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inion poll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19초

"This Unfavorable Poll Result for My Candidate Doesn't Affect Me but Others": Third-Person Perception in Election Poll Coverage

  • Shin-Il Moon;Yunjin Choi;Sungeun Chung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1권4호
    • /
    • pp.274-303
    • /
    • 2023
  • The third-person perception phenomenon can consistently be found in opinion poll news, but it remains unknown what determines the degree of the third-person perception (TPP) about specific election poll news. We investigated how respondents' preferred candidate's status in the poll affects the perceived impact of polling news on both themselves (PMI1) and on others (PMI3) as well as TPP (PMI3 - PMI1). We also examined the effect of subjective political knowledge and the perceived level of political knowledge of others on TPP. An on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a gubernatorial election in South Korea, in which the leading candidate in the poll and the question order (self-question first vs. other-question first) were manipul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MI1 and PMI3 were greater when the respondent's preferred candidate was leading in the poll. TPP did not differ depending on subjective knowledge, but it was greater when the others were non-experts (vs. experts). Lastly, question order was found to be a method factor that affected both PMI1 and PMI3.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인터넷 공간에서의 이슈 유형별 여론지각과 의견표명에 관한 연구: 인터넷 여론조사와 게시판을 중심으로 (Public Opinions Perception and Expression of Individual Opinion by Issue Types in the Internet)

  • 박성희;박은미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9권
    • /
    • pp.284-323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인터넷 사용자들의 여론지각 단서로서의 인터넷 여론조사 결과에 주목, 이슈 유형별로 게시된 의견의 분석을 통해 여론조사 결과가 이슈별로 의견표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적했다. 그 결과 여론조사 결과가 우세한 의견으로 집중된 합의형 이슈의 경우에는 소수로 지각된 의견이 의견게시판에서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론조사 결과가 찬반 대결양상으로 나뉘는 갈등형 이슈에서는 초기 의견으로 형성된 주장이 논의가 끝나는 과정까지 꾸준히 동일한 입장에 머무르는 의견 분포를 나타냈다. 설문형태에 따른 과업(task)유형의 차이가 의견의 분포나 상호작용성에 미친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의견의 다양성 측면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아 인터넷이 다양한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공간이라는 기존의 기대와는 상반된 결과를 얻었다. 찬반형 주제보다 정책 제시형 주제에 대한 의견표명의 적극성이 높았고, 합의형 이슈의 경우 여론조사 결과 다수의견이 게시판에서의 다수의견을 증가시킨 반면, 갈등형 이슈의 경우에는 인터넷 이용자들이 게시판에 나타난 의견방향을 관찰한 후 대세를 추종하는 승자편승적 경향을 나타냈다.

  • PDF

Content Analysis on Newspaper Public Opinion Survey -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of Korea -

  • Choi, Kyung-Ho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9권2호
    • /
    • pp.431-441
    • /
    • 2008
  • A public opinion poll's importance is at this time increasing now. Especially, a news report with a fair and objective execution and investigative reporting Moral Code is very important. But a research on the basis of investigative reporting Moral Code is not yet carried out. In this paper, with the center of a public opinion poll involved in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of Korea, investigative reporting Moral Code has been analyzed measurably how well observed in the Press. Furthermore, it has been compared with findings carried out in the year 2002. Finally, through comparing response rate with actual results acquired in a survey of public opinion, I proposed a response rate acquisition.

  • PDF

How Do South Korean People View the US and Chinese National Influence?: Is Soft Power Zero-Sum?

  • Zhao, Xiaoyu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15-40
    • /
    • 2017
  • This paper addresses the zero-sum of soft power against the backdrop of the rise of China and the relative "decline" of America. It attempts to find out that whether the "decline" of America's soft power is caused by the rise of China's soft power, and whether China's rise could guarantee with certainty the growth of soft power. In light of the particularity of South Korea, that is, its economy relies on China and its security relies on the US, this paper chooses South Korea as the entry point for the study. Based on the Pew data from a South Korean opinion poll, this paper conducts bivariate correlation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respectively, to explore the existence of zero-sum "competitions" between China's and America's soft power.

