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acid

검색결과 4,359건 처리시간 0.029초

단클론항체를 이용한 타액 내 Streptococcus mutans 수준의 측정 (DETECTION OF SALIVARY STREPTOCOCCUS MUTANS LEVELS USING MONOCLONAL ANTIBODIES)

  • 김추성;김재곤;양연미;백병주;이경열;김미아;임수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86-192
    • /
    • 2010
  • Streptococcus mutans는 구강 내에 상존하는 치아우식증의 주요 원인균으로서 치면의 피막에 부착 후 glucan을 형성하여 세균의 군락을 이루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자당대사를 통하여 유기산을 생성함으로써 법랑질을 탈회시킨다. 치아우식 활성도의 평가를 위한 단클론항체를 이용한 방법은 진료실에서 빠른 시간 내에 간편하게 타액에 존재하는 Streptococcus mutans의 정량분석이 가능한 방법이다. 이 연구는 3세에서 6세 사이의 어린이 15명을 대상으로 자극성 타액을 채취하여 시판 중인 단클론항체를 이용한 Salivacheck$^{TM}$ Mutans, strip을 이용한 Dentocult$^{(R)}$-SM 그리고 MSB배지 배양법으로서 타액 내 Streptococcus mutans를 측정한 후 그 값을 우식경험치아수와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Saliva-check$^{TM}$ Mutans를 이용한 방법은 Dentocult$^{(R)}$-SM과 MSB배지법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p<0.05), MSB배지법은 어린이의 우식경험치아수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p=0.34).

효모 고정화용 세라믹 담체의 개발 (Development of Ceramic Media for Yeast Immobilization)

  • 이율락;박상재
    • KSBB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285-292
    • /
    • 2000
  • 난초를 키우는 화분에 보습용으로 사용되는 다공성 화산석을 2-3 mm크기로 파쇄한 후 $600^{\circ}C$에서 1시간 태워서 가연성 물질 을 제거하고 IN의 염산용액으로$60-70^{\circ}C$에서 2시간 이물질을 녹여댄 후 세척할 경우 효모 고정화에 적당한 담체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때 염산 용액 대신 NaOH 용액을 세척용액으로 사용 할 수 있으나 담체 구성성분의 용출이 있을 수 있으므로 용액 농도, 처리온도 및 시간에 주의하여야 한다 이렇게 제조된 담체 는 기공의 크기가 $15-80\mu\textrm{m}$이고 충전 밀도는 0.4-0.6 g/mL 였으며 $SiO_2$가 주성분이었고, $Al_2O_3$가 소량함유되어 있었으며, CaO, MgO가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 이 담제의 구조와 효모 고 정화 능력을 국내외 기업에서 제조한 실리카 및 알루미나 재질 의 담체의 경우와 비교한 결과 고상포말법으로 제조한 실리가 담체의 구조 및 고정화능력($5{\times108}$ cells/mL bed)과 비슷한 결 과를 보여 효모 고정화용 담체로 손색이 없었다.. Cordierite 담체 와 알루미나 담체는 고정화능이 실리카 담체의 50% 이하로 낮 았는데 이는 기공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했기 때문으로 효모가 쉽게 흡착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매끄러운 표면이 바람직하다 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PDF

재료를 달리한 김치의 품질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s with different Ingredients)

  • 김명희;신말식;전덕영;홍윤호;임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68-277
    • /
    • 1987
  • 재료(고추가루, 파, 마늘, 생강)를 달리하여 담근 김치를 $20^{\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호기성 생균수와 성분 함량 변화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호기성 생균수는 숙성이 진행되면서 급격히 감소하다가 숙성 2일후에는 완만한 변화를 보였다. 염도는 $1.8{\sim}2.0%$이었으며 적정 산도는 1일째는 고추가루 무첨가군과 파 무첨가군이, 5일 이후에는 마늘 무첨가군이 낮았다. 총당 함량은 숙성이 진행되면서 $1.8{\sim}2.7g/100g$에서 $0.8{\sim}1.1g/100g$으로 점차 감소하였다. 이산화탄소 함량은 고추가루 무첨가군과 생강무첨가군이 비교적 높게 유지되었다. 휘발성 유기산 함량은 시료나 숙성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숙성 전기간을 통해 외관은 고추가루 무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나빴으며 탄산미는 생강 무첨가군이 유의적으로 좋았고, 조직감과 이취는 마늘 무첨가군이 가장 나빴다. 종합적인 맛을 생장 무침가군이 가장 좋았고 마늘 무첨가군이 가장 나쁘게 평가되었다.

