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chard soil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4초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an 'Arisoo' apple orchard with a shading net system

  • Jingi, Yoo;Nay Myo, Win;In-Kyu, Ka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3호
    • /
    • pp.561-570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planting environment and growing conditions of 'Arisoo' apple trees under shading net treatments. Apple tree canopies were fully covered with Blue (blue color net, mesh size: 4 mm × 5 mm), Black-A (black color net, mesh size: 4 mm × 5 mm), Black-B (black color net, mesh size: 5 mm × 6 mm), and uncovered trees were used as the control. Inside the tree canopies, the illuminance was observed as 100% (85.0 Klux) in the control, but it decreased to 75% (64.3 Klux) in the Blue, 73% (63.0 Klux) in the Black-A, and 77% (65.9 Klux) in the Black-B nets, respectively. The solar irradiance was observed as 755 w·m-3 in the control, but it was decreased to 715 w·m-3 in the Blue, 624 w·m-3 in the Black-A, and 647 w·m-3 in the Black-B nets, respectively. The average daily temperature was observed to be the highest in the Black-A net (31.8℃) while it was observed to be around 30.0℃ in the control, Blue, and Black-B nets. In addition, the average fruit surface temperature was observed to be the highest (39.4℃) in the control, but it was decreased to 38.1℃ in the Blue, 37.3℃ in the Black-A, and 39.0℃ in the Black-B nets. However, the average soil temperature, the shoot growth rate, and leaf SPAD values were not different in all the treatments. Fruit sunburn disorders were the highest in the control while it was observed to be lower in the fruits from trees covered with the shading nets. However, at harvest, the fruit quality parameters were not different in all the treatments. Overall,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pple trees covered with the shading nets reduced the illuminance, solar irradiance, fruit surface temperature, and fruit sunburn disorders. However, the shading nets did not affect tree growth and apple fruit quality.

토사유실 원인지역 검토를 위한 SPOT 5 위성영상과 토지피복도의 활용 (Application of SPOT 5 Satellite Image and Landcover Map for the examination of Soil Erosion Source Area)

  • 이근상;박진혁;황의호;고덕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11호
    • /
    • pp.927-935
    • /
    • 2005
  • 강우에 따른 토사유실은 호소내 저수용량 감소 및 탁수 등의 수질오염을 유발하기 때문에 유역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인자가 된다. 최근 GIS를 활용한 토사유실평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토사유실 원인지역에 대한 검토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 기반 토사유실모델을 활용하여 임하호 유역의 토사유실량을 산정하였으며, SPOT 5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토지피복도 자료를 활용하여 토사유실원인지역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토사유실이 높게 나타나는 지역의 대부분이 밭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위치를 영상에서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성영상에서 경계를 확인하기 곤란했던 밭과 과수원이 공통으로 나타나는 지역은 현장확인을 통해 그 적정성을 검토할 수 있었다.

한국 밭토양 화학성 변동 평가 (Status and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 from 2001 to 2017 in Korea)

  • 김이현;공명석;이은진;이태구;정구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13-218
    • /
    • 2019
  • BACKGROUND: Monitoring of the dynamic changes of chemical properties in agricultural land is very important for agricultural sustainability. Chemical properties of agricultural soils in Korea have been investigated at four-year interval in the order of paddy, plastic film house, upland, and orchard soils since 1999. METHODS AND RESULTS: Total 8,160 topsoil samples were taken from the upland in 2001, 2005, 2009, 2013, and 2017, respectively. Soil chemical properties such as pH, electrical conductivity (EC), organic matter (OM), available phosphate (Avail. $P_2O_5$), and exchangeable (Exch.) cations (K, Ca, and Mg) were analyzed. Soil pH and Exch. Ca contents have increased since 2001. Average concentration of Avail. $P_2O_5$ increased from $547mg\;kg^{-1}$ in 2001 to $657mg\;kg^{-1}$ in 2017. Average concentration of Exch. Ca in 2017 was higher than the upper limit of its optimal range for upland cultivation. Excess and deficiency of 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s comply with soil analysis and fertilizer prescription.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excessive nutrient in upland needed to be properly managed with soil test.

