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검색결과 780건 처리시간 0.026초

패션기업의 조직문화, 심리적 임파워먼트 및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The organizational culture,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 efficiency in fashion companies)

  • 이은진
    • 복식문화연구
    • /
    • 제24권2호
    • /
    • pp.198-217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 efficiency, an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organization efficiency in fashion companie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 efficiency acros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employees of fashion companies, and 320 response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As a result, the group culture and innovative culture in fashion companies positively influenced the competence and meaning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 innovative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positively influenced the self-determination, and the group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positively influenced the impa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The group culture, innovative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of fashion companies positively influenced job satisfaction, and the group culture, innovative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positively influenced job commitment. The group culture and innovative culture negatively influenced the turnover intention, but the hierarchical culture positively influenced the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impact, and meaning) positively influenced job satisfaction, and the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and impact positively influenced job commitment. Competence negatively influenced the turnover intention, but the impact positively influenced the turnover inten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group culture and turnover intention by ages, as well as a difference in the hierarchical culture and self-determination by work depart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anagement and business strategies in fashion companies.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억제와 관련된 변인에 대한 메타회귀분석 (A Meta-regression Analysis on Related Protective Variables of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s)

  • 문동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564-7574
    • /
    • 2015
  • 본 연구는 지난 15년간의'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와 관련된 논문을 바탕으로 이직의도 억제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출판연도에 따른 변화추이를 검증하므로 이직억제를 위한 정책방안과 후속 연구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억제변인에 대한 전체효과크기는 중간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변인군 별 하부 변인의 효과크기는 개인특성변인군이 급여수준, 연령과 결혼여부, 근무기간, 이직경험, 학력수준, 근무형태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무특성변인군은 직무만족, 근무환경, 직무중요성, 상사와 동료관계, 직무자율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특성변인군 효과크기는 조직몰입, 조직헌신, 승진기회, 보상만족, 조직 내 공정성, 참여적 의사결정 순으로 나타났다. 출판연도에 따른 변화추이는 2015년도에 가까울수록 억제변인들의 효과크기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제조업의 기업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mall Maufacturing Businesses' Company Cultur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김영일;김광수;김기완;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2호
    • /
    • pp.27-32
    • /
    • 2016
  • 본 연구는 중소제조업의 기업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적 문화, 즉 개인의 조직 몰입도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 및 창의성 향상 등의 조직 성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p<.001, ${\beta}=.493$). 조직적 문화(조직 화합도)와 환경적 문화(환경적 요인 중시 태도)는 조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또한 근로자 개별 특성에 따라 개인의 조직 몰입도는 사원급보다 차장/부장 이상에서 더 높았으며 조직 화합도는 20대보다 40대, 전문대졸 이하보다 대졸 이상, 근속년수 5년 이하보다 10년 이상일 경우 더 높게 평가했다. 조직성과, 즉 직무 만족도와 창의성 향상과 같은 요소들은 고졸 이하보다 대졸 이상일 경우 더 높은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소제조업의 기업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개인 조직 환경적 요인의 중요도를 파악하고 근로자의 개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bin Attendants'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Airline Service)

  • 조경희;고호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404-41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와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항공사 객실승무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과 이직의도를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표본 추출은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하여 215부의 설문지를 배포해서 198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실증분석에 이용하였으며, 통계분석방법은 Spsswin 12.0과 AMOS 5.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 영향을 주었으며,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몰입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경영자들은 객실승무원들의 이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승무원들의 직무 관련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는 방안과 승무원이 자기 직무에 만족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영업인력의 성격요인과 개인-환경적합성이 직무만족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보험설계사를 중심으로 (Personality Factors of Sales Force and Individuals - Impact on the Degree of Environmental Compatibility Job Satisfaction, Turnover : Based on the Insurance Agents)

  • 김동희;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2호
    • /
    • pp.121-134
    • /
    • 2016
  • 현재 보험시장은 비대면(非對面)채널 성장에 따른 대면채널의 기여도 감소와 대면채널 유지측면에서 고비용이 소요되는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해있다. 이에 따라 설계사 조직의 생산성 향상 즉 보험설계사의 성과 향상요인이 무엇인지를 실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보험설계사의 성격요인과 개인-환경적합성이 직무만족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 본 결과 설계사의 외향성, 성실성, 개방성, 원만성, 정서성, 정직성을 나타내는 성격요인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보험설계사의 성격이 활기차고 외향적이며, 다른 사람과의 공감성이 높을수록 회사에 강한 소속감을 갖고 몰입하는 정도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설계사의 도입 단계에서부터 선별 도입이 이루어져야할 필요성을 대변하고 있다. 반면 성격요인은 이직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였다. 이는 설계사의 이직은 개인의 성격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 보다는 개인성격 외의 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실증한 결과이다. 상사적합성, 직무적합성, 동료적합성, 조직적합성을 나타내는 개인-환경적합성은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상사나 동료와 가치관이나 성격, 일하는 방식 등이 비슷하고, 자신의 일이 적성에 잘 맞으며 조직과의 적합성이 높을수록 회사에 대해 소속감을 갖고 몰입하는 정도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육을 통하여 보험 설계사의 성격에 따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는 교육이 설계사를 좀 더 긍정적인 측면의 외향성을 갖게 하고 성실하게 본인의 업무를 처리하게 하며 윤리적 영업이 가능하게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성과는 보험설계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성격요인과 직무만족도, 이직의도에 대한 최초의 실증연구결과이다.