  • PDF

저선량 전자선 조사가 살구의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ow-dose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ored Apricots)

  • 이정옥;이성아;김미선;황혜림;김경희;천종필;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934-941
    • /
    • 2008
  • 살구에 1, 2 kGy 전자선을 조사한 후 2주간 미생물학적, 물리적,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통해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미생물학적 변화에서는 호기성 미생물 및 효모, 곰팡이군의 수가 전자선 조사에 의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저장기간 동안에 그 수가 증가하였다. 기계적 경도 측정 결과에서는 전자선 조사 직후부터 조사구가 비조사구보다 경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사선량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또한 관능검사에서도 조사구의 경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 kGy 조사구의 전체적인 기호도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 측정에서는 전자선 조사에 의해 lightness, redness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원당 함량은 전자선 조사된 시료가 비조사구에 비해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기산 함량에서는 전자선 2 kGy 조사구가 저장기간 중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전자선 조사에 의해 살구의 pH, 총당, 수소공여능 그리고 vitamin C 함량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살구에 대한 저선량의 전자선 조사는 살구를 연화시켜 저장기간 연장 및 품질 개선에 대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가져오며, 이화학적 품질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귤 주스 착즙박을 이용하여 재배된 버섯균사체의 성분 (Major Components of Mushroom Mycelia Cultivated with Citrus Juice Processing Wastes)

  • 이창환;양민호;박승림;강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8-132
    • /
    • 2007
  • 감귤 착즙박을 주 성분으로 하는 버섯배양배지를 만들고 간, 표고, 새송이, 산호침, 참부채 및 영지 버섯 균을 접종하여 균사체 제품을 만들었다. 만들어진 균사체는 착즙박에 비하여 대체적으로 조회분은 증가하였으나, 총산, 환원당, 조단백질 및 조지방은 착즙박과 함량이 비슷하거나 일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부분의 버섯균사체 중 유기산의 함량은 착즙박의 함량과 비슷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새송이 버섯에서는 착즙박의 2.7배 이상 유기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버섯균사체 중 fructose는 9.20-11.06%로서 착즙박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새송이 버섯에서는 2.65%로서 함량이 매우 감소하였으며, glucose의 경우는 모든 버섯 균사체에서 그 함량이 착즙박보다 매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산호침 버섯 및 참부채 버섯에서 감소하는 현상이 더욱 심하였다. 버섯균사체 중 sucrose는 착즙박의 함량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간버섯과 새송이 버섯에서 감소현상이 심하였다. 버섯균사체의 narirutin 함량은 448.67-932.98 mg%로서 대부분 착즙박에 비하여 비슷하거나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hesperidin의 함량은 3,019.94-4,980.94 mg%로서 간버섯을 제외하면 착즙박보다 17.81-52.61%증가하여 농축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버섯균사체 중 TDF 함량은 38.87-51.49%, NDF 함량은 11.94-17.67%, ADF함량은 11.00-14.09%로서 대부분 착즙박의 함량과 비슷하거나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버섯균사체의 ${\beta}-glucan$ 함량은 9.43-13.69%로서 착즙박과 비슷하거나 조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polyphenol은 모든 버섯 균사체에서 8.01-20.28 mg%로서 그 함량이 비슷하거나 대부분 감소하였다. 버섯균사체의 EDA 및 NSA는 새송이 버섯 균사체를 제외한 모든 버섯 균사체에서 착즙박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블루베리 유전체 연구현황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blueberry genomics research)