SNS 기반 여론 감성 분석 (Sentiment Analysis for Public Opinion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 하상현;노태협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111-120
    • /
    • 2020
  •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상의 빅데이터를 이용한 텍스트 분석기법의 응용으로서 설문 조사 기반의 여론 조사 방법론과 달리 비정형적 언어 기반의 감성 여론 조사 방법론을 제안한다. 기존의 설문 기반 여론 분석모형에 대한 대안적 방법으로 주관성에 기초한 감성 분류 모형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운동 기간 중 선거 관련 실시간 트위터 자료를 수집하여 속성 기반 감성 분석을 이용한 여론의 극성과 강도에 대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개별 SNS에서 사용된 단어의 극성을 분류하기 위해 Lasso 및 Ridge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극성에 영향력이 큰 변수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변수가 극성에 미치는 긍정 및 부정에 대한 영향을 구분하고, 영향력의 강도를 분석하였다. 대중들이 소셜네트워크상에서 표현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여론에 대한 긍정 및 부정의 감성 분석을 통해 여론의 향방을 예측하고 극성분석 모형의 정확도를 측정하여, 여론 조사 분야에서 감성 분석 방법론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소셜 미디어(SNS) 데이터 증강을 활용한 효과적인 여론조사 예측 모델 분석 (Analyzing Effective Poll Prediction Model Using Social Media (SNS) Data Augmentation)

  • 황선익;오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1800-1808
    • /
    • 2022
  • 선거기간이 되면 많은 여론조사 기관에서 후보자별 지지율을 조사하여 배포한다. 과거에는 여론조사 기관에 의존하여 지지율을 조사할 수밖에 없었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인터넷이나 모바일 SNS나 커뮤니티를 통해 국민 여론이 표출된다. 따라서 인터넷상에 표출된 국민 여론을 자연어 분석을 통해서 파악하면 여론조사 결과만큼 정확한 후보자 지지율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글 데이터를 통해 유저들의 정치 관련 언급을 종합하여 선거기간 후보자의 지지율을 추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게시글에서 지지율을 분석하기 위해 KoBert, KcBert, KoELECTRA모델을 활용하여 실제 여론조사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모델 생성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Multi-Dimensional Index of Quality of Life: The Pakistan Case

  • Gilani, Bilal Ijaz;Salman, Rohail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32-51
    • /
    • 2014
  • Quality of Life in Pakistan is an understudied and rather unexplored domain. With various definitions and challenges to explaining quality of life, a public opinion poll and scientific surveys have been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more about the quality of life in Pakistan.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this paper seeks to identify quality of life measures, find results, and analyze them to see what they mean, specifically in the context of Pakistan.

KTX이용객 만족도 분석과 서비스 증대방안 연구

  • 권용장;문대섭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77-1685
    • /
    • 2004
  • This is the analysis of the inquiry performed from April to May, 2004 for the effect of the high speed railways opened April 1st, 2004.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problem of KTX by an opinion poll and to improve the KTX service.

  • PDF

정보이론과 시각화 방법에 의한 여론조사 분석의 새로운 접근방법 (Information Theory and Data Visualization Approach to Poll Analysis)

  • 허문열;차운옥
    • 응용통계연구
    • /
    • 제20권1호
    • /
    • pp.61-7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상호정보와 데이터 시각화를 사용하여 여론조사 결과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여론조사의 경우, 목적 변수와 이를 위한 설명 변수가 있으며 설명 변수는 수치형과 명목형이 혼재된 형태이다. 상호정보를 사용하면 목적변수에 대한 혼합형 설명변수의 영향을 크기순으로 순위를 매길 수 있고,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사용하여 이들 순위 매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여론조사에서 목적변수에 미치는 설명변수의 영향력의 크기가 어느 정도인가를 정량화한 것은 이연구에 의해서만 이루어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