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ioid

검색결과 446건 처리시간 0.027초

Regulation of $[^3H]Norepinephrine$ Release by Opioids in Human Cerebral Cortex

  • Woo, Ran-Sook;Shin, Byoung-Soo;Kim, Chul-Jin;Shin, Min-Soo;Jeong, Min-Suk;Zhao, Rong-Jie;Kim, Kee-W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7권1호
    • /
    • pp.1-3
    • /
    • 2003
  • To investigate the receptors mediating the regulation of norepinephrine (NE) release in human cerebral cortex slices, we examined the effects of opioid agonists for ${\mu}$-, ${\delta}$-, and ${\kappa}$-receptors on the high potassium (15 mM)-evoked release of [$^3H$]NE. [$^3H$]NE release induced by high potassium was calcium-dependent and tetrodotoxin-sensitive. [$D-Pen^2$, $D-Pen^5$]enkephalin (DPDPE) and deltorphin II (Delt II) inhibited the stimulated release of norepinephrine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Tyr-D-Ala-Gly-(Me)Phe-Gly-ol and U69,593 did not influence the NE release. Inhibitory effect of DPDPE and Delt-II was antagonized by naloxone, naltrindole, 7-benzylidenaltrexone and naltrib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delta}_1$ and ${\delta}_2$ receptors are involved in regulation of NE release in human cerebral cortex.

Conjugates of Enkephalin Analogs: Synthesis and Discrimination of μ and δ Opioid Receptors Based on Membrane Compartment Concept

  • Hong, Nam-Joo;Jin, Dong-Hoon;Hong, Eun-Yo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3호
    • /
    • pp.599-607
    • /
    • 2009
  • A series of conjugated cyclic and linear enkephalin analogs, Tyr-c[D-A2bu-Gly-Phe-Asp(NH-X)], where X = methyl, stearyl or$ PEG_350$, and Tyr-D-Ala-Gly-Phe-Cys(S-X), where X = methyl, octyl, or farnesyl, were synthesized in solution to investigate the receptor selectivity of opioids based on Schwyzer's membrane compartment $concepts.^{5,6}$ Cyclizations of the target compounds were achieved in high yields (> 60%) employing BOP, $NaHCO_3$ in DMF despite the steric hindrance of the bulky pendant groups. In the binding assay, the hydrophobic fatty acyl conjugates retained $\mu$-receptor selectivity. The unsaturated farnesyl conjugate exhibited the increased binding affinity than the saturated stearyl conjugate for both $\mu$-and $\delta$-opioid receptors. The PEG conjugates displayed the $\delta$-receptor selectivity. The low molecular weight $PEG_350$ conjugate exhibited the increase selectivity than the high molecular weight $PEG_5000$ conjugate to the $\delta$-recep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membrane compartment concepts.

Scrambler Therapy for Patients with Cancer Pain - Case Series -

  • Park, Hong Sik;Sin, Woo Kyung;Kim, Hye Young;Moon, Jee Youn;Park, Soo Young;Kim, Yong Chul;Lee, Sang Chul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6권1호
    • /
    • pp.65-71
    • /
    • 2013
  • More than 80% of cancer patients experience cancer pain. Among them, more than 50% experience moderate to severe pain. To control cancer pain, a variety of methods have been used, including medications and nerve blocks. In some patient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perform nerve blocks due to caner metastasis into the epidural space, while in other patients, opioid dose escalation is impossible due to opioid side effects; thus, cancer pain management is difficult. Scrambler therapy is a novel approach for pain control that uses EKG-like pads, which are applied above and below the site of pain. Scrambler therapy synthesizes 16 different types of nerve action potentials that provide "non-pain" information via cutaneous nerves. The advantages of this treatment are that it is non-invasive and safe and has no significant side effects. In this case series, we report the treatment results of using scrambler therapy in three cancer patients with intractable pain.

