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2초

휴폭 및 이른 봄 질소비료 시용량이 오차드그라스의 생육특성 및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ill Widths and Nitrogen Application Levels in Early Spring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 Productivity of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 최기준;정의수;임용우;임영철;김기용;성병렬;김맹중;박근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7-114
    • /
    • 2003
  •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 productivities of orchardgrass "Hwabsung 2 Ho" cultivated for seed production were examined in the NLRI from 2000 to 2002.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 split-plot arrangement with three replications. The main-plots were three drill widths of 15, 30 and 45cm, and subplots were four nitrogen application levels of 45, 90, 135 and 180kg/ha in early spring. Lodging was less in 45cm of drill width than in 15 and 30cm and was not severe by 90kg per ha of nitrogen including 45cm of drill width. Number of panicles per $1\m^2$ was tended to be more in 15cm of drill width than in 30 or 45cm. Among 45cm of drill widths. 45kg per ha of nitrogen had most numerous panicles. Panicle length, number of 1st branch, weight of 1,000 grain, and germination of 30 or 45cm of drill width showed better characters than that of 15cm. Seed yield was not statistical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but was some more in 30cm of drill width, and was tended not to be different among nitrogen levels. Therefore, considering lodging tolerances, seed yield components, and mechanizations, treatment with 45cm of drill width including 45kg per ha of nitrogen in early spring was better than other treatments for orchardgrass seed production.

Change in Nitrogen Fractions and Ruminal Nitrogen Degradability of Orchardgrass Ensiled at Various Moisture Contents and the Subsequent Effects on Nitrogen Utilization by Sheep

  • Nguyen, H.V.;Kawai, M.;Takahashi, J.;Matsuoka,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9호
    • /
    • pp.1267-1272
    • /
    • 2005
  • The effect of various moisture contents of fresh forage on the change in nitrogen (N) fractions, in vitro ruminal N degradability, and the subsequent N utilization of silage in sheep were evaluated.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with high (HM, 76%), medium (MM, 65%) and low (LM, 40%) moisture contents were ensiled into silos of 120 L capacity for 120 days. A nitrogen balance trial was conducted using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consisting of four dietary treatments (i.e. fresh forage, HM, MM and LM silages) and four wethers. With respect to N fractions, fraction 1 (buffer solution soluble N), fraction 2 (buffer solution insoluble N-neutral detergent insoluble N), fraction 3 (neutral detergent insoluble N-acid detergent insoluble N), and fraction 4 (acid detergent insoluble N) were determined. The proportion of fraction 1 in silages tended to decrease, while the in vitro ruminal degradability of insoluble N increased (p<0.05) with lower moisture contents at ensiling. Consequently, nitrogen utilization in sheep tended to improve as the moisture content of ensiled grass was decreased, with a negative correlation (p<0.01) between urinary N and the in vitro ruminal degradability of insoluble N. The averaged N retentions for HM, MM, and LM silage treatments were 59, 73 and 79% of that for fresh forage, respectively.

오차드그라스(Dactylis glomerata L.) 品種들의 刈取에 따른 葉生長과 收量形成 Ⅱ. 오차드그라스 品種들의 生長指數들과 乾物收量과의 關係 (Leaf Growth and Forage Yield in Three Cultivars of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over Cutting Stages II. Relationship between forage yield and growth indices)

  • 이호진;김훈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0-116
    • /
    • 1988
  • 1. 분얼수는 3차 예취기에서가장 많았으며, 이시기까지 계속 증가를 하였지만 가을 예취기에서 급격히 감소했다. 엽면적 지수는 3차 예취기에서 가장 높았으며, 보통 예취직후 서서히 증가를 하다가 15~20일부터 빠르게 증가하였다. 2. 各 예취기 건물수량은 1次와 3次 ~예취가 다른 時期에 比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예취기별 건물중 變化는 葉面積 指數의 變化와 비슷한 樣相을 보이고 있었다. 3. LER은 예취후 20-30일l, SLW는 25-30日, CGR은 25~25日 사이에 最大速度에 도달했다. CGR은 1次 빛 3次 예취기에서 비교적 높았다. NAR은 約 20일 정도에 최대에 도달했는데, 棄乾物 重에는 NAR보다 다른 生長指標들이 더욱 크게 作用함을 알 수 있었다. 4. 乾物收量과 가장 높은 相關은 LAI와 CGR 으로서 각각 0.905와 0.962를 보여 고도의 正의 相關을 나타내였고 LER과 LAI 間에도 正의 相關인정되었다. 收量의 추정에 최적식은 LAI와 CGR을 변수로 사용하여 얻어 졌다. 5. LAI와 CGR 및 收量과의 관계로서 결정한 예취의 適期는 各 예취기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나 32일에서 36일 사이에 존재하였다.

