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 burning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7초

발사체 직접식 유도법의 유도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n Explicit Guidance Scheme for a Launch Vehicle)

  • 최재원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97-106
    • /
    • 1998
  • In this Paper, a fuel minimizing closed loop explicit inertial guidance algorithm for orbit injection of a rocket is developed. In the formulation, the fuel burning rate and magnitude of thrust are assumed constant. The motion of rocket is assumed to be subject to the average inverse-square gravity, but negligible effects from atmosphere. The optimum thrust angle to obtain a given velocity vector in the shortest time with minimizing fuel consumption is first determined, and then the additive thrust angle for targeting the final position vector is determined by using Pontryagin's maximum principle. To establish real time processing, many algorithms of onboard guidance software are simplified. The explicit guidance algorithm is simulated on the 2nd-stage flight of the N-1 rocket developed in Japan. The results show that the explicit guidance algorithm works well in the presence of the maximum $\pm$10% initial velocity and altitude errors, and exhibit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open-loop program guidance. The effects of the guidance cycle time are also examined.

  • PDF

Comparison of Plant-derived Carbonaceous Components (Organic Molecular Markers and 14carbon) in PM2.5 in Summer and Autumn at Kazo, Japan

  • Sasaka, Kouki;Wang, Qingyue;Sakamoto, Kazuhiko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1권3호
    • /
    • pp.165-175
    • /
    • 2017
  • In Japan, the primary carbonaceous particles emitted from motor vehicles and waste incinerators have been reduced due to strict regulations against exhaust gas. However,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carbonaceous particles derived from plants and biomass has been increasing. Accordingly, compositional analysis of carbonaceous particle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o determine the sources and types of particles produced. To reveal the sources of the organic particles contained in particulate matter with diameters of ${\leq}2.5{\mu}m$ ($PM_{2.5}$) and the processes involved in their generation, we analyzed molecular marker compounds (2-methyltetrols, cis-pinonic acid, and levoglucosan) derived from the plants and biomass in the $PM_{2.5}$ collected during daytime- and nighttime-sampling periods in summer (July and August) and autumn (November) in Kazo, which is in the northern area of Saitama prefecture, Japan. We also measured $^{14}C$ carbonaceous concentrations in the same $PM_{2.5}$ samples. The concentrations of 2-methyltetrols were higher in the summer than in the autumn. Because the deciduous period overlaps with this decrease in the levels of 2-methyltetrols, we considered the emission source to broad-leaved trees. In contrast, the emission source of the cis-pinonic acid precursor was considered to be conifers, because its concentration remained almost constant throughout the year. The concentration of levoglucosan was considerably increased in the autumn due to frequent biomass open burning. The ratio of plant-derived carbon to total carbon, obtained by measuring of $^{14}C$, in summer $PM_{2.5}$ sample was higher in the nighttime, and could be influenced by anthropogenic sources during the daytime.

터빈 매니폴드 모사장치를 이용한 액체로켓엔진 가스발생기 연소시험 (Hot Firing Tests of a Gas Generator for Liquid Rocket Engine using a Turbine Manifold Simulator)

  • 임병직;김문기;김종규;최환석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22-30
    • /
    • 2015
  • 개방형 사이클의 액체로켓엔진에서는 추진제 중 일부를 연소시켜 터빈 구동용 가스를 생성시키는 가스발생기가 사용되며, 개방형 사이클 액체로켓엔진의 주요 구성품으로서 가스발생기 자체의 연소성능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소시험이 요구된다. 하지만, 가스발생기에서 생성된 연소가스는 터빈 매니폴드의 터빈 노즐에서 질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스발생기뿐만 아니라 터빈 매니폴드 내부 부피를 고려해야만 가스발생기의 연소 성능 및 특성, 그리고 음향 특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터빈 매니폴드 모사장치를 이용한 가스발생기 연소시험 결과를 기술하고 가스발생기 단독 연소시험 결과를 이용한 특성 예측을 설명한다.

