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mum road density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8초

간선임도와 작업임도를 고려한 복합임도망의 적정밀도 산정 (Computation of Optimum Synthetic Road Density for Main and Spur Forest Roads)

  • 권형근;이준우;이학준;지병윤;정도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1호
    • /
    • pp.115-121
    • /
    • 2016
  • 본 연구는 효율적인 임내도로망 구축을 위한 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산림청 산하 5개소의 임도시설시범단지를 대상으로 복합임도망의 적정밀도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복합임도망의 적정밀도는 10.1~15.9 m/ha이었으며, 단일 규격의 간선임도망은 8.4~12.4 m/ha로 나타났다. 이를 기준으로 임도개설비용을 추정해보면, 단일규격의 간선임도망에 비해 약 1~8% 낮게 측정된 반면, 임도밀도는 20~30%가량 증가하였다. 또한, 대상지의 생산예정재적과 집재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복합임도망의 적정밀도도 증가하였으며, 특히 고규격의 간선임도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한편, 경사가 급한 지역일수록 저규격의 작업임도 밀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최적임도배치계획(最適林道配置計劃)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Planning Method of Optimum Forest Road)

  • 차두송;이준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2호
    • /
    • pp.139-145
    • /
    • 1992
  • 본(本) 연구(硏究)는 강원대학교(江原大學校) 임과대학부속(林科大學附屬) 연습림(演習林)의 제(第)2임반(林班)을 대상으로 수치지형도(數値地形圖)를 이용, 임도개설목적(林道開設目的)에 따른 4개의 평가인자(評價因子), 즉 최단임도개설장(最短林道開設長), 평균집재거리(平均集材距離), 개발지수(開發指數) 및 집재불능지점수(集材不能地點數)의 비율(比率) 등을 설정하여 각각의 평가인자(評價因子)에 적합한 최적임도노선(最適林道路線)의 배치계획(配置計劃)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최단임도개설장(最短林道開設長)에 의한 노선배치(路線配置)는 총연장(總延長) 6035.6m, 임도밀도(林道密度) 12.73m/ha, 평균집재거리(平均集材距離) 279.9m, 개발지수(開發指數) 1.43, 집재불능지점수(集材不能地點數)의 비율(比率)15.7% 이다. 2. 평균집재거리(平均集材距離)에 의한 노선배치(路線配置)는 총연장(總延長) 7828.501, 임도밀도(林道密度) 16.52m/ha, 평균집재거리(平均集材距離) 198.4m, 개발지수(開發指數) 1.31, 집재불능지점수(集材不能地點數)의 비율(比率) 4.0%이다. 3. 개발지수(開發指數)에 의한 임도노선배치(林道路線配置)는 총연장(總延長) 7410.6m, 임도밀도(林道密度) 15.64m/ha, 평균집재거리(平均集材距離) 210.9m, 개발지수(開發指數) 1.26, 집재불능지점수(集材不能地點數)의 비율(比率) 5.0%이다. 4. 집재불능지점수(集材不能地點數)의 비율(比率)에 의한 임도노선배치(林道路線配置)는 총연장(總延長) 8307.1m, 임도밀도(林道密度) 17.53m/ha, 평균집재거리(平均集材距離) 184.9m, 개발지수(開發指數) 1.29, 집재불능지점수(集材不能地點數)의 비율(比率) 2.5%이다.

  • PDF

5가지 비용변수를 이용한 경제적 측면에서의 적정임도밀도 산정 (Economical Optimum Forest Road Density with five Cost Variable)

  • 박수규;강건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1호
    • /
    • pp.1-8
    • /
    • 2010
  • 본 연구는 유럽중부지방에서 사용되고 있는 적정임도밀도산출방법을 우리나라 지형을 대상으로 적정임도밀도를 산정하였다. 경제적 측면에서의 5가지 비용변수를 이용한 적정임도밀도의 산정 결과는 총비용이 최소가 되는 부분으로서 조사지에 대한 적정임도밀도는 10.51 m/ha로 산출되었다. 이 때 총비용은 연간 235,354원/ha이며 임도개설비용은 임도의 내구연한을 30년으로 하고 이자는 3%로 했을 경우에 연간 99,693원/ha, 임도보수비용은 연간 14,502원/ha, 집재비용은 연간 99,564원/ha, 보행경비(CF)는 연간 18,142원/ha, 임도개설을 통한 산림생산임지의 감소에 따른 손실비용은 연간 3,454원/ha으로 산출되었다.