  • PDF

오차드그라스 ( Dactylis glomerata L. ) 품종들의 예취에 따른 엽생장과 수량형성 II. 오차드그라스 품종들의 생장지수들과 건물수량과의 관계 (Leaf Growth and Forage Yield in Three Cultivars of Orchardgrass ( Dactylis glomerata L. ) over Cutting Stages II. Relationship between forage yield and growth indices)

  • 이호진;김훈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10-116
    • /
    • 1988
  • 1. 분얼수는 3차 예취기에서가장 많았으며, 이시기까지 계속 증가를 하였지만 가을 예취기에서 급격히 감소했다. 엽면적 지수는 3차 예취기에서 가장 높았으며, 보통 예취직후 서서히 증가를 하다가 15~20일부터 빠르게 증가하였다. 2. 各 예취기 건물수량은 1次와 3次 ~예취가 다른 時期에 比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예취기별 건물중 變化는 葉面積 指數의 變化와 비슷한 樣相을 보이고 있었다. 3. LER은 예취후 20-30일l, SLW는 25-30日, CGR은 25~25日 사이에 最大速度에 도달했다. CGR은 1次 빛 3次 예취기에서 비교적 높았다. NAR은 約 20일 정도에 최대에 도달했는데, 棄乾物 重에는 NAR보다 다른 生長指標들이 더욱 크게 作用함을 알 수 있었다. 4. 乾物收量과 가장 높은 相關은 LAI와 CGR 으로서 각각 0.905와 0.962를 보여 고도의 正의 相關을 나타내였고 LER과 LAI 間에도 正의 相關인정되었다. 收量의 추정에 최적식은 LAI와 CGR을 변수로 사용하여 얻어 졌다. 5. LAI와 CGR 및 收量과의 관계로서 결정한 예취의 適期는 各 예취기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나 32일에서 36일 사이에 존재하였다.

  • PDF

오차드그라스 신품종 "장벌 102호"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New Orchardgrass(Dactylis glomerata L.) Variety "Jangbeol 102")

  • 임용우;최기준;성병렬;임영철;김맹중;박근제;김기용;이종경;고서봉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7-210
    • /
    • 2003
  • 전국에서 1977년부터 1985년까지 수집된 생태형 오차드그라스 계통들 중 생육특성 및 내재해성이 우수한 5계통을 집단교배하여 생산된 합성종자를 1995년부터 1998년까지 수원에서 생산력 검정시험이 수행되었고, 1999년부터 2002년까지 3년동안 지역적응성 시험으로 수원, 남원, 대관령 및 제주지역에서 생육특성 및 수량성이 조사되었다. 2002년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심의회에서 생육특성과 수량성이 우수한 합성계통을 신품종 "장벌 102호"로 명명하였다. 장벌 102호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장벌 102호의 월동전 및 봄의 초형은 중간형이며, 엽의 색은 농녹이고, 출수기에 지엽의 길이는 길으며, 상부절간장의 길이도 길고 풍엽성이 양호하다. 출수기는 5월 11일로 표준품종 Ambassador 5월 12일보다 1일이 빨랐으며, 출수기 초장은 88cm로서 Ambassador와 같았다. 내한성은 장벌 102호가 Ambassador에 비하여 약간 강하였으며, 도복은 장벌 102호와 Ambassador가 비슷하였고, 재생력은 장벌 102호가 Ambassador에 비하여 우수하였으며, 엽부병 및 녹병은 장벌 102호가 Ambassador에 비하여 강한 편이었다. 장벌 102호의 ha당 건물수량은 13,430kg으로 Ambassador보다 18% 많았고, 모든지역에서 증수되었다. 장벌 102호의 사료 품질특성은 Ambassador와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장벌 102호는 재생력이 강한 조생 계통으로 내성, 내도복, 특히 내병성이 강한 청예, 건물 다수성 품종으로 초지 조사료 생산을 위한 예취용으로 적합한 품종이다. 적합한 품종이다.

