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amendment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45초

호기순환 호흡계를 이용한 토양처리 석탄바닥재의 유기물 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Amended Bottom Ash on Decomposition Rates of Organic Matter as Investigated by an Enforced-Aeration Respirometer)

  • 정석호;정덕영;한광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53-259
    • /
    • 2012
  • 석탄 연소 부산물인 비산회 (fly ash)는 이산화탄소 발생을 저감하고 토양 탄소를 격리하는 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같은 연소 부산물인 석탄바닥재 (bottom ash)는 비산회와 유사한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고, 아울러 다공성으로 토양미생물들이 정착하는 적절한 담체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질이 다른 유기물들 (헤어리베치, 청보리, 유박비료)이 처리된 토양에서 석탄바닥재가 토양 미생물들에 의한 유기물 분해 및 호흡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속도는 유박비료, 헤어리베치, 청보리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유기물과 석탄바닥재를 함께 처리하였을 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경시적인 변화는 유기물의 이분해성에 의존하였으나, 석탄바닥재를 처리하였을 때 유의하게 발생량이 감소하였다. 총 누적 이산화탄소 발생량 또한 이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석탄바닥재가 함유하고 있는 중금속 등과 같은 유해물질의 농도가 높지 않다면, 본 연구의 결과들은 석탄바닥재가 토양 처리 유기물의 이산화탄소 발생 저감 및 토양 탄소격리에 긍정적으로 기여 할 수 있는 소재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급경사 복원 농경지 토양 유실 저감을 위한 개량제 효율 및 현장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Amending Materials to Reduce Soil Loss from Sloping Remediated Agricultural Land)

  • 황원재;박민석;현승훈;지원현;이상환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3호
    • /
    • pp.180-185
    • /
    • 2017
  • 광산 활동에 의해 오염된 농경지의 복원은 개량제 처리와 복토를 기반의 미량원소 안정화 기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최근 복원된 부지 중 경사 농경지에서 토양 유실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4종의 개량제 (벤토나이트, 석회, 유기물, 제강슬래그)를 다양한 비율로 단일 또는 복합처리 한 후 입단 형성의 효율을 평가했다. 복토재는 점토함량이 다른 3가지 토양 (A 토양=9.4%, B토양=14.7%, C 토양=21.2%)을 대상으로 했다. 단일처리 결과, A 토양은 유기물 5%, B와 C 토양은 석회 5%가 각 토양의 대조구에 비해 입단 형성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9가지 복합처리구 중에서 A 토양은 유기물 3% + 석회 1%, B와 C 토양은 유기물 1% + 석회 3% 처리구의 입단 형성이 가장 높았다 (A 토양=30.4%, B 토양=25.0%, C 토양=36.5%). 현장처리를 위해 각 복토재 (A 토양=0.045, B 토양=0.051, C 토양=0.054)와 국내 농경지의 평균 (0.032) 토양침식인자 차이만큼을 개량제에 의한 목표 입단 형성량으로 설정하였다(29.1% 입단형성). 비용편익을 고려한 최적 개량제 선정한 결과 A와 B 토양은 석회 3%, C 토양은 석회 5%가 가장 적합 했으며, 이를 통한 경사진 복원된 경사 농경지에서 토양 유실을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저감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에서 석회 처리에 의한 토양 알칼리도 상승은 고려하지 않았다.

Biocontrol Effect of Gliocladium virens G1 and Soil Amendment on Astragal Stem Rot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 Chung, Bong-Koo;Yun, Kyung-Ho
    • Mycobiology
    • /
    • 제28권4호
    • /
    • pp.180-184
    • /
    • 2000
  • In order to find an environment-friendly method to suppress astragal stem rot caused by the isolates of Rhizoctonia solani AG 1 and AG 4, we tested an antagonistic fungus Gliocladium virens G1 was evaluated as a biocontrol agent and estimated inorganic compounds and organic materials were tested for their effect of the disease suppression. G. virens G1 effectively inhibited mycelial growth in a dual culture and caused mycelial lysis in the culture filtrate. No adverse effect was observed when examined for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Promoted seedling growth was observed with the seed treatment. Seeds of astragal plant were germinated higher in the sterile soil than the natural soil. Of 14 inorganics tested, alum, aluminum sulfate and calcium oxide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mycelial growth and sclerotial germination. Milled pine bark and oak sawdust also suppressed the mycelial growth. Soil amended with 1% of G. virens G1 composted with pine bark (w/v) significantly controlled astragal stem rot in the glasshouse experiments.

