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ealth symptoms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2초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섭식장애: 문헌 고찰 (Feeding Disorders in Autistic Spectrum Disorders)

  • 민경철;신진용;김은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79-102
    • /
    • 2023
  • 목적 :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tic Spectrum Disorders, 이하 ASD)는 비전형적 감각 적응, 의사소통 문제, 상동 행동 등이 특징인 발달 장애로 섭식장애가 흔하게 동반된다. ASD 아동의 섭식장애는 감각, 구강운동, 행동, 인지, 사회성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주요 증상으로는 까다로운 먹기, 선택적 먹기, 음식 거부, 새로운 음식 거부, 음식 다양성 제한, 음식 혐오 등 다양하다. 또한 건강 및 영양 섭취 문제, 섭식 발달, 섭식 관련 사회성, 가족과 보호자의 스트레스 등 다양한 문제가 동반되기도 한다. ASD 아동의 섭식장애는 출생 후부터 나타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진단이 이루어지는 3세 이전에 발생하기 때문에 적절한 중재 제공 전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 보통 섭식장애 증상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이 있으나 증상 자체는 남아 있는 경우가 많아서 조기 평가 및 중재, 지속적인 확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ASD 아동의 섭식장애 특성과 영향을 주는 요인, 중재법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문헌 고찰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론 : ASD 아동의 섭식장애 중재로는 감각 기반 중재와 행동 기반 중재가 일반적이다. 감각 기반 중재는 음식 민감성, 행동 기반 중재는 음식 선택성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또한 ASD 아동의 섭식장애 증상이 다양한 만큼 감각 및 행동 기반 중재를 기본으로 놀이와 참여, 구강운동, 식이와 일상생활까지 포함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 ASD 아동의 섭식장애 중재를 위한 적절한 평가와 중재 프로토콜 및 가이드라인이 부족한 상황으로 보다 체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 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작업치료사 등 연하재활 전문가는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ASD 아동의 섭식장애 해결을 위한 적절한 평가 및 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성인에서 구취인식도의 관련요인 분석 (Self-Reported Halitosis and the Associated Factors in Adults)

  • 이미라;최준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2-150
    • /
    • 2013
  • 본 연구는 구취인식도와의 관련요인을 분석하고자 2010년 1월 7일부터 3월 14일까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35세 이상에서 65세 미만의 성인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구취인식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성별 등의 요인에 따라 구취인식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취인식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구강건강상태가 좋지 않고, 보철치아가 있으며, 치주질환과 구강건조 증상을 인식한 집단에서 구취를 인식한 자가 더 많았다(p<0.05). 3. 건강행동 및 식습관과 구취인식도를 분석한 결과 하루 중 칫솔질 횟수가 2회 이하이고 간식 후 칫솔질을 시행하지 않으며 단 음식을 자주 섭취하는 집단에서 구취를 인식한 자가 더 많았다(p<0.05). 4. OHIP-14와 구취인식도를 분석한 결과, 삶의 질이 낮으며, 불편이나 통증 및 각종 능력저하를 많이 경험한 집단에서 구취를 인식한 자가 더 많았다(p<0.05). 또한 전반적으로 삶의 질이 낮은 집단에서 구취를 인식한 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구취인식도는 치주질환과 구강건조증상, 구강위생관리행동 및 삶의 질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치주질환 및 구강건조를 예방하고 구강위생관리행동의 강화는 구취를 예방하고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13-18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Dental Fear Survey 척도를 이용한 치과공포도 및 그 관련요인 분석 (ANALYSIS OF DENTAL FEAR AND ITS RELATED FACTORS USING DENTAL FEAR SURVEY AMONG 13 TO 18 YEAR OLDS)

  • 최준선;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8-126
    • /
    • 2008
  • 치과공포는 치과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방해요인 중 하나로, 정기구강검진이나 반드시 받아야 하는 치료를 피하게 만들어 구강건강상태를 악화시키며, 많은 치과의료인력에서 환자의 행동을 조절하는데 실패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치과공포는 구강건강증진과 진료 효율성 측면에서 중요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이에 저자는 만13세 이상 18세 이하인 청소년 총 313명을 대상으로 Dental Fear Survey 척도를 이용하여 치과공포도를 측정하였고, 치과공포와의 관련된 요인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응답자의 치과공포도는 구강건강상태가 좋은 선진국과 비교할 때 높은 수준이었다. 2. 진료동안 가장 강하게 경험한 생리적 반응은 '근육긴장'이었고, 치과공포를 유발하는 주된 자극요인은 '마취주사기'와 '치아삭제용 드릴'로 나타났다. 3. 치과공포도가 높을수록 치과의료서비스 이용 횟수가 적었고, 정기구강검진을 시행하지 않았으며, 자가 인지한 구강병 증상도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치과공포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접통증경험과 치과의사에 대한 신뢰도로 나타났다.

