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acid

검색결과 4,363건 처리시간 0.044초

나노크기의 교질상 영가철 및 자철석에 대한 수용상의 거동특성 (Characterization of Behavior of Colloidal Zero-Valent Iron and Magnetite in Aqueous Environment)

  • 이우춘;김순오;김영호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5-108
    • /
    • 2015
  • 광산배수가 지표에 노출되거나 주변 수계로 유입됨에 따라 나노크기의 철 교질물질이 형성되며, 이러한 철 교질물질은 심미적 오염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수생태계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이를 제어하기 위해 철 나노물질의 거동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는 영가철과 자철석을 이용하여 배경용액의 pH와 조성, 그리고 자연유기물에 따른 철 나노물질의 거동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동적광산란분석기를 이용하여 철 나노물질의 입자크기와 표면 제타전위를 측정하였으며, DLVO (Derjaguin, Landau, Verwey, and Overbeek) 이론에 적용하여 응집 및 분산 등의 거동특성을 비교하였다. 철 나노물질은 영전하점 pH 근처에서는 입자간의 전기적 인력으로 인한 응집이 발생되며, 그보다 pH가 낮거나 높으면 전기적 반발력에 의해 분산이 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배경용액 내 양이온이 음이온보다 거동특성에 더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1가 양이온보다 2가 양이온이 입자표면간의 전기적인 인력 및 반발력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용상의 자연유기물은 철 나노물질을 코팅함으로써 표면을 음전하로 띠게 하여 분산이 잘 되게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일한 환경조건에서 자철석보다 영가철이 응집이 더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영가철의 낮은 안정성과 빠른 반응성으로 인해 철 산화물로 변질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충청지역 민속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Traditional Wine and Liquor Produced in Chungcheong-do)

  • 이효구;최양문;서형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257-1261
    • /
    • 2004
  • 민속주의 고품질화와 소비촉진에 기여하고자 먼저 충청지역에서 제조되어 시판 중인 민속주들의 이화학적인 성분을 분석하고 생리활성으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충청지역의 7종류의 민속주는 0.30∼0.95% 유기산, 1.4∼11.1% 당 함량과 1.5∼37.3 mg%의 단백질 함량을 보였다. 민속주 L-3의 경우 가장 높은 polyphenol화합물의 함량(205.8$\mu\textrm{g}$/mL)을 보였다. 7종류의 민속주중 L-5, L-4 및 L-3는 tocopherol (0.05 mg/mL)의 항산화활성의 80%정도의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나, 이들 3가지 민속주간의 유의적 차이 (p<0.05)는 없었다. L-5가 7가지 민속주중에 가장 높은 reducing power를 보였으며, 또한 전자공여능 역시 다른 민속주에 비 해 월등하였다. L-6, L-5, L-4는 비교적 높은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보였으며 이중 L-5는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이 0.93unit/mg으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충청지역의 민속주 7가지중 L-5가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Growth Performance, Carcass and Meat Characteristics of Black Goat Kids Fed Sesame Hulls and Prosopis juliflora Pods

  • Abdullah, Abdullah Y.;Obeidat, Belal S.;Muwalla, Marwan M.;Matarneh, Sulaiman K.;Ishmais, Majdi A. Ab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9호
    • /
    • pp.1217-1226
    • /
    • 2011
  • Finding alternative feeds, such as sesame hulls and Prosopis juliflora species can attenuate difficulties of feed shortage and reduce the cost of animal feed in arid and semi-arid countries. Thirty-two Black male kids with similar initial weights (BW = $16.7{\pm}0.80\;kg$) and $120{\pm}5\;d$ of age,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replacing barley grains and soybean meal with Prosopis juliflora pods (PJP) and sesame hulls (SH) on growth performance, digestibility and carcass and meat characteristics. Kids were equally divided into four dietary treatment groups for an 84-d fattening period. Treatment diets had similar crude protein (CP) and metabolizable energy (ME). The treatment groups were: (T1) no PJP nor SH, (T2) 10% PJP and 20% SH, (T3) 15% PJP and 15% SH, and (T4) 20% PJP and 10% SH. A tendency was detected (p<0.08) for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organic matter (OM)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intakes that were greater for T2 than T3 and T4 while T1 was not different from all other treatment groups. Ether extract (EE) intake was the greatest (p<0.05) for T2 and the lowest for T1. Acid detergent fiber (ADF) intake was greater (p<0.05) for T2 than T1 while T3 and T4 were intermediate. Final live weight, average daily gain (ADG)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were comparable among different treatment groups. Digestibility of DM, OM, CP, NDF and ADF were similar among all treatment groups, however, EE digestibility was the lowest (p<0.05) for T1 when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In addition, nitrogen intake, nitrogen in urine and retained and retention percentages were similar among all treatment groups. However, N loss in feces was higher (p<0.05) for T2 than T3 and T4 while T1 was intermediate.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reatment groups with respect to fasting live weight, hot and cold carcass weights, dressing-out percentages, mesenteric fat, visceral organs, carcass cuts percentages and carcass linear dimensions. No differences were also observed for dissected loin, leg, rack and shoulder tissues except in the total bone % for loin cuts and in the meat to bone ratio for rack cuts. T3 has the greatest total bone % and the lowest meat to bone ratio when compared to all other treatment group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reatment groups in all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longissimus muscle.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using PJP and SH for growing kids without advers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Kinetin(6-Furfurylaminopurine)의 엽면살포가 상수의 생장 및 생체내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liar Spray of Kinetin(6-Furfurylaminopurine) on the Growth of Mulberry Tree and the Metabolic Activities in the Leaves)