Evaluation of Structural Carbohydrates Losses and Digestibility in Alfalfa and Orchardgrass during Ensiling 1

  • Yahaya, M.S.;Kimura, A.;Harai, J.;Nguyen, H.V.;Kawai, M.;Takahashi, J.;Matsuoka,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2호
    • /
    • pp.1701-1704
    • /
    • 2001
  •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carbohydrate losses and its effect on silages digestibility in alfalfa (Medicago sativa L.) and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was studied during 5, 21 and 56 days ensiling. About 70 and 60 kg fresh matter of the two forages were ensiled in 9 silos of 120 L capacity. The digestion trials were conducted in two phases using the two grasses in two $4{\times}4$ Latin square design according to the four treatments being the grass and the three silag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DM and CP contents resulting from 5 to 56 days ensiling in both forages. The water-soluble carbohydrates (WSC), hemicelllose, pectin, and energy were slightly reduced and appeared lower in 56 days silage. The ether extract and cellulose contents slightly increased as the ensiling process advanced in the two species. Hemicellulose losses of 29 and 41 g/kg DM were obtained in alfalfa and orchardgrass, respectively, 56 days after ensiling. While the cellulose losses in both species were very little, compared to that for hemicellulose, the pectin losses, 56 days after ensiling were 15 and 12 g/kg DM in alfalfa and orchardgras respectively. The total structural carbohydrates lost (ie., hemicellulose + cellulose + pectin) in g/kg DM of fresh material forage ensiled, is about four fifths the amount lost by WSC, in alfalfa and about two thirds, in orchardgrass, by 21 days ensiling after the activity of microorganism terminated, indicating that appreciable amount was used as substrate for silage fermentation. Ensiling alfalfa and orchardgrass for 0, 5, 21 and 56 days maintained a decreasing trend of 83.8, 82.5, 79.3 and 78.9% digestibility in alfalfa and 80.5, 77.0, 77.1 and 76.4% digestibility in orchardgrass. While the digestibility of cellulose and ether extract increased in silage in both species, the digestible energy values in silage were reduced from 2.6 to 2.3 and 2.9 to 2.7 Mcal/kg DM respectively in alfalfa and orchard during 5-56 days ensiling.

파종시기가 오차드그라스의 생육특성 및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Tim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 Productivity of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 최기준;정의수;임용우;임영철;김기용;성병렬;김맹중;박근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1-106
    • /
    • 2003
  • 본 연구는 오차드그라스 종자생산을 위한 적정 파종시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축산기술연구소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실시되었다. 공시품종은 국내에서 육성한 오차드그라스 "합성2호"로 하였다. 처리내용은 파종시기로 8월 10, 20, 30일과 9월 10, 20, 30일에 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하였다. 정착상태는 8월 10일 파종에서는 늦 장마로 인하여 유모의 정착이 불량하였다. 수량구성요소 중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8월 20일 파종에서 $265/\textrm{m}^2$로 가장 많았고, 파종기가 늦을수록 이삭수가 줄었으며, 9월 20일 이후 파종은 출수경이 거의 없었다. 수량구성요소들은 8월 20일 파종 이후부터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점차 불량하였다. 그에 따라서 종자수량도 8월 20일 파종에서 759kg/ha로 가장 많았고, 파종이 늦어질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적으로 감소하였다.