  • PDF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치주건강 관련요인 분석연구 (Analysis of periodontal health related factors by using data mining method)

  • 박희정;이준협;김태일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5-26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elf-reported symptoms of periodontal diseases. We perform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periodontal health related factors. Methods: 581 volunteers representing a broad range of age from 20 to 65 were recruited from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They participated in a self-administered survey of which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the decision tree analysis using the data mining program. Results: 67%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bad breath,' whereas 13.9% of participants reported 'toothache'. The decision analysis revealed that age was the most determining factor of adult periodontal health. Participants in 20s with a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ir periodontal health status exhibited a low vulnerability to periodontal diseases, whereas those lacking the awareness were more susceptible to the diseases. However, other participants in 30s and older showed a higher vulnerability to periodontal illness than those in 20s, whether or not they had suffered from chronic diseases. Conclusions: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periodontal diseases, an age-appropriate clinical approach will be necessary. For the younger age group it will be crucial to enhance the self-awareness of their current oral health status. On the other hand, those in 30s and older will need to pay a close attention to the prevention of chronic periodontal disease.

  • PDF

목재 가공업소에서의 Formaldehyde폭로 (Formaldehyde Exposure in the Plywood Manufacturing Factory)

  • 하명화;김두희;임현술;박상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4권1호
    • /
    • pp.37-44
    • /
    • 1991
  • Formaldehyde가 주성분인 접착제를 사용하는 목재 가공업소에서 특히 접착부서에 48개월 이상 근무했던 3명의 여자근로자들이 눈, 비강, 구강, 인후 및 피부의 자극증상과 호흡곤란등의 증상을 호소하였다. 이에 목재 가공업소 전 근로자 2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자각증상 여부를 확인하고 흉부 X-선 촬영, 폐기능 검사, 심전도, 동맥혈 포화도 검사 및 혈색소 검사등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접착부서 근무자중 장기 노출자인 환자군과 단기 노출자인 비환자군과 비교시에 냄새를 잘 못 맡으며 입안에 물집이 생기고 혀가 갈라지고 맛을 잘 모르며 목이 쉬는 증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2. 접착부서 근무자중 환자군과 전체 비폭로군과 비교시에는 냄새를 잘 못 맡고 입안에 물집이 생기며 혀가 갈라지고 맛을 잘 모르며 목이 잘 쉬고 인후통이 오며 가슴이 답답하고, 피부 자극증상과 정신이 멍해진다는 증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p<0.05). 3. 환자군과 비폭로군의 여자군과만 비교한 경우에는 냄새를 잘 못 맡고, 혀가 갈라지며, 맛을 잘 모르고 목이 쉬며 인후통이 있고 피부자극 증상과 정신이 멍해진다는 증상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4. 폐기능 검사의 결과는 환자군에서 노력성 폐활량(FVC)과 일초량 ($FEV_1$)의 감소를 보였다(P>0.05). 5. 전 근로자들에게서 흉부X-선 촬영, 심전도, 동맥혈 포화도 검사등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빈혈 양상을 보였으나 폭로 여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접착 부서 근로자들이 증상을 호소해서부터 임시검진과 작업장 환경 측정을 실시하고 정밀검사를 완료하기까지의 과정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못했던 것은 폭로 작업장 근로자들의 문제점을 더욱 정확히 파악하고 건강을 보호 관리한다는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연구 수행에 많은 제한점이 있었으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목재 가공업소에서는 복합적인 유해물질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특히 formaldehyde 폭로에 인한 눈, 비강, 구강, 인후와 피부의 자극증상과 호흡곤란 및 폐기능의 저하가 문제시 되므로 폭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특별한 생물학적 감시 방법이 없어 증상에 의존하여 중독 여부를 파악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폭로 근로자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작업장 환경측정등을 통한 폭로 감시를 더욱 철저히 하여야겠다. 또한 최근에 들어와서는 formaldehyde가 발암물질이라는 논쟁이 끊임없이 되고있으므로 폭로 근로자들에 대한 예방대책과 이에 따른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임상가를 위한 특집 2 -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의학적 및 치의학적 관점에서- (How to Diagnose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From The Viewpoint of Medical and Dental Features)

  • 어규식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3호
    • /
    • pp.184-189
    • /
    • 2010
  • Snoring is a very common sleep disorder. Approximate 20~30 percent of population and 40~60 percent of middle and old age population are reported to have symptoms of snoring. Snoring patients do not frequently recognize snoring until spouse or colleague has noticed. Hence, for most people snoring has been not a serious health issue but one of bad sleeping habits. However, it recently draws social attention because most patients with diagnosed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cased by obstruction of the upper airway are reported snoring. In this point, the author attempts to review the clinical aspects and treatments about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n the medical and dental perspective.