  • PDF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체제구축에 관한 연구 (Construction of Resource Recovery System for Organic Wastes)

  • 양재경;최경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90-308
    • /
    • 1999
  • In this study a system for the treatment or recyling of organic wastes from both urban and rural area was recommended. It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ource recovery system regarding human being by four tectnologies; forage, methane production, high-grade composting and complete decomposition. High quality compost can be produced by combining several kind of wastes produced from urban and agricultural areas. High quality compost must possess not only general characteristics of ordinary compost, but also a superior ability to improve the soil properties and must contain more nutrients for plant. Cedar chips were recommended as the main bulking agent to adjust moisture contents and air permeability. Charcoal and zeolite can be used not only as the second bulking agent but also as fertilizer for improve the soil amendment. Complete decomposition of organic wastes is defined by organic matter being completely converted to $CO_2$ and water. All the input water was evaporated by the heat produced through the oxida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present study, the complete treatments were successfully achieved for Shochu wastewater, swine wastes, thickened excess sewage sludge, wastes produced by Chinese restaurant and anaerobic digested sludge. First of all, recycling center of organic wastes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protect the environments and effective recovery of organic resources. This may means the way to derive the recovery of human value.

  • PDF

Mechanism of P Solubilization in Vermicompost Treated Red Lateritic Soils

  • Pramanik, Prabhat;Chakraborty, Hritesh;Kim, Pil-Joo
    • 한국환경농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농학회 2011년도 30주년 정기총회 및 국제심포지엄
    • /
    • pp.188-195
    • /
    • 2011
  • Red lateritic soils are typically low in total organic carbon (TOC) and available phosphorus (AP) content and continuous fertilization is required to obtain desired crop yield. In this experiment, cattle manure in three forms (air-dried, composted and vermicomposted) were applied to red lateritic soil to study their effect on TOC and AP content of soil and probable mechanism of P-solubilization as affected by these treatments were also studied. Vermicompost was the most effective to solubilize insoluble P in red lateritic soil (Alfisols) as compared to other organic amendments (air-dried cattle manure and compost). The highest SPA in vermicompost-treated soil attributed to the comparatively higher concentration of all the three SPA isozymes in these soils. The maximum P-solubilization in these soils might be attributed to the highest SPA and presence of several organic acids like citric, lactic and oxalic acids in vermicompost-treated soils. Since, vermicompost application also increased TOC, mineralizable N and exchangeable K content of soil, vermicompost could be considered as the most rational organic amendment to improve chemical properties of red lateritic soils.

  • PDF

유기퇴비를 이용한 급경사 농경지 토양유실 저감 (Reduction of Soil Loss from Sloped Agricultural Field by using Organic Compost)

  • 고일하;강희천;권요셉;유찬;정문호;지원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5권4호
    • /
    • pp.48-57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organic compost for reducing soil loss in 25% sloped farm land. For the study, laboratory and field experiment were performed. After nine weeks monitoring in pot test, hardness of the amended soil with organic compost (1%~3%, w/w) showed two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soil. Furthermore, soil loss of that was decreased by 95% under rainfall simulation test. From the result of laboratory experiment, organic compost with 2% (w/w) was applied for field experimental plot. After six month from April to September, the amount of soil loss became 67% of the initial, and the growth of natural vegetation was not hampered. Therefore, organic compost can be used as amendment materials to reduce soil loss in sloped farmland.

개간 및 답전윤환 인삼재배지에서 유기물처리에 따른 토양생물상 변화 (Changes in Soil Biota Affected by the Application of Organic Materials in Reclaimed Upland and Paddy-converted Soils Cultivated with Korea Ginseng)

  • 어진우;박기춘;연병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872-877
    • /
    • 2011
  • 인삼재배에서 논전환밭의 이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개간밭과 더불어 유기물투입의 효과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토양생물은 유기물의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유기물 시용이 토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유박과 퇴비를 개간밭과 논전환밭에 $20Mg\;ha^{-1}$$40Mg\;ha^{-1}$로 투입하였다. 미생물상 변화는 인지 질지방산을 분석하여 검정하였고, 동물상의 변화는 미소동물의 개체밀도를 측정하였다. 미생물에 대한 PLFA 지수나 미소동물의 밀도는 개간밭보다 논전환밭에서 높았다. 개간밭에서는 유기물 투입에 의한 처리간 차이가 적었다. 논전환밭에서는 퇴비 $40Mg\;ha^{-1}$ 처리구에서 날개응애 밀도가 증가하였고, 이들의 밀도는 곰팡이 PLFA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위의 결과는 개간밭에서 유기물 함량이나 토양생물의 밀도가 낮은 심토로 개간하면 유기물을 투입하여도 토양생물에 대한 효과가 적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논전환밭에서는 유기물에 대한 토양생물들의 반응이 다르며 토양의 물리화학성도 토양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논전환밭과 개간밭에서는 유기물에 대한 토양생물의 반응이 다르므로, 투입된 유기물의 분해나 이에 따른 양분의 순환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두 토양에서 시비방법을 다르게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유기질개량재에서 폴리머, 칼슘, 펄라이트 및 키토산 성분이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olymer, Calcium, Perlite and Chitosan in Organic Amendment on Growth in Kentucky Bluegrass)

