에) 대한 을류농지세액(乙類農地稅額)은 대체로 적당하다는 반응(反應)보다는 세액(稅額)이 너무 많다고 응답(應答)한 사람이 많이 있는 것으로 보아 관계기관(關係機關)에서는 을류농지세(乙類農地稅)의 과세기준(課稅基準)에 대한 재검토(再檢討)를 하여 적정과세(適正課脫)를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5. 관상수재배(觀賞樹栽培)에 대한 전망(展望) 및 개선방안(改善方案) (1) 관상수(觀賞樹)의 경기(景氣)는 짧으면 앞으로 2~3년(年), 길면 5~10년내(年內)에 좋아질 것으로 비교적 낙관적(樂觀的) 반응(反應)을 보이고 있는 반면, 앞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없다고 비관적 반응(反應)을 보인 예도 약간 있었다. (2) 관상수생산전환(觀賞樹生產轉換)에 대한 반응은 현상유지, 현보유량처분후(現保有量處分後) 전환(轉換), 염가라도 정리(定理)하겠다는 순(順)이었으며, 장기적(長期的)인 안목(眼目)으로 계속 확장(擴張)하고자 한다는 반응(反應)은 그리 많지 않았다. (3) 관상수(觀賞樹)의 규격표준화(規格標準化)에 대한 반응(反應)은 찬성(贊成)한다는 반응(反應)이 지배적(支配的)이나 반대(反對)한다는 사람들도 약간 있었다. 그들은 그 이유(理由)를 (1) 동일규격(同一規格)이라도 재배기술(栽培技術)에 의한 수형상황(樹形狀況)에 따라 가격차(價格差)가 크기 때문, (2) 조림묘목(造林苗木)과 달라 규격통일(規格統一)이 어렵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4) 관상수유통과정(觀賞樹流通過程)의 정비책(整備策)으로 유통기관(流通機關)에서 계통적(系統的)으로 관상수(觀賞樹)를 판매(販賣), 처분(處分)하는데 대해서 찬성(贊成)한다는 반응(反應)이 훨씬 많았으며, 반대자들은 (1) 유통전담기관(流通專擔機關)이 독점(獨占)할 경우의 횡포와, (2) 유통전담기관(流通專擔機關)이 영리화(營利化) 되기 쉽다는 것을 우려하고 있었다. (5) 관상수(觀賞樹)의 과잉생산(過剩生產)을 방지(防止)하고 우량관상수(優良觀賞樹)를 생산(生產)하기 위한 방편으로 관상수재배(觀賞樹栽培)의 허가제(許可制) 또는 인가제(認可制)가 대두(擡頭)되고 있는데 대해서 반대(反對)한다가 찬성(贊成)한다는 반응(反應)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반대이유(反對理由)로는 (1) 부업적(副業的) 관상수재배(觀賞樹栽培)가 불가능(不可能)하다는 것과, (2) 권력(權力)과 결탁한 부조리(不條理)를 초래(招來)하기 쉽다는 것을 들고 있었다.

  • PDF

산지(山地) 시비(施肥)에 관(關)한 고찰(考察) (Prospects and Effect of Forest Fertilization)

  • 이천용;박봉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1호
    • /
    • pp.109-115
    • /
    • 1988
  • Decrease of the planting area reduced fertilized area of forest. To accomplish the aims of natural regeneration, mini-rotation plantation, diminishing the rotation length, maintaining healthy forest and production of good quality timber, forest fertilization should be continued. In order to improve the deteriorate situation, slow-release fertilizer applied on top soil needs to be developed and aerial application will give diminished cost. Fertilization with tending before tree felling in forest will increase the effect of fertilizer more, Proper quantity of fertilizer by tree species and soil fertility should be found out in the future, Street trees, environmental forest near city and ornamental trees in the residential areas could be also included in this fiel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