Erector spinae plane block for spinal surger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Liang, Xiao;Zhou, Weilong;Fan, Yuchao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4권4호
    • /
    • pp.487-500
    • /
    • 2021
  • Background: Although the erector spinae plane block has been used in various truncal surgical procedures, its clinical benefits in patients undergoing spinal surgery remain controversial. The aim of this meta-analysis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benefits of erector spinae plane block in patients undergoing spinal surgery. Methods: We searched the Cochrane Library, PubMed, EMBASE, and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f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omparing the erector spinae plane block with a nonblocked control for spinal surgery. Results: Twelve studies encompassing 696 subjects were included in ou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e found that the erector spinae plane block decreased postoperative pain scores and opioid consumption in the postoperative and intraoperative periods. Moreover, it prolonged the time to the first rescue analgesic, reduced the number of patients who required rescue analgesia, and lowered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However, it did not exhibit efficacy in decreasing the incidence of urinary retention and itching or shortening the length of hospital stays, or the time to first ambulation. Conclusions: Erector spinae plane block improves analgesic efficacy among patients undergoing spinal surgery compared with nonblocked controls;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evidence regarding the benefits of erector spinae plane block for rapid recovery.

흰쥐 관류부신에서 Pentazocine의 카테콜아민 분비작용의 기전 (The Mode of Action of Pentazocine on Catecholamine Secretion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Medulla)

  • 임동윤;김봉한;허재봉;최철희;김진호;장영;이재준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99-311
    • /
    • 1994
  • Pentazocine은 opioid 수용체에 대한 흥분작용과 길항작용을 겸유한 opioid계 약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흰쥐 적출 관류부신으로 부터 pentazocine의 catecholamine(CA) 분비작용을 관찰하여 그 기전을 규명하고 또한 다른 opioid의 작용과 비교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Pentazocine$(30{\sim}300\;ug)$을 부신정맥내에 주사하였을때 현저한 용량의 존성의 CA 분비작용을 나타내었다. Pentazocine의 이러한 CA 분비작용은 chlorisondamine $(10^{-6}\;M)$, naloxone $(1.22{\times}10^{-7}\;M)$, morphine $(1.73{\times}10^{-5}\;M)$, enkephalin $(9.68{\times}10^{-6}\;M)$, nicardipine $(10^{-6}\;M)$ 및 TMB-8$(10^{-5}\;M)$등의 전처치로 뚜렷이 억제되었으나 pirenzepine (2과$10^{-6}\;M)$의 전처치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Ca^{++}$-free Krebs 용액으로 30분간 관류한 후에 pentazocine의 CA 분비작용은 현저한 감소를 나타냈었다. Pentazocine $(1.75{\times}10^{-4}\;M)$을 20분간 관류시킨 후에 ACh $(5.32{\times}10^{-3}\;M)$과 DMPP $(10^{-4}\;M)$에 의한 CA 분비작용이 의의 있게 감약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pentazocine은 횐쥐 적출 관류부신에 투여시 현저한 CA 분비작용을 일으키고 있는 칼슘의존성 exocytotic mechanism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pentazocine의 CA 분비작용은 부신 chromaffin cell에 있는 opioid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하여 나타나며, 또한 부신의 nicotine 수용체의 흥분작용과도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선천성 고혈압쥐에서의 Opioid에 의한 진통작용과 Proenkephalin유전자 발현에 대한 연구 (Study of the Antinociception Induced by Opioids and the Proenkephalin Gene Expression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 서홍원;이태희;송동근;최성란;정전섭;김영희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26
    • /
    • 1995
  • 8주, 18주, 그리고 32주된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과 Wistar-Kyoto Rats(WKY)과의 blood pressure(혈압)를 측정하여본 결과 SHR 그룹이 WKY에 비해 19에서 70 mmHg 차이로 SHR 그룹이 WKY group에 비하여 혈압이 높았다. 18주된 SHR과 WKY에서 제 3 뇌실내 (intraventricular)로 투여된 morphine과 ${\beta}-endorphin$의 진통작용을 검색하여 보았다. WKY group에 비하여 SHR group에서 뇌실내로 투여된 ${\beta}-endorphin$은 진통작용에 있어서 상승작용 (potentiation)을 보임을 발견하였고 뇌실내로 투여된 morphine은 SHR group에서 약간만 상승작용을 보였다. SHR과 WKY group간에 opioid의 진통작용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Midbrain과 Medulla (pons), 그리고 spinal cord (척수)의 lumbar부위의 $[Met^5]-enkephalin$과 proenkep-halin A mRNA level을 측정하여 보았다. SHR과 WKY group간의 $[Met^5]-enkephalin$과 proenkephalin mRNA의 양은 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때 SHR group에서 뇌실내로 투여된 ${\beta}-endorphin$은 그의 진통효과에 있어서 보인 상승작용은 척수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opioid deptide의 양이 변해서가 아니라 다른 기전에 의하여 조절되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진행암 환자의 통증강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Pain Intensity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 이선희;정복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506-51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진행암 환자의 통증강도와 통증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6년 6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수집하였다. 표본 크기는 종합병원 이상 상급병원 종양내과에 입원하거나 외래를 방문하는 진행암 환자 221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Pearson 상관분석 및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으로 하였다. 진행암 환자의 일평균 통증강도는 4.23(${\pm}1.68$)점이었다. 통증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질병지각(${\beta}=.27$, p<.001), 마약성 진통제에 대한 신념(${\beta}=.24$, p<.001), 교육수준(중학교, ${\beta}=.24$, p=.001), 월 가계경제 상태($${\geq_-}400$$, ${\beta}=.20$, p=.001), 성별(여성, ${\beta}=.14$, p=.017), 통증관리교육(${\beta}=-.14$ p=.020), 암 종류(췌장암, ${\beta}=.14$, p=.020)로 이들 변인에 의한 설명력은 28%이었다. 본 연구결과 진행암 환자가 느끼는 통증강도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질병지각과 마약성 진통제에 대한 신념이었다. 따라서 진행암 환자의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통증관리 지식과 진통제에 대한 신념뿐만 아니라 암에 대한 질병지각 개선이 포함된 통증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D-$Pen^2$, D-$Pen^5$]-enkephalin on the Neuronal Activity of Medial Vestibular Nuclear Neurons