  • 이재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0
    • /
    • 1984
  • Kinetin의 엽면살포가 뽕나무의 생장과 생체내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뽕나무 생장에 알맞은 Kinetin 살포농도는 100ppm이 가장 알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무시비, 질소, 인산, 가리, N+P+K의 복합시비 처리구에 대한 Kinetin의 살포는 일반적으로 살포처리가 무살포처리에 비해서 뽕나무 생장을 촉진시켰으며 특히 질소, N+P+K의 복합시비 처리구에서 생장이 촉진되었다. 3. Kinetin의 살포처리는 뽕나무 뿌리의 생장을 촉진시켰으며 이와 같은 뿌리 생장의 촉진은 뿌리의 단위 세포의 증대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Kinetin 살포효과는 살포처리가 무살포 처리에 비해서 엽록소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질소와 N+P+K의 시비 처리구가 타 처리구에 비해서 높았다. 5. 전당 함량에 미치는 Kinetin 효과도 살포처리가 무살포 처리에 비해서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N+P+K 시비처리구가 높았고 기타 시비 처리구에서는 처리구간에 별차가 없었다. 6. GOT, GPT 활성에 있어서도 Kinetin의 살포처리가 무살포처리에 비해서 높았는데 특히 N+P+K의 복합 시비 처리구와 질소시비 처리구에서 높았다. 7. Vitamin C의 함량에 있어서도 Kinetin 살포처리가 무살포처리에 비해서 높았고 N+P+K>가리>질소$\geq$인산무시비 순으로 높았다. 8. 무기, 유기성분의 함량에 있어서는 Kinetin 살포처리와 무살포 처리구 간에 별차가 없는 것 같다.

  • PDF

막걸리 제조시 술덧의 성분동태에 관한 연구 1 (Studies on chemical components of fermented maeh in the brewing of Maggerley (Korean wine))

  • 이성범;장원길;임병종;김덕치
    • 미생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53-158
    • /
    • 1969
  •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substitute sweet potato for wheat flour as the brewing material of Maggerley(Korean wine) in order to save precious wheat flour which is now consumed as the sole material in it. In this study, the fermenting mash material has been prepared with combination of wheat (KIorean wine) as a first step of sabing wheat flour consuming. The combination ratio of wheat flour and sweet potato starch in mashing, in this experiment, are such as mashing plot of 100% wheat flour (No.3 plot), 50% wheat flour plus 50 % of sweet potato starch (No.2plot), 30% wheat flour plus 70% starch syrup of sweet potato (No. 4 plot), and 60% wheat flour plus sweet potato starch (No. 1 plot). The results of fermentation and chemical components of each mash in experimental plot are as following : 1. Alocholic fermentation was most vigorous in No.4 plost among them, the next are in order to hydrolyze and break down the protein sourece to glucose and amino acid, the new enzymic source were added in experimantal amsh before putting yeasts, those enzymic sources have been developed and prepared in this laboratory No.4 and No.2 plot at same degree. Generally, the activities of alcholic fermentation of all plots are vigorous and fair. The acidity of each fermented mash is in the rangw of 3.7-4.8. 2. Amounts of amino acids in fermented mash are in the range of 145 mg per 100 ml and 158 mg for all experiments, and these amounts are much more than those of present commerical Maggerley. However, the amount of it in the No.4 plots is much less among the m, this is due to the lack of protein source in starch syrup. 3. Amounts of organic acids in fermented mash are in the range of 0.44g per 100ml and 0.62g, these amounts are generally much more than those of the present commercial Maggerley. 4. The result of sensory test for the experimental Maggerley shows good taste and flavour in comparison with those of commercial Maggerely. 5. It is proved that these experimental fermentation of Maggerley is succesful in the partial substitution of sweet potato starch potato starch for wheat flour, and it is also be able to make a good Maggerley in all aspects of quality.

