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 reading frame

검색결과 696건 처리시간 0.032초

간흡충 tropomyosin: PCR로 일부분 증폭된 cDNA의 cloning 및 염기서열 (Clonorchis sinensis tropomyosin: Cloning and sequence of partial cDNA amplified by PCR)

  • 홍성종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3호
    • /
    • pp.285-292
    • /
    • 1993
  • 간흡충 total RNk에는 많은 량의 185 rRNA가 함유되어 있었지만 285 rRNA는 그 양이 매우 적었다. 약 $8{\;}{\mu\textrm{g}}의{\;}poly{\;}(A)^{+}$ mRNAS부터 합성된 double-stranded CDNA는 대부분이 0.4-4.2 kb 크기이었으며 9.5 kb에 달하는 것도 있었다. 이미 보고되어 있는 tropomyosin의 amino산 서열을 기준하여 5개의 degenerated oligonucleotide (sense primer 2개와 antisense primer 3개)를 합성하였다. TotalcDNA를 template로 하고 sense primer와 antisense primer를 조합하여 실시한 PCR 산물 중에서 580 bp 크기의 특이 유전자가 나타났다. 만손주혈흡충의 tropomyosin CDNA를 탐색자로 써서 Southern hybridization했을 때 이 유전자만이 검출되어서. 이 유전자는 간횹충 tropomyosin (CSTM) CDNA의 일부분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어 sequencing vector인 POEM-3Zf(-)에 cloning한 다음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nRf 증폭된 CSTM CDNA는 크기가 575 bp이었으며 191개의 predicted amino산 서열은 한 개의 open reading frame을 갖고 있었다 CSTM CDNA의 amino산 서열은 만손주혈흡충 tropomyosln과 86.3%. Trichosoonvk: colhnfornis tropomyosin과 51.1% 의 유사성을 갖고 있었다. 이 CSTM cDNA fragment는 앞으로 간흡충 cDNA library를 screening하여 완전한 CnM CDNA를 cloning하기에 좋은 probe로 쓰일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rabidopsis thaliana로부터 지방산 불포화효소 유전자의 분석 (Characterization of a fad3 cDNA Encoding Microsomal Fatty Acid Desaturase from Arabidopsis thaliana)

  • 박희성;임경준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3-97
    • /
    • 1997
  • Linoleic acid를 linolenic acid로 전환시키는 지방산불포화효소의 유전자(fad3)를 유채의 fad3 DNA probe를 이용한 plaque hybridization방법으로 $\lambda$ZAPII Arabidopsis thaliana cDNA expression library로부터 분리하였으며 1.8 kb-EcoRI DNA조각을 지니는 lambda clone을 pGEM7으로 subcloning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부터의 아미노산서열분석에 의하면 fad3 유전자는 open reading frame이 386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졌으며 44,075 Da의 분자량이 예측되고 있다. 엽록체의 $\omega$-3 지방산불포화효소(fad7)와 endoplasmic reticulum의 지방산불포화효소(fad2)와의 비교시 각각 70%와 58%의 유사성이 나타났다. 특히 82-151의 아미노산서열과 276-333의 아미노산지역은 보존성이 높았으며 이는 불포화지방산효소의 기능에 필수적인 지역으로 보여진다. 한편 대장균을 이용한 IPTG에 의한 Fad3단백질의 유도생성은 대장균의 생육에 독성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enotypic Diversity of the Complete Open-Reading Frame 7 Sequences of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es in Korea and Coexistence of Two Genotypes

  • Chu, Jia-Qi;Kim, Myung-Cheol;Park, Chang-Sik;You, Myung-Jo;Jun, Moo-Hyu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39-145
    • /
    • 2008
  • To investigate the genotypic diversity of the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es (PRRSV) in Korea, we examined 92 clinical samples from three provinces by RT-PCR and a nested PCR, and the complete open-reading frame 7 (ORF 7) sequences of 15 samples selected from 72 PCR-positive specimens were analyzed. When we compared nucleotide (amino acid) sequences of 80 isolates from Korea and overseas countries, the sequences of 7 samples belonged to North American (NA)-genotype, and those of 8 samples, to European (EU)-genotype. The nucleotide (amino acid) identities between two genotypes were 63.7% (59.8%) to 65.1% (63.1%). When compared with NA prototype VR-2332, the 7 strains of NA-genotype shared 89.8% (93.6%) to 91.2% (96.0%) identity of nucleotide (amino acid) sequence. The 8 strains of EU-type shared 93.6% (92.3%) to 94.3% (93.8%) identity of nucleotide (amino acid) sequence as compared to EU prototype Lelystad. In phylogenetic tree analysis by neighbor-joining method, all of the 8 EU-type strains were clustered into group 4 distinct from ED-prototype Lelystad (group 1). In NA-genotype, 24 domestic isolates reported previously and the 7 strains of NA-type determined in this study were clustered into group 1, while US prototype VR 2332 was classified into different group (group 2).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ergence of EU-genotype and the dual-infection of NA- and EU-genotypes may be prevalent in the pig farms in Korea. The high degree of genetic diversity of field PRRSV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control and preventive measures.