사과원토양(園土壤)의 일반이화학적성질(一般理化學的性質)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Survey on the General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pple Orchard Soils)

  • 이만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05-211
    • /
    • 1973
  • 화강암(花崗岩), 화강섬녹암(花崗閃綠岩), 섬녹암(閃綠岩), Arkose 질사암(質砂岩) 및 Tertiary 혈암(頁岩)등에 유래(由來)된 사과원(園) 11개처(個處)에서 층위별(層位別)로 토양(土壤)을 채취(採取)하여 그 리화학적성질(理化學的性質)을 조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一般的)으로 토성(土性)은 사질(砂質)이고 pH($H_2O$)는 4.35~6.75로서 약산성(弱酸性) 내지(乃至) 중성(中性)이고, 표토(表土)의 부식함량(腐植含量)은 1.14~5.58%, 질소(窒素)는 0.065~0.209%이나 하층(下層)으로 내려갈수록 감소(減少)하고 있다. 2. 표토(表土)의 치환성염기함량(置換性鹽基含量)은 4.89~17.81me/100g로서 비교적(比較的) 적고(Ca>Mg>K>Na).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은 7.74~21.72me/100g 범위(範圍)이며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는 22.52~94.62% 범위이다. 3. 표토(表土)의 인산(燐酸)은 35.5mg/100g 이하(以下)로서 매우 적고, 가리(加里)(79.2~7.2mg/100g), 유효태동 (有效態銅 )(1.0~16.9ppm), 수용성붕소(水溶性硼素)(0.18~0.72ppm) 등은 표토(表土)에 많고 하층(下層)으로 내려갈수록 감소(減少)되었으며 망간은 pH 에 따라 그 함량(含量)의 차이(差異)를 볼 수 있었든바 pH 4~6에서는 수용성(水溶性)망간이 0.42~17.8ppm. 치환성(置換性)망간이 9.82~66.83ppm이나 PH 6이상(以上) 되는 곳에서는 수용성(水溶性)망간이 0.70ppm 이하(以下), 그리고 치환성(置換性)망간이 22.25ppm 이하(以下)로서 현저히 적었다.

  • PDF

A new record of Hypoaspis sardous (Canestrini, 1884) (Acari: Mesostigmata: Laelapidae) from Korea

  • Keum, Eunsun;Kaczmarek, Slawomir;Jung, Chuleui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5권3호
    • /
    • pp.477-482
    • /
    • 2016
  • Mite of the genus Hypoaspis of family Laelapidae are free-living soil predators mostly observed on the open grass field. Five species in the genus Hypoaspis were listed in Korean Catalog (NIBR, 2013) without detail information. Recent series of soil acarine biodiversity survey in Gyeongbuk and Gangwon provinces during 2009-2015 recovered a new record of Hypoaspis sardous (Canestrini, 1884) to Korean inventory from apple orchard and riparian grass land. Detailed description and morphological comparison with the related species, H. aculeifer which is well known biological control agent of horticultural crop pests were provided with identification keys.

제주도 감귤원의 절지동물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rthropod Community Structure at Tangerine Orchard in Cheju Island)

  • 김주필;이성무;강상호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8-55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rthropod fauna at tangerine orchards in Cheju-do island. To fulfil this purpose, samples were taken at 21 areas from the Cheju-do island 1985 to 1989. During this period, 33 species were identified, thus making 217 species, 99 genera, 31 families of spiders recorded from this island, In tangerine orchards alone, 26 species of spiders were found.

  • PDF

온산공단(溫山工團)주변토양의 중금속(重金屬) 농도조사 (A Survey on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Soil Samples around Onsan Industrial Complex)

  • 이서래;송기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8-94
    • /
    • 1985
  • 온산(溫山)공업단지 조성(造成)에 따른 토양(土壤)의 오염(汚染)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978년 3월부터 1979년 5월말까지 수차에 걸쳐 공업단지 주변의 전답(田畓), 과수원 및 야산(野山)의 토양시료에 대하여 중금속 원소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농경지통양 46개지점의 중금속 농도(풍건물(風乾物) 기준)는 비소 흔적${\sim}9.3ppm$, 카드뮴 흔적${\sim}$0.6 ppm, 구리4${\sim}$22ppm, 수은 흔적${\sim}$0.37ppm, 납 6${\sim}$43ppm, 아연 27${\sim}$93ppm으로서 전국(全國) 논토양의 분석치와 비교할 때 중금속의 오염은 전혀 인정할 수 없었다. 2) 중금속 함량을 논, 밭, 과수원의 토양별로 비교한 결과 As, Cd, Cu, Zn은 토양에 따라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나 Hg, Pb는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다. 공단내(工團內) 리단위(里單位)지역에 따른 중금속 함량을 비교한 결과 As, Cd, Hg는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나 Cu, Pb, Zn은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다. 3) 금속제련소 인접지역에서는 아연제련소(亞鉛製鍊所)의 시운전(試運轉)중 사고에 의하여 Cd, Pb, Zn으로 오염(汚染)된 지점이 여러곳 관찰되었으나 정상가동(正常稼動)에 들어간 이후에는 오염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았다.