  • 김진국;윤해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36-341
    • /
    • 2015
  • 블루베리는 유기물 함량이 높고 통기성과 배수성이 양호한 산성토양에서 생육이 우수한 관목식물이다. 블루베리 과실은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과실로서 소비자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재배면적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블루베리 전체 유전체에 대한 해독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타 작목에 비하여 유전체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총설의 목적은 블루베리 유전체 연구현황 분석을 통하여 국내 블루베리 유전체 연구에 대한 목표 설정, 효율성 증진, 실용화 방안에 대한 플랫폼을 구축하는데 있다. 지금까지의 블루베리 유전체, 전사체, 마커에 대한 연구는 블루베리의 내한성, 저온요구도, 환경적인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이해 증진과 재배 적응성을 높이기 위한 식물학적 이해와 우량 계통 및 품종 선발에 대한 육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목표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총설에서 살펴본 블루베리 유전체 연구에 대한 현황분석은 국내의 유전체 연구자 및 블루베리 연구자들에게 국내환경에서 보다 재배적응성이 우수하고 지속적이며 고기능성의 과실생산을 위한 품종 육성과 재배기술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국내에서 신소득 과수로서 블루베리가 정착하고 발전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섬유소 분해효소 및 니코틴 분해세균을 이용한 잎담배의 발효촉진효과 (Studies on the promoted Aging of flue-cured leaf tobacco by cellulolytic Enzyme and Nicotinophiles)

  • 이태호;성낙계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20
    • /
    • 1991
  • For the quality enhancement of harvested-year leaf tobacco to the quality of 2-year naturally aged leaf tobacco, cellulose and nicotine degradative bacteria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Effects of artificial fermentation treated cellulase and nicotine degradative bacteria on the quality of leaf tobacco were investigated from the chemical and sensory points of view. 1,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leaf tobacco resulted from the addition of cellulase extracted from Cellulomonas sp. [3ml(${\mu}{\textrm}{m}$ D-glucose/ml. mil-1) of enzymes solution 11009 of leaf tobacco] and nicotine degradative bacteria, Pseudomonas sp. 2ml(IX109 cells$\div$ 100g of leaf tobacco), and subsequently fermented at 40${\mu}{\textrm}{m}$$^{\circ}C$, 65% R. H. for 40 days are as follows : 1) Content of crude fiber decreased 12% It took 9 min, 53 sec. to reach full combustion in control group but took only 7 min. 47 sec. in the treated group, taking almost equal time to 2-year naturally aged leaf tobacco(7 min. 35sec.). 2) Light intensity of control group was 60.96% with bright lemon color but that of treated leaf tobacco accounted for 47.69 with orange to dark brown color series, which was almost equal to the value, 45.69, of 2-year naturally aged leaf tobacco. 3) Linoleic acid, serving mild taste among organic acids, amounted to 1.llmg/g in control group but increased to 1.35m9/9 in the treated leaf tobacco, identical to the content(1.35mg/g) of 2-year naturally aged leaf tobacco. 4) Content of solanone, on of the typical leaf tobacco flavor compounds, accounted for 2.95% in control group but increased to 2.87% in treated group. 5) Methyl furan, useful flavor compound in smoke composition, accounted for 17.6$\mu\textrm{g}$/cig. in control group but increased to 25.9$\mu\textrm{g}$/cig. in treated group. However, acroleine decreased from 69.3$\mu\textrm{g}$/cig. in control group to 58.6$\mu\textrm{g}$/cig. in treated group 2. In sonsory test, mild taste evaluation of control group scored 5.47 and treated group 7.93 which was evaluted almost equal to the value(8.00) of 2-year naturally aged leaf tobacco. Aroma evaluation of control group scored 5.60, treated group 8.20, and 2-year naturally aged leaf tobacco 8.33. In addition, total harmony taste of control group showed 5.67, treated group 8.07 (p<0.01), and 2-year naturally aged leaf tobacco 8.00.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aid that quality of treated leaf tobacco is not inferior to that 2-year naturally aged leaf tobacco.

  • PDF

나노크기의 교질상 영가철 및 자철석에 대한 수용상의 거동특성 (Characterization of Behavior of Colloidal Zero-Valent Iron and Magnetite in Aqueous Environment)

  • 이우춘;김순오;김영호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5-108
    • /
    • 2015
  • 광산배수가 지표에 노출되거나 주변 수계로 유입됨에 따라 나노크기의 철 교질물질이 형성되며, 이러한 철 교질물질은 심미적 오염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수생태계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이를 제어하기 위해 철 나노물질의 거동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는 영가철과 자철석을 이용하여 배경용액의 pH와 조성, 그리고 자연유기물에 따른 철 나노물질의 거동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동적광산란분석기를 이용하여 철 나노물질의 입자크기와 표면 제타전위를 측정하였으며, DLVO (Derjaguin, Landau, Verwey, and Overbeek) 이론에 적용하여 응집 및 분산 등의 거동특성을 비교하였다. 철 나노물질은 영전하점 pH 근처에서는 입자간의 전기적 인력으로 인한 응집이 발생되며, 그보다 pH가 낮거나 높으면 전기적 반발력에 의해 분산이 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배경용액 내 양이온이 음이온보다 거동특성에 더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1가 양이온보다 2가 양이온이 입자표면간의 전기적인 인력 및 반발력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용상의 자연유기물은 철 나노물질을 코팅함으로써 표면을 음전하로 띠게 하여 분산이 잘 되게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일한 환경조건에서 자철석보다 영가철이 응집이 더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영가철의 낮은 안정성과 빠른 반응성으로 인해 철 산화물로 변질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충청지역 민속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Traditional Wine and Liquor Produced in Chungcheong-do)

