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zation trust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23초

제조업의 CSR활동이 조직신뢰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CSR Activities on Organization Trust and Job Satisfaction in Manufacturing Enterprises)

  • 정수철;조영복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135-144
    • /
    • 2020
  •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CSR)이 조직신뢰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여 효과적인 조직관리에 실무적인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의 실증분석을 참고하여 이론적 배경과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실증분석을 위하여 창원에 본사를 두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D-중공업의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374부의 표본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사회적 책임(CSR) 활동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윤리적 책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과 조직신뢰 간의 관계 규명에서 가설 2-3과 가설 2-4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두 가설은 채택되었다. 셋째, 조직신뢰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가설 3은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통해 CSR 활동, 조직신뢰와 직무만족 간에 유의미한 상호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또한 조직에 대한 신뢰가 직무만족향상을 위한 선행요인임을 밝혀내었다.

공유리더십이 조직신뢰, 지식공유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Trust,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 송정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485-50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공유리더십이 조직신뢰, 지식공유,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공유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신뢰와 지식공유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울산과 경주지역의 제조업 종사자 3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빈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해 SPSS 22를 사용하였다. 변수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연구가설을 검증하고자 공분산 구조분석을 위해 AMOS 22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리더십은 조직신뢰, 지식공유, 혁신행동에 모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신뢰는 지식공유와 혁신행동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식공유는 혁신행동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유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와 지식공유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높이기 위해서 공유리더십을 통한 조직신뢰와 지식공유를 강화시켜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novational behavior)

  • 홍웅식;양해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707-372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어떤 과정을 거쳐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들을 독립변수로 놓고, 조직유효성의 하위요인들을 종속변수로 설정하면서, 조직(직장)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과 일에 대한 관계 중 리더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관계를 신뢰로 설정하고 조직구성원과 일의 관계를 자기효능감으로 설정하면서 이 두 요소가 어떻게 작용을 하는지 조사하였다. 검증 결과 독립 변수들의 하위요인들 모두가 신뢰에 영향을 주었고, 그 신뢰는 조직유효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변혁적 리더십의 모든 하위요인들은 자기효능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그러나 신뢰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었고, 그 결과 자기효능감은 조직유효성의 모든 하위요인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직의 자율적 근로환경과 구성원 간 신뢰가 근로자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Organization's Autonomous Working Environment and Trust among Members on Workers' Job Immersion)

  • 한은수;황종현;이동형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21
    • /
    • 2023
  • In the recent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any industries aim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products and services by introducing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In this situation, organizational culture is changing a lot due to the influx of the MZ generation with strong individualistic tendencies and the decreased face-to-face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However, active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is still essential to maximize performance, and the margins created by simplifying work processes and automating processes must be used for creating work performance. This requires cooperation and commitment through the job immersion of members who have an active attitude. This study analyzed how the organization's autonomous work environment and trust among members, which are creative work performance conditions, affect job immersion using raw data from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oth the organization's autonomous working environment and trust among members significantly effected the members' job immersion. in order to achieve productivity and value improvement in companies,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workers' job immersion by building an autonomous working environment and trust among memb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search for ways to increase workers' job commitment to improve organizational productivity.

학습조직활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상사 신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ies on the Job burnout -Trustworthiness as a Moderating variable-)

  • 김진욱;장영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4호
    • /
    • pp.185-211
    • /
    • 2016
  • 본 논문은 학습조직활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상사의 신뢰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 독립변수인 학습조직활동 중 연구대화 활성화와 팀학습 조직화가 직무소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시말해 질문하고, 피드백을 주며 다양한 학습방법을 실험하는 문화를 조성하는 조직의 노력과 팀의 효과적인 활용을 강화할 수 있는 협력적인 학습이 직무소진의 핵심적 차원으로 간주되는 정서적 탈진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서적 탈진으로 인하여 자신의 고객, 동료, 직무 등에 대하여 부정적이고 냉소적이며, 형식적으로 처리하여 더 이상의 정서적 탈진을 막으려고 하는 비인격화도 낮춰주고 있다. 그리고 연구대화 활성화와 팀 학습 조직화은 직무상에서 성취도 부족으로 생기는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인 개인성취감감소 또한 낮춰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사 신뢰성의 조절효과 분석의 결과, 독립변수 가운데 전략적 학습리더십과 직무소진 중 비인격화와 정서적탈진과의 영향관계에서 신뢰성(정직성, 호의, 능력)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결국 상사가 가지고 있는 신뢰성은 리더들이 변화를 주도하고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학습이 조직구성원들의 정서적탈진과 비인격화를 완화시키는데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AI(Appreciative Inquiry)와 같이 긍정적 탐구를 위한 질문법과 강점을 발견하기 위한 피드백분석과 같은 학습차원에서 의사소통이 직무소진을 완화하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점과 리더의 개인의 역량으로 볼 수 있는 전략적 학습리더십이 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사의 신뢰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다.