GIS를 이용한 복합임도망의 계획 및 평가 (Planning and Evaluation of Synthetic Forest Road Network using GIS)

  • 권형근;서정일;이준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1호
    • /
    • pp.59-66
    • /
    • 2019
  • 이 연구는 체계적인 임내도로망의 구축을 위해 고규격 및 저규격의 임도를 포함하는 적정임도밀도를 산정한 후, 이를 토대로 구축한 복합임도망의 배치 효과를 5개의 비교임도망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지의 적정임도밀도는 약 18.4 m/ha로 산정되었으며, 평균집재거리, 집재거리표준편차, 개발지수, 임도 우회계수 등의 지표에서 복합임도망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재가능재적량과 집재가능면적에서 복합임도망은 간선임도망에 비해 약 4 %p 수준으로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임도개설비용은 약 20 %p가 낮게 나타나 경제적 측면에서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롤러전압 콘크리트포장의 적정 다짐실험 방안 고찰 (Optimum Compaction Test of Roller Compacted Concrete Pavement)

  • 정건우;이승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27-33
    • /
    • 2015
  • PURPOSES : To ensure appropriate RCC properties with sufficient strength development and workability, it is necessary to secure a proper level of consistency. It is also necessary to secure maximum dry density,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for increasing the interaction of aggregate interlocking, leading to an augmentation of RCC strength. On the other hand, the dry density of RCC can be changed owing to the compaction conditions, water content,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A Proctor test and a modified Proctor test were used for determining the optimum water content needed to achieve maximum dry density with different amounts of compaction energy. A Vebe test, on the other hand, was used for checking the level of consistency, which is important for producing a workable mixture. METHODS : To confirm the degree of compaction at various particle sizes, RCC mixtures with different sand/aggregate ratios were evaluated. The Proctor test and modified Proctor test were applied to these mixtures to check the effect of the aggregate gradation and compaction energy on the maximum dry density and optimum water content. During each test, three specimens were produced for all types of water content under each aggregate gradation. A compaction curve and the optimum water content and maximum dry density for each aggregate gradation were then obtained for both tests. The range of water content for the appropriate consistency of each aggregate gradation was determined through a Vebe test. The optimum water content was then evaluated based on this range. RESULTS : The compaction test results show that the modified Proctor test provides a higher maximum dry density and lower optimum water content compared with the standard Proctor test. For the modified Proctor test, two cases of aggregate gradation (s/a = 30% and 70%) had the optimum water contents outside of the appropriate water content range. For the standard Proctor test, on the other hand, none of aggregate gradations provided the optimum water content within the desired range. CONCLUSIONS : The modified Proctor test should be used for an RCC mixture design because it can provide adequacy between maximum dry density and consistency. Moreover, the compaction roller has become highly developed for higher compaction energy.

적정 포장설계를 위한 과실의 유통 중 진동의 계측 및 분석 (Vibration Measurement and Analysis During Fruits Distribution for Optimum Packaging Design)

  • 김기석;정현모;김기복;김만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3권1호
    • /
    • pp.38-44
    • /
    • 2008
  • The freight vehicle is mostly used to transport the fruit. Shock and impact generated by the freight vehicle may give serious damage to fruits hence to reduce the fruits damage, the optimum packaging design during transportation by vehicle is required. In order to design the packaging system for fruit transportation optimally, the comprehension of characteristic for vibration and shock acting on vehicles under various road conditions and loading methods is required.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shock characteristics, acceleration level and power spectral density (PSD) of the fruit transportation vehicles under several travel roads and positions. The vibration signal was measured and analyzed at the transportation vehicle operating on the road of three different surface conditions. The maximum acceleration was measured at the rear-end of the vehicle, and the acceleration in the direction of up-and-down (z-axis) was much greater than those in the directions of back-and-forth (x-axis) or right-and-left (y-axis). The peak acceleration in the direction of up-and-down (z-axis) at the vehicle driving on the expressway, the local road paved with concrete, and unpaved local road were 5.3621 G, 8.232 G, and 14.162 G respectively. PSD at 2.44 Hz showed maximum value at all road conditions. The maximum values of PSD on the expressway, a local road paved with concrete, and unpaved local road were 0.0075222 $G^2/Hz$, 0.058655 $G^2/Hz$, and 0.24598 $G^2/Hz$ respectively. The value of PSD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transportation vehicle. In most cases, the vibration frequency was below 20 Hz during transportation.