  • 이효구;최양문;서형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257-1261
    • /
    • 2004
  • 민속주의 고품질화와 소비촉진에 기여하고자 먼저 충청지역에서 제조되어 시판 중인 민속주들의 이화학적인 성분을 분석하고 생리활성으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충청지역의 7종류의 민속주는 0.30∼0.95% 유기산, 1.4∼11.1% 당 함량과 1.5∼37.3 mg%의 단백질 함량을 보였다. 민속주 L-3의 경우 가장 높은 polyphenol화합물의 함량(205.8$\mu\textrm{g}$/mL)을 보였다. 7종류의 민속주중 L-5, L-4 및 L-3는 tocopherol (0.05 mg/mL)의 항산화활성의 80%정도의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나, 이들 3가지 민속주간의 유의적 차이 (p<0.05)는 없었다. L-5가 7가지 민속주중에 가장 높은 reducing power를 보였으며, 또한 전자공여능 역시 다른 민속주에 비 해 월등하였다. L-6, L-5, L-4는 비교적 높은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보였으며 이중 L-5는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이 0.93unit/mg으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충청지역의 민속주 7가지중 L-5가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Growth Performance, Carcass and Meat Characteristics of Black Goat Kids Fed Sesame Hulls and Prosopis juliflora Pods

  • Abdullah, Abdullah Y.;Obeidat, Belal S.;Muwalla, Marwan M.;Matarneh, Sulaiman K.;Ishmais, Majdi A. Ab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9호
    • /
    • pp.1217-1226
    • /
    • 2011
  • Finding alternative feeds, such as sesame hulls and Prosopis juliflora species can attenuate difficulties of feed shortage and reduce the cost of animal feed in arid and semi-arid countries. Thirty-two Black male kids with similar initial weights (BW = $16.7{\pm}0.80\;kg$) and $120{\pm}5\;d$ of age,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replacing barley grains and soybean meal with Prosopis juliflora pods (PJP) and sesame hulls (SH) on growth performance, digestibility and carcass and meat characteristics. Kids were equally divided into four dietary treatment groups for an 84-d fattening period. Treatment diets had similar crude protein (CP) and metabolizable energy (ME). The treatment groups were: (T1) no PJP nor SH, (T2) 10% PJP and 20% SH, (T3) 15% PJP and 15% SH, and (T4) 20% PJP and 10% SH. A tendency was detected (p<0.08) for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organic matter (OM)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intakes that were greater for T2 than T3 and T4 while T1 was not different from all other treatment groups. Ether extract (EE) intake was the greatest (p<0.05) for T2 and the lowest for T1. Acid detergent fiber (ADF) intake was greater (p<0.05) for T2 than T1 while T3 and T4 were intermediate. Final live weight, average daily gain (ADG)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were comparable among different treatment groups. Digestibility of DM, OM, CP, NDF and ADF were similar among all treatment groups, however, EE digestibility was the lowest (p<0.05) for T1 when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In addition, nitrogen intake, nitrogen in urine and retained and retention percentages were similar among all treatment groups. However, N loss in feces was higher (p<0.05) for T2 than T3 and T4 while T1 was intermediate.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reatment groups with respect to fasting live weight, hot and cold carcass weights, dressing-out percentages, mesenteric fat, visceral organs, carcass cuts percentages and carcass linear dimensions. No differences were also observed for dissected loin, leg, rack and shoulder tissues except in the total bone % for loin cuts and in the meat to bone ratio for rack cuts. T3 has the greatest total bone % and the lowest meat to bone ratio when compared to all other treatment group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reatment groups in all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longissimus muscle.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using PJP and SH for growing kids without advers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