  • PDF

콩가루벌레 (Aphanostigma iakusuiense)에 관한 연구 (I) 방제시험을 중심으로 (Studies on Pear Phylloxera (Aphanostigma iakusuiense Kishida) (1) On the Control Methods)

  • 윤주경;이돈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09-216
    • /
    • 1974
  • 1974년 4월부터 11월사이에 전남 나주 과수원지대에서 발생되고 있는 콩가루벌레의 생활습성과 방제시험을 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월동란의 부위를 보면 지상 1.5-2.0m에다 $60\%$ 이상을 산란하며 0.5m나 2.5m는 각각 $10\%$내이 이었다. 2. 만삼길과 국수의 란괴와 부화율은 $13.7-12.97\%$로 품종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3. 부화율을 보면 4월 6일까지는 전혀 부화하지 않았으나 4월 13일에 $12.8\%$, 5월 4일에는 $90.6\%$의 부화를 하였다. 4. 초춘부화시기를 전후하여 8종의 농약을 살포한바 C8514, Metasystox, Acar338, Parathion이 Sevin이나 Malix보다 우수하였다. 5. 8월 20일부터 9월 20일사이에 콩가루벌레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는데 그때에 란이나 약충이 비슷하게 발생하고 있었다. 6. 봉지로 침입한 후 약제시험을 한 바 DDVP, Loxoun, C8514, Acar338, Sevin, Binapacryl이 EPN, Otran보다 우수하였다. 7. 천적으로는 포식성응애 (Protolaelaps pygmaeus Muller)와 애남생이 무당벌레를 채집하였다. 포식성응애의 기생율은 지역에 따라서 다른데 비아과원지대에서는 $0.77-18.04\%$, 노안과원에서는 $7.88-48.71\%$의 높은 기생율을 보인 반면 영산포과원에서는 거의 기생하지 않았다. 8. 품종간에 피해과를 보면 조생적>국수>만삼길>금촌추>장심랑순이었다.

  • PDF

토지이용별 전국 농경지 토양물리적 특성 (Soil Physical Properties of Arable Land by Land Use Across the Country)