요각류 Paracyclopina nana Acetate Kinase의 클로닝 및 대장균에서의 발현 (Cloning of Acetate Kinase Gene from the Copepod Paracyclopina nana and its Expression in Escherichia coli)

  • 정상운;서정수;이영미;박태진;김일찬;박흠기;이재성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57-163
    • /
    • 2005
  • 요각류 Paracyclopina nana Acetate Kinase를 클로닝하였다. 전체 open reading frame은 1,200 bp이었으며, poly(A) signal sequence가 ORF에 내재되어 있었다. 분자계통학적 분석결과 P. nana acetate kinase 유전자는 진핵생물계 곰팡이류인 Aspegillus와 같은 branch를 형성하였고, P. nana acetate kinase가 다른 원핵미생물들의 acetate kinase와는 구별되며 fungi와 같은 branch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E. coli를 이용하여 원핵세포 발현벡터를 이용한 단백질 발현 유도를 통하여 P. nana acetate kinase 단백질 분자량이 약 50 kDa에 이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자료는 본 요각류와 다른 생물의 acetate kinase 단백질의 생화학적 특성비교에 유용하게 쓰이리라 사료된다.

여름느타리버섯으로부터 ${\beta}-tubulin$ cDNA의 분리 및 염기서열 결정 (Isolation and Sequencing of the cDNA Encoding ${\beta}-tubulin$ from Pleurotus sajor-caju)

  • 김범기;신평균;정미정;박수철;유영복;류진창;권석태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1호통권80호
    • /
    • pp.1-5
    • /
    • 1997
  • 여름느타리버섯 균사체의 cDNA library로부터 ${\beta}-tubulin$ 유전자를 분리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분리된 ${\beta}-tubulin$ cDNA유전자는 27nt의 5'-untranslation region과 1341nt의 open reading frame, 191nt의 3'-untranslation region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ORF는 445개의 아미노산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물, 식물, 사상균에서 보고된 ${\beta}-tubulin$과 80% 이상의 상동성을 보였다. 분리된 Myc7tub clone을 사용하여 Southern hybridization한 결과 여름느타리버섯에는 두 가지의 isotype ${\beta}-tubulin$이 존재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Fusarium Graminearum Virus 2 Isolated from Fusarium graminearum Strain 98-8-60

  • Yu, Ji-Suk;Lee, Kyung-Mi;Son, Moon-Il;Kim, Kook-Hy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3호
    • /
    • pp.285-290
    • /
    • 2011
  • Fusarium graminearum virus 2 (FgV2) infects Fusarium graminearum strain 98-8-60 and has at least five segments of double-stranded RNAs (dsRNAs), denoted as dsRNA-1 to dsRNA-5. In this study, the genome of FgV2 was sequenced and its phylogenetic relationship with other mycoviruses was analyzed. The lengths of FgV2 dsRNAs 1-5 ranged from 2414 to 3580 base pairs (bp). The 5' and 3' untranslated regions (UTRs) are highly conserved, and each dsRNA segment had 78-105 and 84-306 bp of 5' and 3' UTRs, respectively. Each dsRNA segment contained a single open reading frame (ORF). Computer analysis of dsRNA-1 revealed a putative open reading frame (ORF) that shows high sequence identity with an RNA-dependent RNA polymerase (RdRp) containing eight conserved motifs. dsRNAs 2-5 also each contain one putative ORF coding for products of unknown function. The sequences of FgV2 dsRNA-2 and dsRNA-3 have significant sequence identity with Magnaporthe oryzae chrysovirus 1 (MoCV1) dsRNA-3 and -4, respectively. When compared to other dsRNA mycoviruses in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putative RdRp protein, FgV2 was found to form a distinct virus clade with Aspergillus mycovirus 1816 and MoCV1 in the family Chrysoviridae.

Brevibacterium ammoniagenes의 30S 리보좀 단백질 S1을 코드하는 유전자의 염기서열 (Nucleotide Sequence of the Putative Gene Encoding 30S Ribosomal Protein S1 from Brevibacterium ammoniagenes)

  • 윤기홍;이미성;오영필;최정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47-151
    • /
    • 2000
  • Brevibacterium ammoniagenes 염색체상에서 phosphotrans-ferase system의 glucose permease를 코드하는 ptsG 유전자와 인접한 지역의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돠 1,467 nucleo-tides로 구성된 1개의 open reading frame(ORF)이 발견되었고 이것은 489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되는 단백질을 코드하는 것으로추정된다. 이러한 ORF로부터 추정된 단백질의 아미노산 잔기배열을 분석한 결과 30S 리보좀을 구성하는 단백질중의 하나인 S1과 상동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Mycobacterium tuberculosis M. leprae와 Srepto-myces coelicola의 S1단백질의 아미노산 잔기배열과 각각 83%, 74%m, 77%의 매우 높은 상동성을 보였으며 Escherichia coli의 것과도 약 40%의 상동성을 보였다 이로보아 B.ammoniagenes 염색체상에서 ptsG 유전자와 인접한 지역에 존재하는 ORF는 리보좀 단백질 S1의 유전자로 추정된다. 또한 이들은 염색체상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판독되며 S1의 유전자가 ptsG의 위 지역으로 266 nucleotides 떨어져 존재하고 있다.