폐화약류의 친환경적 폐기처리 공정의 최근 현황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Eco-friendly Disposal Processes for Waste Explosives)

  • 김태호;김덕열;김종민
    • 청정기술
    • /
    • 제29권1호
    • /
    • pp.1-9
    • /
    • 2023
  • 군에서의 폐탄약 및 제조업체에서 생산 중에 발생되는 불용화약 등 폐화약류는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이들은 화재, 폭발 등을 유발하는 화약류의 위험성으로 일반 폐기물 처 리시설에서는 처리가 어려우며, 지정된 폐기처리시설에서 야외 소각 및 기폭처리를 하는 것이 고전적인 폐기처리 방법이다. 야외에서의 소각 및 기폭을 통한 폐기처리시에는 SOx, NOx와 같은 유해물질의 배출에 의한 대기오염, 중금속 및 난분해성 물질로 인한 토양 및 수질 오염 등 다양한 환경문제를 유발시킨다. 이러한 환경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다양한 폐기처리 방안이 개발되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 운영중에 있다. 본고에서는 폐화약류의 다양한 친환경적인 폐기처리 공정 및 각 공정에 있어서의 장, 단점을 소개하여 폭발성 위험물 및 유해물질처리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전기제어 소화성 고체 추진제 연구 현황 (Research Activities of Electrically Controlled Extinguishable Solid Propellants)

  • 김창기;민병선;유지창;류백능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1년도 제3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64-466
    • /
    • 2011
  • 본 기술논문은 최근에 공개된 문헌 및 특허 자료를 참고하여 새로운 개념의 고체 추진제를 소개하였다. 전기제어 고체 추진제는 전기에너지를 가함으로서 다중점화, 소화 및 추력 조절 제어가 가능한 추진제이다. 움직이는 부품 없이 코아 또는 끝단 연소구조를 가지는 그레인을 제조하여 직경이 3 인치인 모타를 시험 하였다. 현재 진행 중인 연구로 부터 10%이상 증가한 비추력을 가지면서 제조공정이 쉽고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보다 더 새로운 고성능 ECESP를 개발하였다.

  • PDF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unctional Gradient Ceramic Bone Substitutes

  • 김민성;민영기;양훈모;송호연;이병택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2.2-42.2
    • /
    • 2010
  • Recently, highly porous bone substitutes, which have interconnected open pore structure, have been focused on improving their mechanical properties and modifying their functions. Especially, it is highly required to develop functional gradient structured bone substitute which is available for controlling their material properties such as bioresorption rate and elastic modulus. Porous $ZrO_2$ scaffold was fabricated by the sponge replica method using PU sponge. After 3 times of dip coating and the subsequent oven drying, burning out and microwave sintering were carried out. Various $ZrO_2$-BCP powder mixtures were prepared depending on the ratio and coated on the $ZrO_2$ scaffold by dip coating process. X-ray diffrac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haracterize the phase identification of the scaffolds. Microstructures of the bone substitutes were observ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 PDF

침대 매트리스 실물규모 화재안전성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reaction-to-fire performance of bed mattress in real scale)

  • 박계원;정재군;양우진;이길용;김인선;정정호;김정욱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38-41
    • /
    • 2012
  • This study aims to analyze fourteen cases' HRR & SPR results on bed mattress's reaction-to-fire test in real scale where open flame burner system is used with total heat supply of 27 kW. Most cases show all burning within 5 minutes from the beginning of the test and 3 cases of them reach flashover situation.

  • PDF

경기도 내 대기 중 다이옥신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Atmospheric Distribution of PCDD/F Concentrations in Gyeonggi-do, South Korea)