  • 조희래;장용선;한경화;조현준;유진희;정기열;조광래;노안성;임수정;최승출;이진일;이원근;안병구;김병호;김찬용;박준홍;현승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44-352
    • /
    • 2012
  • 시설재배지는 주로 하성평탄지 등 평평한 지형에 분포하며, 밭과 과수원은 곡간 및 선상지, 구릉지 및 산악지, 산록경사지 등 경사지에 분포한다. 논은 곡간 및 선상지, 하성평탄지, 하해혼성평탄지 등 비교적 완만한 경사에 위치한다. 이처럼 토지이용별로 분포하는 지형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토지이용별로 물리성 기준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설재배지는 배수 및 양수분의 수직이동에 유의하여야 하며, 경사지는 침식과 양분유출에 대비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토지이용별로 토양 물리성 평균은 다음과 같다. 시설재배지는 표토심이 16.2 cm, 표토에 대한 물리성은 항목별로 경도 9.0 mm, 용적밀도 1.09 Mg $m^{-3}$, 유기물함량 29.0 g $kg^{-1}$, 심토에 대한 물리성은 항목별로 경도 19.8 mm, 용적 밀도 1.32 Mg $m^{-3}$, 유기물함량 29.5 g $kg^{-1}$ 이었다. 뿌리가 얕게 뻗는 작물에 대해서 표토심이 낮고 용적밀도가 높은 값을 보였다. 밭은 표토심이 13.3 cm, 표토에 대한 물리성 은 항목별로 경도 11.3 mm, 용적밀도 1.33 Mg $m^{-3}$, 유기물 함량 20.6 g $kg^{-1}$ (표토), 심토에 대한 물리성은 항목별로 경도 18.8 mm, 용적밀도 1.52 Mg $m^{-3}$, 유기물함량 13.0 g $kg^{-1}$ 이었다. 작물별로 물리성 평균치는 엽채류 < 과채류 < 장근채 ${\fallingdotseq}$ 단근채 순으로 값을 보였다. 과수원은 표토심이 15.4 cm, 표토에 대한 물리성은 경도 16.1 mm, 용적밀도 1.25 Mg $m^{-3}$, 유기물함량은 표토 28.5 g $kg^{-1}$, 심토에 대한 물리성은 경도 19.8 mm, 용적밀도 1.41 Mg $m^{-3}$, 유기물함량 15.9 g $kg^{-1}$ 이었다. 조사지점이 가장 많았던 과수 배는 표토심 14.4 cm, 경도 16.4 mm (표토), 19.7 mm (심토), 용적밀도 1.23 Mg $m^{-3}$ (표토), 1.40 Mg $m^{-3}$ (심토) 으로 평균에 근접한 값을 보였으며, 포도는 표토심 17.0 cm 경도 16.7 mm (표토), 20.0 mm (심토), 용적밀도 1.31 Mg $m^{-3}$ (표토), 1.45 Mg $m^{-3}$ (심토) 로 비교적 큰 값을 보였다. 논은 표토심 이 17.5 cm, 표토에 대한 물리성은 항목별로 경도가 15.3 mm, 용적밀도가 1.22 Mg $m^{-3}$, 유기물 함량은 23.5 g $kg^{-1}$, 심토에 대한 물리성은 항목별로 경도 20.3 mm, 용적밀도 1.47 Mg $m^{-3}$, 유기물 함량 17.5 g $kg^{-1}$ 이었다. 토지이용별로 용적밀도 평균치는 시설재배지 < 논 < 과수원 < 밭 순이었으며, 용적밀도 값의 분포는 표토는 1.0~1.25 Mg $m^{-3}$에서 가장 많았으며, 심토는 밭토양과 논토양은 1.50 Mg $m^{-3}$ 이상에서 50% 내외, 과수원토양은 1.35~1.50 Mg $m^{-3}$에서 40%로 가장 많았고, 시설재배지는 1.0~1.50 Mg $m^{-3}$에 고루 분포하였다. 토성 (속)별로는 대체로 식질에서 작은 값을 보였고, 미사식양질과 사질에 큰 값을 보였다. 토지이용과 토성에 따라 물리성 차이가 분명하였으며,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토양 물리성 관리 기준을 설정하여 건전한 작물생육 환경을 유지하고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밭에의 토양수분 소비기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chanism of Consumed Water in tne Farm Land)

  • 류능환;민병섭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55-3571
    • /
    • 1974
  • This experiment of which aim contribute to plan irrigation system so as to increase forage crop yields, was conducted to estimate evapotranspiration amount of forage crops and to find out system of consumed water in a pasture-ground. The results obtain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general weather conditions which, were closely related to the evapotrannpiration of forage crops were nearly same as those of the average year with the exception that temperature of May and June were slightly low. 2.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potential evapotranspirations (P.E) or forage crops and its changes during growing periods, changes of tenday P.E. were high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harvesting period. P.E of Alfalfa of which yield was the largest was the biggest. Althrough the correlations between P.E. and meteorological factors were irregular oming to three-time harvesting, correlation between ten-day evapotraspiration amount and copper plated pan evaporation or solar radiation was high positive significant. 4. Predicting formulas of P.E. were led by weather factors, and also relatione between P.E. and weather factors were showed as figure. from the these formulas, P.E. may be calculated by weather factors. 5. Predicting formulas of P.E. were led by mean temperature and copper plated pan evaporation, and by mean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As computed values and measured values showed in figure, these formulas were high signiflent. 6. In the total consumed soil water duration of 10 days which, was non-rain period from 12th to 21th of August, Alfalfa was the largest 48.1mm, second, Orchard grass 40.1mm and Fescue 37.6mm, and Ladino clover was the smallest 37.1mm, also, order of each forage crop yield amound. was same to the abov. Order of soil moisture extraction rate of soil layer of all the for forage crops dulation of ten-day was soil layer 1 which was largest, soil layer 2, 3, and 4 Reviewing the the first five-day and the second five day, in the first five-day, order of that of all the forage crops was same to the above, but in the second five-day, that of soil layer 2 or 3 was more than the of soil layer 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