  • Jang, Su-Jeong;Jeong, Han-Seong;Park, Jong-Seo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9-205
    • /
    • 200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direct effects of [D-$Pen^2$, D-$Pen^5$]-enkephalin, a $\delta$-opioid receptor agonist on the neuronal activity of medial vestibular nuclear (MVN) neurons by whole-cell configuration patch clamp experiments. The spike frequency of MVN neuron was increased to $9.50{\pm}0.55$ (P<0.05) and $10.56{\pm}0.66$ (P<0.05) by 5 and $10{\mu}M$ [D-$Pen^2$, D-$Pen^5$]-enkephalin from the control level of $8.05{\pm}0.55$ spikes/sec, respectively (n=18). The resting membrane potential of the neurons was increased to $-37.86{\pm}0.92$ and $-36.97{\pm}0.97$ (P<0.05) from $-38.74{\pm}1.13\;mV$ by 5 and $10{\mu}M$ [D-$Pen^2$, D-$Pen^5$]-enkephalin, respectively. The amplitude of afterhyperpolarization was decreased to $23.78{\pm}0.65$ and $21.67{\pm}0.89$ (P<0.05) from $23.73{\pm}0.53\;mV$ by 5 and $10{\mu}M$ [D-$Pen^2$, D-$Pen^5$]-enkephalin, respectively. The spike width was changed to $2.22{\pm}0.08$ and $2.24{\pm}0.07$ from $2.20{\pm}0.08\;mV$ by 5 and $10{\mu}M$ [D-$Pen^2$, D-$Pen^5$]-enkephalin, respectively. After pretreatment of naltrindole, a highly selective 8-opioid receptor antagonist, [D-$Pen^2$, D-$Pen^5$]-enkephalin did not change firing rate, resting membrane potential, afterhyperpolarization amplitude, and spike width of MVN neurons.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suggest that [D-$Pen^2$, D-$Pen^5$]-enkephalin increases the neuronal activity of MVN neurons via inhibition of calcium-dependent potassium currents underlying the afterhyperpolarization.