  • PDF

직무특성과 성과요인 간의 영향 관계 분석 -금융업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Job Characteristics upon Corporate Performance in the Financial Industry)

  • 조휘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309-321
    • /
    • 2014
  • 직무를 어떻게 설계 하느냐에 따라 근로자의 심리적 상태가 달라지며, 개인과 조직의 성과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업무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방안 모색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금융업에서 주요 직무특성과 성과요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금융 조직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념적 모델은 Hackman & Oldham의 직무특성모델과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구축하였다. 그리고 개념적 모델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금융업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는 구조방정식모델링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직무에서의 다양성과 자율성은 기업혁신, 자긍심 그리고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기업혁신과 직무만족은 직무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는 현 상황에서 금융기관의 직무특성과 조직성과 간의 연구는 조직의 효율성 증대에 많은 기여를 할 것이다.

연구자율성 구성요인에 따른 조직효과성 연구 : 공공연구기관 연구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Research Autonomy's Factor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ing on Researcher of the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 김종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161-17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연구자율성 구성요소를 새로운 관점에서 정의함과 동시에 그러한 구성요소들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조직효과성 제고를 위해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에게 보장되어야 할 연구자율성 요소는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정책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 연구자율성 수준을 구성 형태에 따라 개인 및 조직 수준으로, 연구자율성 유형을 본질적 및 비본질적 자율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조직몰입도와 직무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본질적 자율성이 비본질적 자율성에 비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연구자의 연구수행을 위한 간접적인 지원환경도 중요하지만 연구과제 선정, 자유로운 의견 교환, 연구방법론 선택, 연구결과 활용 등 연구 본연의 활동에 있어서 연구자들의 의사결정 및 재량권이 월등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지방 중소병원 간호사가 지각하는 조직 내 윤리풍토와 윤리적 민감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thical Climate and Ethical Sensitivit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mall and Middle-sized Hospital Nurses)

  • 강인숙;김원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4-36
    • /
    • 2019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윤리풍토와 윤리적 민감성 정도를 확인하고 조직의 목표달성 정도를 의미하는 조직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1년 이상 근무한 155명의 중소병원 간호사로 편의 추출하였고, SPSS/Win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중소병원 간호조직의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최근 2년이내 간호윤리교육 경험이 있고, 윤리풍토가 높을수록 조직유효성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설명력은 60.6%였다. 따라서 중소병원 간호부서 조직유효성을 위해 구성원들이 다양한 업무와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 윤리적 문제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올바른 행동과 그 문제들을 다루는 방식에 대한 조직 내 공유되는 인식들이 필요하다. 이를 공유하고 확산할 수 있는 문화적 배경과 함께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간호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rganizational Member Attitudes According to Workplace Type of Dental Hygienist

  • Mi-Sook Yoon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9-36
    • /
    • 2024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member attitudes by workplace environment and workplace types in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health centers. Methods: A face-to-face survey or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health centers, and a total of 95 subjects were included. The survey includes 13 items to ask factors affecting employee's job satisfaction. Also, some questions were included to asses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member attitude: five abou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wo about innovative behavior, and four ab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ults: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clinic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incomes and numbers of working days, while those from dental universit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were more satisfied with education support. In addition,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hospitals were more satisfied with job autonomy, individual work capability, safe working environment, personal relation, potential for personal development, and posi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compared to those working at general and university hospitals (p<0.05). Among the items about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member attitudes, the scores of items abou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were higher, whereas the scores of items about innovative behaviors were relatively lower. Individuals working at dental hospitals than those working at general and university hospitals, chiefs and team and department leaders than team members, and those with increased satisfaction with current workplace had more positiv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member attitudes. Conclusion: For dental hygienists to have positive attitudes as organizational members, working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and executives of dental healthcare centers should pay attention to improving job satisfac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Moreover, since dental hygienists need to improve their perception of innovative behaviors and citizenship behaviors to strengthen specialty of dental hygienists in a changing dental healthcare, relevant training should be addressed in refresher courses or school programs.

종합병원 근무자의 근로생활의 질과 조직유효성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Working Lif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Employees at the General Hospital)

  • 이선희;조희숙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0
    • /
    • 1999
  • Objectives: Quality of Working Life(QWL) is a set of employee's physical, mental conditions which are perceived at their work. Most employees and managers are concerned about the quality of working life as a strategy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QW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employees at the general hospital.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t the general hospital in Kyunggi-Do. Survey was conducted to 675 workers. QWL was measured by using 5 items from the scale developed by Walton(1973).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measured by measur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ention of job-shift, and job satisfaction. Results: The recognitions to each component of QW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ge, education levels and working duration. Also, QW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find the relationship of QW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a result, job-pride, compensation, working condition, human relationship and development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QWL is significantly related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o we expect that this result will be used as basic informations for management and motivation of employees at the general hospit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