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soybean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31초

클로렐라 처리에 의한 유기농 콩나물 생육촉진 및 항산화 능력 증진효과 (Effect of Chlorella sp. on Improving Antioxidant Activities and Growth Promotion in Organic Soybean Sprout Cultivation)

  • 김민정;심창기;김용기;홍성준;박종호;한은정;지형진;이승복;김석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939-95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growth promoting effects and improv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oybean sprouts treated with Chlorella sp. culture solution. The soybean sprout treated with 0.1% and 0.2% Chlorella sp. culture solu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ngth (more than 43.0%), the thickness (more than 0.5~0.7 mm), fresh weight (more than 2.9~3.7 g) compared to non-treated control in vitro. In organic soybean sprouts farm, the 0.2% chlorella culture solution applied to mass culture of soybean sprout and the fresh weight of soybean sprouts increased by more than 25% and the yield was very high as 598.33%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In addition of sensory test, there is no fishy odor and better crunchy texture and nutty flavor for the treatment soybean sprouts compared to untreated soybean sprouts. Particularly,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SOD) of the soybean sprou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26.1% and 40.4%, respectively by treated with 0.1% and 0.2% Chlorella culture solution. Consequently, the treatment of chlorella culture solution to grow soybean sprouts is also promoting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as well as promoting the growth of sprouts. Therefore, chlorella is considered to be worth as functional materials for high-quality sprouts grown.

Weed control treated with salt and seawater in organic agricultural upland

  • Lee, Sang-Beom;Lee, M.H.;Kang, C.K.;Kim, M.S.;Nam, H.S.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295-297
    • /
    • 2011
  • Weed control i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organic farming systems that limit crop growth and their yield.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organic soybean (Glycine max Merrill) to evaluate the weed suppression effects of salt and seawater treatment. Weed population and fresh weight were monitored after 6 weeks of salt and seawater treatments. The most important weeds were Digitaria sanguinalis, Portulaca oleracea, Tradescantia reflexa and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but also 6 other species were observed in soybean arable field. Soybean crops under seawater or their solids application were well grown. The results treated with salts and seawater indicate decreases by 13.4~30.8% in weed density and by 18.0~43.2% in their fresh weight and soil hardness increases of up to 2.1-fold. Salt and seawater provided good additional weed control, but they were caused a serious problem in deterioration of soil physical properties.

인삼 추출물로 발아시킨 콩나물의 식품성분 변화 (Changes in Major Taste Components of Soybean Sprout Germinated with Extract of Korean Panax ginseng)

  • 최상도;김윤희;남상해;손미예;최재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73-279
    • /
    • 2003
  • 인삼추출물(100∼400 ppm)로 콩을 발아시켜 4일간 재배한 콩나물의 생육특성, 아미노산, 유기산 및 유리당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인삼추출물은 콩나물의 길이 및 무게증가에 효과적이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100 ppm에서 3일간 재배하였을 때가 가장 높았고,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 함량이 많아졌다. 또한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aspartic acid 함량은 증가하지만, glutamic acid 함량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유리당은 재배일수가 증가할수록 많아졌으나, 농도별로는 일정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Sucrose는 대조구에서 점진적으로 감소하였고, 추출물 처리구는 3일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감소하였으며, 다른 유리당은 4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총 유기산은 인삼추출물 200 ppm으로 발아시켜 3일 동안 재배한 콩나물이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그 중에서 phyt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총 유기산의 45∼60% 정도를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인삼 추출물을 콩의 발아액으로 활용하면, 콩나물의 성장촉진, 아미노산, 유기산 및 유리당 함량의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분, 대두박, 쌀겨를 이용한 유기 액비의 제조 특성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with Poultry Manure, Soybean Meal, and Rice Bran)

  • 이광재;전종옥;박재호;남상영;김태중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77-587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with poultry manure, soybean meal, and rice bran at plastic house in Chungbuk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Treatment was given 3 treatments; poultry manure+soybean meal (PM+SM), poultry manure+rice bran (PM+RB), and soybean meal+rice bran (SM+RB). The obtained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H in liquid fertilizer was consistently increased in PM+SM treatment, and was increased after decreased at early season in PM+RB and SM+RB treatments. The electriacl conductivity(EC) in liquid fertilizer was rapidly increased from $2^{nd}$ weeks to $4^{th}$ weeks after fermentation in PM+SM and PM+RB treatments, and was rapidly increased from $4^{th}$ weeks to 6th weeks after fermentation in SM+RB treatment. The amount of $H_2S$ gas occurrence was the highest as $1,200\;mg{\cdot}kg^{-1}$ in early season, and was the lowest as $50\;mg{\cdot}kg^{-1}$ at $12^{th}$ weeks after fermentation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The temperature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was stabilizing in $4^{th}$ weeks after fermentation. The yield of well of nitrogen, phosphate, and potassium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fermentation periods. It was not change from $4^{th}$ weeks after fermentation in content of calcium, magnesium and sodium in organic liquid fertilizer.