  • PDF

행간 전침이 흰쥐 염증성 통증 모델의 통증 행동 완화에 미치는 영향 (Electroacupuncture Applied to LR2 Ameliorates Pain Behavior in The Rat Model of Inflammatory Pain)

  • 구성태;최우영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4권4호
    • /
    • pp.265-270
    • /
    • 2017
  • 목적 : 이 연구는 흰쥐 염증성 통증 모델에서 족궐음간경의 형혈 전침의 진통효과를 조사하고 이 전침의 진통효과에 내인성 오피오이드가 관계되어 있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무릎 관절염은 $125{\mu}l$ complete Freund's adjuvant를 흰쥐의 한쪽 무릎관절강에 주입하여 유도하였다. 통증 정도를 검사하기 위해 관절염을 유도한 쪽 뒷다리의 weight bearing forces(WBFs)를 측정하였다. 전침은 건측 행간, 합곡, 또는 뒷다리의 비경혈에 가스 마취하에서 2 Hz, 2 mA 자극조건으로 처치하였다. 결과 : 관절염을 유도한 이후에, 점차적으로 무릎에 통증이 증가하기 때문에 관절염을 유발한 쪽 뒷발로 딛는 압력이 감소하였다. 건측 행간에 전침 자극을 한 군에서 전침 자극 후 최소 2시간까지 유의하게 WBF가 증가하였으며, 이 효과는 구강으로 투여한 indomethacin 5 mg/kg의 효과에 해당하였으며, 이 전침의 효과는 합곡이나 비경혈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아울러 이 진통효과는 오피오이드 길항제인naltrexone(10 mg/kg, i.p.)을 전처치했을 때 차단되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족궐음간경의 형혈인 행간 자침이 흰쥐 관절염 모델에서 염증성 통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며, 이 효과는 내인성 오피오이드 시스템이 매개하는 것으로 보인다.

봉독약침이 collagen 유발 관절염에 미치는 진통효과 및 그 기전 연구 (The Analgesic Effect and its Merchanism of Bee Venom Acupuncture in the Collagen-induced Arthritis Rats)

  • 정인태;백용현;박동석;최도영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99-108
    • /
    • 2005
  • Collagen 유발(誘發) 관절염(關節炎)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족삼리(足三里) (ST36) 봉독약월(蜂毒藥鉞)의 진통효과(鎭痛效果)와 그 기전(機轉) 을 관찰하기 위하여 TFL을 지표로 하여 통증 역치의 변화와 naloxone 및 yohimbine으로 전처(前處) 치한(置) 후 (後) 봉독약침(蜂毒藥鍼)의 진통효과(鎭痛效果)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ollagen 유발(誘發) 관절염(關節炎)의 rat에서 TFL 통증 역치는 1, 2, 3 및 4주로 갈수록 지속적 감소를 나타내었다. 2. 1회와 2주간 봉독약철(蜂毒藥鐵)은 collagen 유발(誘發) 관절염(關節炎) rat의 통증역치를 각각 증가시켰다. 3. CIA rat에 opioid receptor antagonist인 naloxone을 투여한 후 봉독약침(蜂毒藥鍼)을 처치한 결과 진통효과(鎭痛效果)가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봉독약광(蜂毒藥鑛)의 진통기전(鎭痛機轉)은 아편양 기전(機轉)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4. CIA rat에 ${\alpha}2$-adrenoceptor antagonist인 ohimbine을 투여한 후 봉독약침(蜂毒藥鍼)을 처치한 결과 진통효과(鎭痛效果)가 길항(拮抗)되는 것으로 보아, 봉독약침(蜂毒藥鍼)의 기전(機轉)은 ${\alpha}2$-adrenoceptor에 의하여 매개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