칼륨 시용에 따른 목초중 마그네슘함량의 계절변화 (Response of Magnesium Content of Forages to potassium Application in grassland)

  • Sangdeog A. Kim;Shigekata Yoshida;Mitsuaki Ohshima;Ryosei Kayama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5-111
    • /
    • 1993
  • 봄철에 자라는 목초를 다른 계절의 목초와 비교하면 어떤 특성이 있는지, 또 그 시기의 칼룸질 비료의 시용이 목초의 수분 또는 마그네슘 함량에 어떤 영향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오차드그라스 (Dacctylis glomerala L.) 채초지에서 시험했는데, 그 결과는 칼륨 시용에 따른 무기질과 수분함량에 계절차이가 뚜렷하다는 것이었다 본 시험에서 봄철 (4월)에 생육하는 목초의 무기질함량은 다른 계절보다 큰 변화를 나타냈으며, 칼륨함량은 높고 마그네슘함량은 가장 낮았다. 또한 봄찰 목초의 수분함량은 높았으며, 칼륨 시용에 의해 민감한 변화를 보였다.

  • PDF

종자피복이 겉뿌림 목초의 정착과 초기 생육에 미치는 영향 (Seed Coating Effect on Establishment and Early Growth of Over Sown Pasture Species)

  • 김종관;권찬호;한건준;민두홍;김종덕;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1-66
    • /
    • 2000
  • 본 시험은 1998년 충남 성환에 있는 천원목장의 불경운초지 및 임간초지에 선점식생을 제거하지 않고 피복종자를 겉뿌림하였을 때 목초의 정착 및 초기생육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불경운초지에서 tall fescue 및 orchardgrass 피복종자의 정착률 및 초기생육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불경운에서 alfalfa 피복종자는 정착률과 초기생육이 각각 4.7% 및 $4\;g/\textrm{m}^2$로 부처리에 비하여 높았다 (p<0.05). 한편 임간초지에서 tall fescue 피복종자의 정착률은 11.8%로 무처리의 0.3% 보다 높았으나 (p<0.05), 초기생육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임간초지에서 orchardgrass 피복종자의 처리간에 정착률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초기생육은 피복종자가 18.7%로 무처리의 0.3% 보다 높았다 (p<0.05). 임간초지에서 alfalfa 피복종자의 정착률은 무처리보다 높았다 (p<0.05).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tall fescue, orchardgrass 및 alfalfa 종자를 피복하여 불경운 초지 및 임간 초지에 겉뿌림시 정착률과 초기생육이 개선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 PDF

Methane Emission, Nutrient Digestibility, Energy Metabolism and Blood Metabolites in Dairy Cows Fed Silages with and without Galacto-oligosaccharides Supplementation

  • Santoso, B.;Kume, S.;Nonaka, K.;Kimura, K.;Mizukoshi, H.;Gamo, Y.;Takahashi, 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4호
    • /
    • pp.534-540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galacto-oligosaccharides (GOS) on methane emission, nutrient digestibility, energy utilization and blood metabolites by Holstein cows fed silages. In two sequential digestion and respiratory trials, two non-lactating Holstein cows were arranged to a balanced incomplete block design. Experimental diets consisted of two silage types;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based silage (OS), mixed silage (orchardgrass based silage and alfalfa (Medicago sativa L.) silage) (MS), while two GOS levels were without supplementation (0) and 2% of dry matter intake supplementation (2). Four combination diets were OS-0, OS-2, MS-0 and MS-2. Significant effects of silage types and GOS supplementation levels were not observed for DM and OM intake. Whereas the digestibility of OM, NDF and ADF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cows fed OS with and without GOS compared cows fed MS diets. As percentage of GE intake, fecal energy loss for OS diets was significantly (p<0.05) declined than for MS diets. In contrast, cows fed MS diets had lower (p<0.05) urine energy loss as a proportion of GE intake compared to OS diets. Energy loss as CH4 and heat production was numerically increased when cows fed both OS and MS with GOS supplementation. Compared to OS, CH4 emission in cows fed MS was numerically decreased by 10.8 %. Methane conversion ratio (energy loss as CH4 per unit of GE intake) for OS-0, OS-2, MS-0 and MS-2 were 7.1, 7.2, 6.8 and 7.0, respectively. Plasma of glucose and urea-N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p<0.05) elevated from 1 h to 6 h after feeding, otherwise total protein in plasma was declined (p<0.01) at 6 after fee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