  • PDF

마늘유래 Cytochrome P450 유전자의 변이 분석 (Genetic Variation of Cytochrome P450 Genes in Garlic Cultivars)

  • 권순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84-590
    • /
    • 2011
  • 의성종 마늘의 유묘로부터 상처(wound)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cytochrome P450 유전자군의 하나인 P450-Esg cDNA를 탐색하였다. P450-Esg는 1,419 bp의 open reading frame(ORF)을 가지고 473개의 아미노산을 가진 polypeptide를 코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와 몽골로부터 수집한 12개의 재배종으로 부터 P450-Esg 유사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시작코돈(ATG)에서 472~510 bp 및 1,210~1,240 bp 부위의 염기에서 재배종간에 차이를 보이는 염기서열을 다수 확인하였다. cDNA 1,210~1,240 bp의 부위는 P450 유전자에서 공통적으로 알려진 heme binding domain으로, 각 지역에서 수집된 재배종은 염기서열뿐만 아니라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도 특이적인 변이를 보였다. cDNA 472~510 bp 부위에서 코딩하는 13개 아미노산의 서열은 12개 재배종에서 모두 동일하였으나, 13개 아미노산 중 7개에서 재배종 마다 각각 다른 DNA 염기로 코딩하는 단일 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을 보이는 서열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다양하게 존재하는 국내외 마늘 재배종을 구분하는 marker로 사용될 것이며, 외국산 마늘에 대한 유전적 우선권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것이다.

Escherichia coli에서의 Streptomyces coelicolor A3(2)의 acetyl xylan esterase 발현 양상 (Expression Pattern of Acetyl Xylan Esterase of Streptomyces coelicolor A3(2) in Escherichia coli)

  • 이인숙;윤석원;정상운;오충훈;김재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83-88
    • /
    • 2003
  • streptomyces coelicolor A3(2)의 acetyl xylan esterase 유전자를 Escherichia coli께 클로닝하여 그 발현양상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전자 전체 DNA를 PCR증폭을 통하여 제조하였다. PCR산물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1,008개의 nucleotide로 구성된 하나의 open reading frame이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이것은 33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약 38 kDa의 단백질을 생성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이 유전자의 염기 서열은 streptomyces lividans의 acetyl xylan esterase와 98%의 상동성을 가졌다. 그런데 Escherichia coli (pLacl)에서 IPTG유도에 의해 두가지의 acetyl xylan esterase가 발현되었으며 각각의 분자량은 38 kDa과 34 kDa이었다. 이중에서 38 kDa의 단백질은 N-말단의 signal peptide를 포함한 전체 단백질이고,34 kDa의 단백질은 41번과 42번의 두 알라닌 잔기사이의 펩티드 결합이 끊어져 생산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Bacillus circulans 유래 cellulolytic xylanase 유전자(bglBC2)의 염기서열 결정 및 분석 (Nucleotide Sequence of Cellulolytic Xylanase Gene (bglBC2) from Bacillus circulans)

  • 김지연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7-72
    • /
    • 2006
  • 클로닝된 Bacillus circulans ATCC21367 유래 cellulolytic xylanase 유전자(bglBC2)의 염기서열을 결정 분석하였다. 본 유전자는 1,224 bp의 407개 아미노산을 암호하는 open reading frame (ORF)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염기서열로부터 산출된 유전자의 분자량은 45 kDa으로 효소의 SDS-PAGE로부터 측정된 분자량과 일치하였다. ATG 개시 코돈의 9bp 위쪽에 Shine-Dalgarno (SD) 서열로 추정되는 5'-AAAGGAG-3' 서열이 확인되었고 그 상단에 promoter로 추정되는 -35 서열(TTTACA)과 -10 서열(TATACT)이 위치하고 있었으며, 이는 B. subtilis promoter consensus sequence와 유사하였다. 한편, 이 효소의 아미노산 서열은 이미 보고된 B. circulans KSM-N257의 alkaline $endo-\beta-1,4-glucanase$와는 97%, B. circulans WL-12의 $endo-\beta-1,3-1,4-glucanase$와는 75%, Bacillus sp. KSM-330의 $endo-\beta-1,4-glucanase$ (cellulase)와는 45%의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bglBCS 염기서 열의 정보를 GenBank에 등록하였으며 등록번호는 Ar269256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