  • PDF

"윤리적 리더십의 힘!": 고용 불안정성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 신뢰의 매개 효과 및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 효과 ("The Power of Ethical Leader": The Influence of Job Insecurit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and Moderating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 김병직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1호
    • /
    • pp.197-212
    • /
    • 2022
  • Purpose - The current paper not only investigates the intermediating process of the association between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also tries to find a factor which mitigates the negative influence of job insecurity. Design/methodology/approach - By conduc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with survey data from 351 employees,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as well as the moderating influence of ethical leadership in the job insecurity-organizational trust link. This paper built hypotheses that job insecurity decreases the level of employee's organizational trust, then the level of the employee's organizational trust would influe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addition, ethical leadership would function as a buffering factor between the association between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trust. Findings - This paper found that job insecurit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employee's organizational trust, and the employee's organizational trus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ethical leadership mitigated the negative impact of job insecurity on organizational trust.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By empirically delving into the importance of ethic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to increas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paper may provide top management and leaders in an organization with important insights that they should adequately monitor and manage the level of ethic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중소벤처기업의 품질경영활동과 조직원 신뢰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and Employee Trusts in Small Venture Companies)

  • 이병옥;이주헌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2호
    • /
    • pp.35-45
    • /
    • 2013
  • 본 연구에서 기존의 품질경영 모형에서 발굴된 모형을 가설로 설정하여 이용한 연구모형으로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스 경영, 정책 및 제도, 표준화, 조직원 신뢰 그리고 조직원 만족을 연구가설로 채택하여 변수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프로세스 경영, 정책 및 제도, 커뮤니케이션, 표준화 등과 같은 품질경영활동은 조직원 신뢰에 대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조직원 신뢰는 조직원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관리를 위한 함축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원들의 조직에 대한 만족을 위해서 상사, 회사, 업무처리, 기록 등과 같은 조직원들의 신뢰 향상의 매우 중요하다. 둘째, 경영 정책 및 제도, 프로세스경영뿐만 아니라 조직원들의 신뢰 향상을 위해서는 조직원, 고객, 쉬운 용어사용 등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향상과 개선 프로세스, 문제수정, 측정기준 확립과 성과유지를 위한 개선혁신성의 향상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연구 조사되었다.

  • PDF

ICT기업에서 변혁적 리더십, 조직신뢰, 리더의 감성지능 및 창의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rust in Organization,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Members' creativity in ICT Sector)

  • 김신호;정지연;정재진;박재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400-412
    • /
    • 2015
  • 본 연구는 ICT기업에서 창의성에 대해 구성원들이 느끼는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를 검증함과 동시에 리더의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및 조직신뢰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ICT기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첫째,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창의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조직신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조직신뢰 역시 구성원들의 창의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넷째,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의 매개역할을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리더의 감성지능은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보였다. 즉,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성의 긍정적인 관계는 리더의 감성지능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론을 통해,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선박조직 구성원의 속성신뢰가 집단응집성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wift Trust on the Cohesiven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hip Organization)

  • 김종태;조호행;신용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29-438
    • /
    • 2013
  • 본 연구는 해운기업 선박조직의 특수한 환경을 고려하여 선박조직의 구성원들의 속성신뢰가 집단 구성원간의 상호호의적인 태도인 집단응집성과 조직시민행동 및 선박조직의 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속성신뢰가 집단응집성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응집성은 조직시민행동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박조직 구성원의 속성신뢰가 조직시민행동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집단응집성이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박조직의 개별 구성원 태도와 행동보다는 선박단위별로 속성신뢰, 집단응집성, 조직시민행동,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수준을 측정하고, 이들의 영향력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선박별 인력관리 및 인간관계 측면의 관리방안을 모색하도록 하였다.

The Product Market Strategies of Korean Knitwear Companies

  • Lee, Yoon-Mee;Park, Jae-Ok;Lee, Youn-Hee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7권1호
    • /
    • pp.48-5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ree factors--designer's capability, product market strategy, and product organization--supposed to determine the design process are related to each other. These factors influence Korean knitwear companies' market performances. For this purpose, we did not only library research on relevant theories such as the transaction cost economics but also empirical research largely based on a questionnaire. The respondents of the questionnaire were 59 designers, merchandisers(MDs), and top managers of knitwear companies located in Seoul. We analyzed the collected questionnaire data by using such statistical tools as χ²-test, t-test, and one-way ANOVA.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organization form and designer's capabilit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signer's capability was found between trust enhanced network and unenhanced network. No significant relation was found between organization form and product market strategy, in discordance with Carney's arguments. Also, it appear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knitwear companies' product market strategies and their designers' capabil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