The relationship between radiological features and clinical manifestation and dental expenses of keratocystic odontogenic tumor

  • Min, Jung-Hyun;Huh, Kyung-Hoe;Heo, Min-Suk;Choi, Soon-Chul;Yi, Won-Jin;Lee, Sam-Sun;Bae, Kwang-Hak;Choi, Jin-Woo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3권2호
    • /
    • pp.91-98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correlations between keratocystic odontogenic tumor (KCOT) data from CT sections, and data on the KCOT clinical manifestation and resulting dental expenses. Materials and Methods: Following local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approval, a seven-years of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regarding patients with KCOTs treated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A total of 180 KCO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information was collected: age, gender, location and size of the lesion, radiological features, surgical treatment provided and dental expense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size of the KCOT and age, gender, and presenting preoperative symptoms. In both jaws, it was unusual to find KCOTs under 10 m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eeth removed and the size of the KCOT in the tooth bearing are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mandible, whereas in the maxilla,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Dental expenses compared with the size of the KCO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both jaws. Conclusion: The size of KCOT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 increase in dental expenses for both jaws and the number of teeth removed from the mandible.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outine examinations and early detection of lesions, which in turn helps preserving anatomical structures and reducing dental expenses.

악하선 절제술의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SUBMANDIBULAR GLAND EXCISION)

  • 정인교;김종렬;김욱규;신상훈;김용덕;변준호;박봉욱;장원석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0권6호
    • /
    • pp.545-550
    • /
    • 2004
  • Salivary glands, major and minor, are susceptible to a wide variety of pathologic conditions. Excision of the submandibular gland is a surgical procedure often undertaken. The procedure i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patients with neoplasm of the submandibular gland and those with non-neoplastic submandibular disorders which are not controlled with conservative medical measures. Extirpation of the submandibular gland may also be undertaken for diagnostic purposes. We evaluated 84 patients who had been admitted to the dep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9 to December, 2002 and had been performed submandibular gland exci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patients undertaken the excision of the submandibular gland showed an age range of 16 to 71 years. The average was 49.1. 2. They consisted of 60 males(71.4%) and 24 females(28.6%), having 2.5 : 1 of genda ratio. 3. The most common symptom was swelling in 41 cases(48.8%), followed by the pain in 23 cases(27.4%). Other symptoms included mass, dysphagia, facial abnormaly and neck dyscinesia. 4. 42 cases(50.0%) showed sialadenitis and sialodochitis associated with salivary calculus. 5. According to the histopathologic study, all cases consisted of 17 neoplasmatic conditions(20.3%) and 67 non-neoplasmatic(79.7%). The neoplasmatic cases included 13 benign tumors and 4 primary malignant tumors. Sialadenitis and sialodochitis associated with or without salivary calculus were most marked, found in 50 cases(59.3%), in the non-neoplasmatic conditions. Pleoomorphic adenoma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the benign tumor.

일부지역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턱관절장애 자각증상 및 관련요인 (Self-report symptoms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related factors in the high school third grade students)

  • 조명숙;이승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853-862
    • /
    • 2011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mber of self-report symptoms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 and related factors in the third grade students of high school. Methods : A total of 1,043 high school the 3rd students age 16 20 completed a questionnaire from 11 high schools in Andong city from April to June 2010. Student's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MD numb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MD number. Results : 1. Students who have one TMD were 71.3%, two 41.7% and over three 25.7%, respectively. 2. The number of TMD symptom of students who have no good habits such as clenching, bite lip and cheeks, resting on hand, chewing gum, hard foods, and unilateral chewing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than those who doesn't have ones(p=0.00). 3. TMD number of students who have been under more stress was a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didn't have been(p=0.00). 4. Bite lip and cheek(${\beta}$=0.03, p=0.037), chewing gum(${\beta}$=0.03, p=0.029), resting on hand(${\beta}$=0.04, p=0.006), hard foods(${\beta}$=0.07, p=0.000), and stress out(${\beta}$=-0.03, p=0.018)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MD number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s : Variables associated with TMD were bite lip and cheek, chewing gum, resting on hand, hard foods, and stress out factor. According to our findings, it is so important to teach good habits on oral health to the 3rd grade students in high school. Further prospective study should explore cause of TDM from those variables.

뇌성마비 환자의 지연맹출을 동반한 다발성 과백악질증 : 증례보고 (GENERALIZED HYPERCEMENTOSIS WITH ARRESTED DENTAL ERUPTION IN A CEREBRAL PALSY PATIENT : A CASE REPORT)

  • 김별이라;선예지;송제선;이제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1-94
    • /
    • 2017
  • 본 증례는 다발성 과백악질증 및 영구치의 맹출 지연을 나타내는 뇌성마비 병력 환자에 대해 보고이다. 현재 환자는 큰 불편감 없이 유구치를 유지하고 있으며 방사선 사진 검사를 통해 매복 영구치의 낭종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잔존 유치를 최대한 보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