유기농 대두 추출물의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effect of soybean extracts produced by organic cultivation)

  • 정은경;서은혜;박준호;김영남;김경희;이병용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학회 2009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 /
    • pp.103-113
    • /
    • 2009
  • 유기농 및 일반재배 대두를 다양한 용매에서 추출하여 그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 항염증 효과, 대식세포의 세포사멸 보호 효과, 그리고 알레르기 저해효과를 비교하였다. DPPH 법과 SOD 효소의 활성 측정으로 항산화 능력을 평가하였으며, 항염증 효과는 LPS로 유도시킨 Raw 264.7 세포주에서 염증 매개 단백질인 Cox-2와 iNOS의 발현량을 western blotting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대식세포 보호 효과를 세포사멸 조절 단백질인 Bcl-xl의 발현량 조사로 평가하였고, 1 mM $H_2O_2$ 처리로 유도되는 세포사멸의 보호효과를 세포 수 측정법으로 조사하였다. 항알레르기 효과는 흰쥐의 비만세포인 RBL-2H3 세포주를 사용하여 IgE로 매개되는 비만세포의 탈과립화를 OPT assay로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 재배보다 유기 재배 대두 추출물이 더 좋은 항산화, 세포사멸 보호,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유기농 대두의 열수 추출물은 LPS로 유도시킨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항알레르기 효과는 모든 추출물에서 히스타민 유리량이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기농과 일반재배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대두에는 많은 유용한 생리활성물질 뿐 만 아니라 알레르기 유발 물질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조추출물 상태에서는 특이적인 알레르기 유발보다 오히려 항알레르기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만성 염증 및 천식, 그리고 아토피피부염과 같은 염증관련 질환에는 유기재배된 대두가 일반 대두보다 좋은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 PDF

콩 무경운 유기재배 시 피복식물의 잡초억제 효과 (Effect of Cover Crop on Weed Control in No-tilled Organic Soybean Field)

  • 조정래;안난희;남홍식;이상민;옥정훈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89-195
    • /
    • 2017
  • 전북 완주의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 시험포장에서 2015년과 2016년 콩 무경운 유기재배를 위해 피복식물을 이용한 잡초관리 시험을 수행하였다. 피복식물은 호밀 단파와 헤어리베치를 단파하는 처리와 혼파하는 처리를 두었다. 피복식물은 2014년 가을에는 경운 후에 파종하였으나 2015년 이후에는 무경운 파종하였고, 콩은 2015년과 2016년 모두 무경운 재배하였다. 호밀 피복구에서는 정식 후 60일까지 80% 이상의 잡초억제율을 보여 무경운 재배에서 잡초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며, 호밀/헤어리베치 혼파구에서도 30% 이상의 잡초억제율을 보여 잡초관리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헤어리베치 피복구는 잡초억제 효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유기재배 콩 포장의 발생 초종은 일반 포장에 비하여 많지 않았다. 2016년에 콩 무경운 유기재배 수량은 관행재배와 비교하여 다소 좋은 수량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으로 평균수량은 낮게 나타났다.

콩 유기재배시 춘파호밀 간작의 효과 (Effect of Intercropping of Spring-Sowing Rye for Organic Soybean Cultivation)

  • 윤덕훈;남기웅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29-538
    • /
    • 2009
  • 호밀을 간작으로 하는 콩 유기재배시 호밀의 파종시기 및 파종방법을 구명하고자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호밀의 파종 계절별 콩 수확 후 근권토양 내 토양 화학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호밀의 춘파시기에 따른 콩 수확 후 토양의 이화학성 변화를 보면 호밀의 파종시기가 늦춰질수록 유기물 함량은 높아졌으나, pH, 유효인산 및 치환성양이온의 값은 낮아졌다. 호밀을 간작으로 하는 콩 유기재배시 호밀의 파종을 3월 20일에 실시하고, 호밀을 2줄 5열로 파종을 하되 콩을 조간 70cm로 점파하였을 때 가장 높은 콩 수량을 보였다.

  • PDF

감마선 조사가 장류제품의 유리 아미노산, 지방산 및 유기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Gamma Irradiation on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 Fatty Acid and Organic Acid of Soybean-Based Fermentation Food)

  • 김동호;김정옥;차보숙;이자영;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77-781
    • /
    • 2001
  • 장류제품에 감마선을 조사하였을 때 감마선 조사가 장류제품의 영양성분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된장, 고추장 및 청국장에 0, 5, 10, 20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을 조사한 다음 유리아미노산, 지방산, 그리고 유기산의 조성을 분석하였다. 유리아미노산과 지방산의 조성은 모든 시료에서 20kGy의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유기산은 청국장의 citric acid와 succinic acid는 감마선 조사전의 2%에서 10 kGy 이상의 조사선량에서 10% 수준으로 증가하였고, malic acid는 40%에서 30% 수준으로 낮아짐으로써 유기산 조성의 변화가 관찰되었으나 된장과 고추장에서는 20 kGy의 조사에 의해서도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ju According to Germination Time of Raw Soybean (Glycine max: Hwanggeumkong)

  • Choi, Ung-Kyu;Jeong, Yeon-Shin;Kim, Mi-Hyang;Lee, Nan-Hee;Hwang, Young-Hy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386-391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meju fermented with germinated soybean (Glycine max: Hwanggeumkong). The germination rate after 24 hr was $23.0{\pm}1.2%$, then increased rapidly to $90.2{\pm}1.3%$ at 36 hr of germination, and finally reached a level of $99.4{\pm}0.3%$ at 60 hr of germin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otal isoflavone content immediately after soaking was 100.1 mg%, increasing during the beginning of the germination process; it continued to increase to 114.0 mg% by 24 hr of germination, but decreased thereafter. The isoflavone content at 60 hr of germination was 101.6 mg%. A total of 6 organic acids were detected, and total organic acid content ranged from 963.1-1,145.3 mg%. Differences based on the degree of germination in the raw material were insignificant. The free amino acid levels of the whole soybean meju made from non-germinated soybeans and from soybeans that had germinated 48 hr were 2,580.9 and 2,519.7 mg%, respectively. The content of glutamic acid was highest followed by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and pro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