GIS를 이용한 도로교통(道路交通)의 최적경로(最適經路) 선정(選定)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Path for Traffic of Road Using GIS)

  • 오명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1-144
    • /
    • 1997
  • 날로 심각해져 가는 교통체증은 교통량에 비해 도로용량이 부족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나, 도로부족만이 교통체증의 주요 원인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왜냐하면, 도시의 중추적 기능이 도심에 집중되어 있고 교통수요가 시간대별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개개의 운전자가 원하는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통행의 질을 평가하는 주행계획에 있어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선택 시, 교통지체가 가장 적게 발생하는 선을 선택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복잡한 가로망에 대하여 GIS기법을 이용한 경로를 교통량과 토로용량분석의 경로에 따라 가로별, 교차로별로 분석하여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토로교통수요에 따라 시시각각 변모하는 토로, 교통, 운전자특성파악에 접근하고자 하며, 또한 가로별, 교차로별로 인접한 교통유발구역에 대한 분석과 같은 네트웍으로 시간당, 일주일의 하루 및 즉시 분류를 다양한 조건하에서 발생하는 교통지체경향에 대한 실제적 최적경로를 획득하고자 하며, 차후 최적경로 선택에 따른 교통의 원활한 배분을 통해 도로이용의 효율성 증대라는 결과를 기대하고, 따라서 교통량 대 도로용량과의 비에 따른 구간분석을 통하여 도로의 확장 및 확충의 적정시기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과학적, 객관적이며 타당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도시개발밀도의 적정성 평가 모델 구축 연구 (Establishment of the Measurement Model about the Adequate Urban Development Density using System Dynamics)

  • 전유신;문태훈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4권2호
    • /
    • pp.71-9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build a development density control model and estimate optimum developmental density level for a sustainable urban growth management. To develop the model, system dynamics modeling approach was used. The model was developed to analyze how urban growth, transition, and decay occur depending on the interaction among population, houses, industry structure, land and urban infrastructure such as road, water supply, and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he model was applied to Anyang city to estimate optimum density level. Extensive computer simulation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aximum numbers of population, industry structure, houses, and cars that can be adequately sustained with the current Anyang city's infrastructure capacity. The computer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the city is overpopulated by some 90,000 people. It nab analyzed that 20% increase of existing capacity of urban infrastructure is necessary to support current population of Anyang city. To reduce the population to the adequate level whereby the current urban infrastructure can sustain, the current city regulation on floor area ratio needs be strengthened at least 20% to 35%.

  • PDF

시멘트함량 및 다짐함수비가 Soil Cement의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Molding Water Content and Cement Content on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Soil Cement Mixtures)

  • 김재영;강예묵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685-3701
    • /
    • 197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rength of soil cements for varied molding water content and cement content(3,6,9,12%) in four cementstabilized soils(KY: sand, MH: sad, SS: sandy loam, JJ: loam). The eoperimental results obtainedfrom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tests are asfollows: 1.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the cement while maximum dry density didn't change uniformly. 2. The moisture content for maximum strength was higher than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in the higher cement content. Moisture-density curves showed a dull peak in the higher cement contents, on the other hand, a sharp peak in the lower cement contents. 3. In molding the specimen with the approximate optimum moisture content, the maximum strength showed at the wet side of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4. SS and JJ maybe used as cement-stabilized base of road to require 300PSI of compressive strength cured seven days, but MH and KY may be not adequate. 5. In soil cement, the better the grain size distribution was, the stronger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itn general. 6. The relation between 28-day strengh and 7-day strength in the cementstabilized four soils may be expressed as follows: q28=1.55q7+1.5 in which q28:28-day strength. q7:7-day strength.

  • PDF

선회다짐기를 이용한 노상토의 다짐특성 (Characteristic of Subgrade Soil using Gyratory Compactor)

  • 이관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71-577
    • /
    • 2018
  • 본 선회다짐기는 도로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다짐 롤러의 다짐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개발된 실내 다짐장비이다. 기존의 충격을 이용한 프록터 다짐과는 달리 압축력과 회전을 통한 전단력을 이용한 현장 롤러의 다짐특성을 모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프록터 다짐과정에서 얻기 힘든 전단응력 및 다짐중의 밀도변화 특성 등을 선회다짐기를 이용하여 평가하고, 이를 도로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선회다짐기를 이용하여 도로 현장 및 지하매설물 시공 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래 및 노상토의 다짐 특성을 분석 및 평가하였다. 선회다짐기를 이용한 다짐 특성은 기본적으로 선회다짐 횟수와 시편의 높이, 다짐밀도, 간극비, 포화도 및 전단응력이다. 선회다짐 횟수가 증가할수록 시편의 높이는 작아지고, 간극비는 작아지고, 다짐 밀도는 증가하고, 포화도는 증가하며, 전단응력은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전단응력은 다짐 초기에 200kPa 수준에서 시작하여 선회다짐 횟수 50회 정도가 되면 대략 330-350 kPa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동일한 시편의 경우 함수비가 커짐에 따라 다짐 밀도, 포화도 및 전단응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선회다짐기를 이용한 다짐은 밀도 및 전단응력 등 도로 설계 시 필요한 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도로설계시 반영한다면 더 공학적인 도로설계를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