  • PDF

퇴적토에 담지된 금속 및 탄소전극에 의한 전기 생산 특성 (Electricity Production by Metallic and Carbon Anodes Immersed in an Estuarine Sediment)

  • 송형진;이인형;권성현;조대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731-3739
    • /
    • 2009
  • 철, 황동, 아연, 구리 등 금속과 탄소섬유를 양전극으로 한 해양 퇴적물 전지를 구성하여 전기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금속 전극으로는 철, 황동, 아연, 구리판과 탄소전극으로는 graphite felt가 사용되고 환원부 전극은 graphite felt로 하였다. 해안 퇴적토에 서식하는 미생물군에 의해, 또는 빠른 금속 부식반응에 기초한 산화작용에 의해 전자가 방출되고 아연/철 전극에서 최대전류가 $7.7\;A/m^2$, 철 전극에서 최대 $6.9\;W/m^2$의 전력밀도가 형성되었다. 탄소 천을 감싼 복합금속전극 시험결과 금속전극만 사용한 경우보다 전기특성이 60%정도 향상되었고 이는 미생물 증식과 부식에 의한 산화피막 형성이 지연된 결과로 여겨진다. 산화전극부의 ORP는 실험시간 내내 일정하였으며 구리전극 사용시 유기산 형성으로 추정되는 약한 pH 강하가 일어났다. 전극부와 전해질 부분의 전기저항을 계산한 결과 전기 생산의 주 영향인자는 부식반응 조절과 미생물의 전자 이전활성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tensive land-based production of red and green macroalgae for human consumption in the Pacific Northwest: an evaluation of seasonal growth, yield, nutritional composition, and contaminant levels

  • Gadberry, Bradley A.;Colt, John;Maynard, Desmond;Boratyn, Diane C.;Webb, Ken;Johnson, Ronald B.;Saunders, Gary W.;Boyer, Richard H.
    • ALGAE
    • /
    • 제33권1호
    • /
    • pp.109-125
    • /
    • 2018
  • Turkish towel (Chondracanthus exasperatus), Pacific dulse (Palmaria mollis, also known as Red ribbon seaweed), and sea lettuce (Ulva spp.) were cultivated in a land-based intensive culture system at the Manchester Research Station, USA from August 2013 to September 2014. Macroalgae were grown in tumble-aerated tanks, harvested bimonthly for seasonal growth calculations, and analyzed for protein, lipid, ash, and amino acid content. Growth rate of all three species exhibited a similar pattern, with the highest specific growth rates occurring during the summer months (Turkish towel: 7.8%, Pacific dulse: 8.2%, and sea lettuce: 6.2%). Growth of all three species was lowest around winter solstice; with negative growth only observed in sea lettuce. On a dry weight bas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tein content existed between the three species with highest values for sea lettuce ($29.5{\pm}1.4%$). Lipid content varied between species (0.95-2.78%) with significantly higher lipid observed in sea lettuce (0.58-4.82%).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on a seasonal basis among each species. Essential amino acids accounted for $43{\pm}0.9$ to $47{\pm}1.2%$ of total amino acids with Turkish towel having the highest value. Turkish towel had a significantly higher taurine level ($0.82{\pm}0.27$) than the other macroalgae. The levels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and heavy metals were low. The estimated annual product of the three species ranged from 50- to $70-mt\;dry\;weight\;ha^{-1}\;y^{-1}$,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ventional crops. Land-based culture of these species can produce year-round harvest, consistent product quality, and low contaminant levels.

'신고' 배의 비중에 따른 과실 품질 특성과 바람들이 발생 (Fruit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ithiness Tissue Occurrence with Fruit Gravities in 'Niitaka' Pear Fruit)

  • 조준식;김월수;이상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545-551
    • /
    • 2010
  • 본 연구는 '신고' 배 품질저하의 주요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바람들이과의 확인을 위하여 과실 비중에 따른 배 과실의 품질특성과 바람들이 발생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수확된 과실들의 바람들이 증상 구분은 아르키메데스법을 이용 비중에 따라 구분하였고 과실들의 물성과 당함량을 측정되었다. 최종적인 바람들이과의 확인은 저장한 후 저장 90일째에 각각의 과실을 칼로 잘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알코올 수용성 분획(Alcohol Soluble Solid)과 알코올불용성 분획(Alcohol Insoluble Solid)에서의 칼슘함량을 조사하였다. 비중에 따라 구분한 배 과실 group간 당함량과 산함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물성의 차이는 뚜렷했으며 특히 경도는 비중이 낮은 group일수록 낮게 나타났다.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비중이 낮은 과실이 많아졌으며 이러한 현상은 만개 후 174일과 181일에 수확한 과실들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수확기가 늦어질수록 비중이 낮은 과실과 정상과의 알코올불용성물질의 차이는 크게 나타났다. 또한, 비중이 낮은 과실과 정상과에서의 알코올불용성분획과 알코올수용성 분획에서의 칼슘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낮았으며, 알코올불용성분획에서 비중이 낮은 과실이 정상과보다 칼슘 함량이 낮았다. 결과적으로 비중이 낮아짐에 따라 나타나는 배 과실의 바람들이과 발생은 저장기간과 조건에 영향도 있지만 그보다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높아졌다.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세포벽에 결합되어 있던 칼슘의 함량이 감소되면서 세포벽의 견고성이 약화되어 바람들이 발생이 높아졌다.