  • 허종원;민윤기;김동기;최일우;김종수;송일석;이강웅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48-561
    • /
    • 2015
  •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polychlorinated dibezo-p-dioxins and furans (PCDD/Fs) were investigated at urban-residential (Group I: Suwon, Guri and Goyang), industrial (Group II: Ansan, Siheung and Bucheon), urban-rural mixed (Group III: Yangju, Pocheon and Dongducheon) and rural regions (Group IV: Yangpyeong) in Gyeonggi-do from February 2012 to November 2012 quarterly. The concentrations of PCDD/Fs ranged from 0.018 to $0.109pgTEQm^{-3}$ in Group I (mean value: $0.061pgTEQm^{-3}$), 0.059 to $0.367pgTEQm^{-3}$ in Group II (mean value: $0.179pgTEQm^{-3}$), 0.072 to $0.836pgTEQm^{-3}$ in Group III (mean value: $0.334pgTEQm^{-3}$) and 0.014 to $0.066pgTEQm^{-3}$ in Group IV (mean value: $0.034pgTEQm^{-3}$), respectively. In spite of the less PCDD/F emission sources than Group II (industrial regions), the level of PCDD/Fs in urban-rural mixed area showed the highest values with high fluctuation. It's likely that the Group III was affected by fugitive emissions such like biomass burning and unregulated open burning. The mean contribution of particle phase to total PCDD/F concentration was above 83% because most of PCDD/F congeners were partitioned into particle phase. We evaluated their gas-to-particles equilibriums with the regression between the particle-gas partition coefficient, $K_P(m^3{\mu}g^{-1})$ and corresponding subcooled liquid vapor pressure ($P_L$). The logarithm-$K_P$ of PCDD/Fs was poorly correlated with $P_L$ at low ambient temperature (below $10^{\circ}C$) and the slope (m) values for log-log plots of the $K_P$ vs. $P_L$ was steeper in the Group 2 and Group 3 than residential area. It implies that the slope values were likely influenced by both the direct emission source of PCDD/Fs and ambient temperature.

숯의 유해물질과 이들의 연소 중 상변화에 대한 열분석 연구 (A Thermal Study of the Harmful Chemical Species of Charcoal and Their Transformation during Combustion)

  • 윤혜온;김기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1-110
    • /
    • 2011
  • 숯은 제조 및 활용과정에서 연소를 통해 함유된 성분들을 방출한다. 연소는 숯의 화학조성뿐만 아니라 숯의 표면 물성변화를 초래하고 다른 성분을 흡착하기 쉬운 상태로 변형시키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판되는 4종 숯에 대하여 화학적, 열적안정성과 중금속 및 유기유해물질의 거동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온에서 $400^{\circ}C$까지 열중량분석(TGA)과 시차주사열량계를 이용한 연소에 따른 중량변화와 관련된 물질거동 연구를 수행하였다. TGA 분석결과 대부분 시료에서 $200^{\circ}C$ 이전 약 10% 중량이 감소하였으며, $200^{\circ}C$ 이전에 잔류유기물과 가스상 물질이 소실되는 것을 알려준다. 열분석에 의한 질량 감소는 천연숯과 인공숯에서 다르게 측정되었다. 천연숯 K1, C1 에서는 $400^{\circ}C$까지의 가열 반응결과 약 15% 중량 감소가 있었으며, 인공숯 K2, C2의 경우 약 20%의 중량 감소가 있는 것으로 검출되었다. 가열에 의한 $400^{\circ}C$ 이하 중량감소는 주요 유기물과 VOC의 소설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조성분석에 근거한 X-선 회절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첨가제인 Ba이 $Ba(NO_3)_2$$BaCO_3$ 등의 형태로 $NaNO_3$와 함께 숯에 다량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릿짚의 수분함량 및 수확시기가 소각시 대기오염물질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Barley Straw Burning Having Different Moisture Contents and Harvesting Timing on Air Pollutant Emission)

  • 고지연;강항원;이재생;김춘송;박성태;김복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9-103
    • /
    • 2004
  • 영남지방 벼-보리 이모작답에서 가장 널리 시행되고 있는 보릿짚 처리방법인 소각이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소각시 발생하는 온난화가스, 대기오염가스 및 분진발생량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보릿짚 소각시 온난화가스 발생량은 $CO_2$ 376.8, $CH_4$ 1.56, $N_2O$ 0.05 kg/10a로서 $CO_2$의 발생량이 가장 많았으며, 대기 오염가스 중에는 유기물의 불완전 연소시 배출되는 CO발생 량이 28.8 kg/10a로서 가장 많았다. 그 외 SO_2$, $H_2S$, $NH_3$, NO 등의 질소 및 황 함유 유해가스도 소량 발생되었고 발생된 PM 10 분진의 대부분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PM 10보다 큰 PM 2.5로 이루어져 있었다. 또한 수확시기가 빠르거나 수분함량이 높은 보릿짚일수록 온난화가스 및 대기오염 가스의 발생량이 증가하고 소각 연기 내 PM 10분진 중 PM 2.5의 미세분진 비중이 높았다. 수확적기로 알려진 출수 40일 이후의 보릿짚은 출수 후 40일된 보릿짚 소각시 발생하는 대기오염가스 발생량과 큰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