  • 김경남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1호
    • /
    • pp.19-28
    • /
    • 2014
  • 본 연구는 유기질 토양개량재(SOA, soil organic amendment)에서 폴리머(WSP, water-swelling polymer), 칼슘, 펄라이트 및 키토산 성분이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 공원, 잔디구장 및 골프장 조성 시 이들 소재를 이용한 혼합개량재를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하였다. 전체 24개 처리구는 SOA 유기질개량재에 WSP 중합체, 칼슘, 펄라이트 및 키토산을 이용하여 준비하였다. 온실에서 자란 켄터키 블루그래스에서 WSP 중합체, 칼슘, 펄라이트 및 키토산 성분에 따른 잔디생존력, 피복율, 잔디밀도 및 지상부 생장을 조사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파종후 1주 간격으로 조사한 발아율, 잔디밀도 및 초장은 이들 성분에 따라서 경시적인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SOA 유기물개량재에서 피복율 및 잔디밀도에 대한 폴리머 효과는 WSP 중합체 혼합비율이 0~3% 사이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생존력 및 엽 생장의 경우 WSP 중합체 혼합비율은 0~6% 사이가 적절하였다. 그리고 SOA 유기질개량재에 혼합한 칼슘, 펄라이트 및 키토산 성분 중 칼슘 및 펄라이트가 일반적으로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장에 효과적이었으며, 키토산은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존력에 가장 효과적인 성분은 칼슘이었고, 반면 잔디밀도는 펄라이트 성분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키토산 성분은 생존력 및 잔디밀도에 거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지상부 엽 생장에 대한 효과는 펄라이트 > 칼슘 > 키토산 성분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키토산 성분은 초기 발아효과는 빠르게 나타났지만, 지상부 엽 생장은 파종 3주까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이러한 결과는 향후 실무에서 식재층 지반 조성 시 적용할 수 있는 모래+토양개량재 혼합구 조건에서 추가 생육검정 실험을 통해 이들 성분을 이용한 토양개량재의 개발 및 실무 응용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판단되었다.

바이오차 시용이 시설재배 멜론의 토양 환경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ochar Application on Soil Environment and Melon Growth in Greenhouse)

  • 김은혜;윤건식;정금재;이규회;전유민;윤철구;김주형;이상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5-90
    • /
    • 2024
  • 바이오차란 바이오매스를 산소가 제한된 조건에서 열분해하여 만든 탄소함량이 높은 고형물로서 토양환경 개선 효과로 탄소중립을 위한 친환경 토양개량제로 주목받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멜론 시설재배지 바이오차의 시용량별 토양 이화학성 및 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평가 하였고 이에 따른 멜론의 생육 특성 및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토양의 물리성은 바이오차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용적밀도는 감소하고 공극률이 증가하여 토양의 통기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 토양의 화학성은 바이오차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pH가 증가하고 유기물 및 유효인산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멜론의 생육은 무처리 대비 바이오차 10,000 kg/ha 처리까지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멜론의 만장, 엽장, 엽폭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멜론의 생산량도 시용량에 따라 증가하여 바이오차 10,000 kg/ha 처리에서 무처리 대비 13~16% 높았다. 바이오차 시용에 따른 토양 미생물 군집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우점 유익균의 비율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멜론 시설재배지 바이오차의 처리가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군집 개선의 결과를 나타내며 효과적인 토양개량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Comparison of Heavy Metal(loid)s Contamination of Soil between Conventional and Organic Fruit Farms

  • Lee, Hyun Ho;Kim, Keun Ki;Lee, Yong Bok;Kwak, Youn Sig;Ko, Byong Gu;Lee, Sang Beom;Shim, Chang Ki;Hong, Chang Oh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401-408
    • /
    • 2017
  • Organic amendments such as animal waste compost, lime-bordeaux mixture, and lime sulphur mixture contain heavy metal(loid)s which are toxic to human being, animal, and pla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eavy metal(loid)s contamination of soil between conventional and organic farm.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0 conventional and 38 organic fruit farms. At each sampling point, top (0~15 cm) and sub soil (15~30 cm) were taken using hand auger. Total concentration for arsenic (As), cadmium (Cd), copper (Cu), nikel (Ni), lead (Pb), and zinc (Zn) in the collected soil were measured. The pollution index (PI) for heavy metal in organic farms indicated it was unpolluted area. However, mean value of PI for organic farms (0.143) was higher than that for conventional farms (0.122). High Geoaccumulation index (Igeo) for Cu, Pb, and Zn implied that grape farms were more polluted than others fruit farms because a lot of lime-bordeaux mixture and lime sulphur were applied in organic grape farms. Especially, top soils showed higher level of contamination than sub soil. Based on the above results, organic amendments might cause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soil. Therefore,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paid for concentration of Cu, Pb, and Zn, when organic amendments are used in the organic fruit fa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