Aspergillus niger에 의한 균본외 Phytase 생산조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ditions of Extracellular Phytase Production, by Aspergillus niger)

  • 김경환;양호석;최용진;양한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3-144
    • /
    • 1982
  • 보존균 141주와 토양분리군 41주의 균체 외 phytase 생산능력을 조사한 결과 일반적으로 곰팡이류가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중에서 효소활성이 가장 높은 균주를 선별하여 그 형태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Aspergillus sp. 로 동정되었다. 아울러 분리균주의 효소생산을 위한 배양조건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4$^{\circ}C$에서 3일간 전배양한 종균으로 28$^{\circ}C$에서 5 일간 본배양하였을 때 최고의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2. Phytase생산배지의 초기 최적 pH는 2부근이였다. 3. 탄소원으로서는 일반적으로 galactose를 구성단위로 가진 당류는 비효과적인 반면 glucose를 가진 당류가 더욱 효과적이었다. 특히 sucrose가 가장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4. 무기질소원으로서는 KNO$_3$가 가장 적합하였으며. 무기인산함량이 많은 인산암모늄이 가장 불량하였다. 5. 유기질소원은 0.2%의 corn steep liquor를 첨가했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6. KCl, MgSO$_4$, 및 무기인의 최적농도는 각각 0.5g/$\ell$, 0.5g/$\ell$및 40~80mg/$\ell$였다. 한편 고인산배지에서는 균체증식은 현저히 증가되나 효소합성은 현저히 감소됨을 보였다.

  • PDF

Ultrasonic Degradation of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in Seawater and Brackish Water

  • Park, So-Young;Park, Jong-Sung;Lee, Ha-Yoon;Heo, Ji-Yong;Yoon, Yeo-Min;Choi, Kyung-Ho;Her, Nam-Guk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137-148
    • /
    • 2011
  • In this study, a series of experiments was conducted on the relative degradation of commonly known endocrine-disrupting compounds such as bisphenol A (BPA) and $17{\alpha}$-ethinyl estradiol (EE2) in a single-component aqueous solution using 28 and 580 kHz ultrasonic reactor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three different types of model water: deionized water (DI), synthetic brackish water (SBW), and synthetic seawater (SSW) at pH 4, 7.5, and 11 in the presence of inert glass beads and humic acids. Significantly higher sonochemical degradation (93-97% for BPA) occurred at 580 kHz than at 28 kHz (43-61% for BPA), regardless of water type. A slightly higher degradation was observed for EE2 compared to that of BPA. The degradation rate of BPA and EE2 in DI water, SBW, and SSW after 30 min of ultrasound irradiation at 580 kHz increased slightly with the increase in pH from 4 (0.073-0.091 $min^{-1}$ for BPA and 0.081-0.094 $min^{-1}$ for EE2) to 7.5 (0.087-0.114 $min^{-1}$ for BPA and 0.092-0.124 $min^{-1}$ for EE2). In contrast, significant degradation was observed at pH 11 (0.149-0.221 $min^{-1}$ for BPA and 0.147-0.228 $min^{-1}$ for EE2). For the given frequencies of 28 and 580 kHz, the degradation rate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glass beads (0.1 mm and 25 g) for both BPA and EE2: 0.018-0.107 $min^{-1}$ without beads and 0.052-0.142 $min^{-1}$ with beads for BPA; 0.021-0.111 $min^{-1}$ without beads and 0.054-0.136 $min^{-1}$ with beads for EE2. A slight increase in degradation of both BPA and EE2 was found as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humic acids) increased in both SBW and SSW: 0.107-0.115 $min^{-1}$ in SBW and 0.087-0.101 $min^{-1}$ in SSW for BPA; 0.111-0.111 $min^{-1}$ in SWB and 0.092-0.105 $min^{-1}$ in SSW for EE2. After 30 min of sonicating the humic acid solution, DOC removal varied depending on the water type: 27% (3 mg $L^{-1}$) and 7% (10 mg $L^{-1}$) in SBW and 7% (3 mg $L^{-1}$) and 4% (10 mg $L^{-1}$) in SS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