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igotroph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8초

Advances in Soil Microbial Ecology and the Ecocollections

  • Whang Kyung-Sook
    • 한국미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1-85
    • /
    • 2002
  • Oligotrophic bacteria isolated from forest soil showed a specific community consisting of various taxonomic groups compared with those in other soil or aquatic habitats. Based on the cell shape, the isolat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regular rod, curved/spiral rod, irregular rod, and prosthecate bacteria. The cellular fatty acids 60 oligotrophic isolates were analyzed. At the dendrogram based on cellular fatty acid composition, four clusters(I-IV) were separated at a euclidian distance of about 50. Based on the 16S rDNA sequence analysis, the two representative strains(MH256 and MA828) of cluster 3 showed the close relation to genera, Xathomonas/Stenotrophomonas, but were not included in these genera. The isolates with Q-10 were also studied. They are corresponded to the two large groups in Proteobacteria alpha subdivision. One was incorporated in the genus Bradyrhizobium cluster, which also includes Agromonas, a genus for oligotrophic bacteria. The strains of the other group showed high similarity to the genus Agrobacterium. We attempted to screening of bioactive compounds from oligotrophs which was isolated from forest soil. The active compounds were analyzed by mass and NMR spectrum, one of them identified as crisamicin A. Another one designated as SAPH is a new compoun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possibilities for finding new compounds from the rare microorganisms such as oligotrophs.

  • PDF

Micromonospora sp. SA-246 균주가 생산하는 Isochromanequinone계 항생물질

  • 여운형;윤봉식;황경숙;이정옥;유승헌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1-326
    • /
    • 1996
  • In the course of screening for new bioactive compounds from oligotrophs in soil, a microorganism, designated as SA-246 and now identified as Micromonospora sp., has been shown to produce a strong antibacterial compound. The active compound was purified from broth filtrate by ethylacetate extrac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reparative TLC and HPLC, and was identified as crisamicin A based on mass and NMR spectral data. The compound SA- 246 exhibited not only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but also cytotoxicity against cancer cell lines such as A549 (lung), SK-OV-3 (ovarian), SK-MEL-2 (melanoma), XF498 (central nervous system) and HCT15 (colon).

  • PDF

초염기성 사문암 토양 중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Bacterial Populations Found in Serpentinite Soil)

  • 이종화;;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6-20
    • /
    • 2003
  • 충남 홍성군 광천 사문암 토양지역의 석면폐광석(KS1)과 인근 토양(KG, KS2)은 pH8.5-9.2를 나타내어 초염기성 토양임이 확인되었다. KSI과 KS2 토양으로부터 통상농도의 alkaline 배지(AL)와 AL 배지를 $10^{-2}$로 희석한 DAL배지를 사용하여 평판법으로 세균수를 측정한 결과 AL 배지에서보다 DAL배지에서 10-100배 이상 높은 계수치를 나타내었다. 초염기성 사문암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75균주에대해 통상농도의 AL 배지에서의 중식 유무를 확인한 결과, 통상농도의 AL배지에서 증식 가능한 [AL세균군]과 AL배지에서는 증식이 저해되고 DAL 배지에서만 증식 가능한 [DAL세균군으로 크게 나누었다. DAL세균(42균주)은 $10^{-3}$ AL 배지(약 6mg C/L)에서도 증식 가능한 저영양성세균(oligotrophic bacteria)으로 사문암 토양 중 50% 이상 분포해 있음이 확인되었다. 분리된 75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계통해석한 결과 proteobacteria $\alpha$-subdivision (3균주), $\beta$-subdivision (7균주), $\gamma$-subdivision (2균주), high G+C gram-positive bacteria (19균주)와 low G+C gram-positive bacteria (14 strains)의 계통군을 나타내었다. 이들 세균중 AL세균군(34균주)은 high G+C gram positive bacteria 에 속하는 streptomyces과 low G+C gram positive bacteria에 속하는 Bacillus로 구성되었다. 한편, DAL세균군(42균주)은 high G+C 및 low G+C gram positive 계통군 이외에도 proteobacteria -subdivision에 속하는 Afipia와 Ralstonia, proteobacteria -subdivision에 속하는 Variovorax, proteobacteria $\beta$-subdivision에 속하는Pseudomonas로 구성되어 계통학적으로 다양한 세균임이 확인되었다.

삼림토양내(森林土壤內) 저영양세균(低營養細菌)의 형태(形態) 및 생리적특징(生理的特徵)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Morphological,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for Oligotrophnic Bacteria from Forest Soil)

  • 신관철;황경숙;하토리 타카하시
    • 농업과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152-162
    • /
    • 1989
  • 너도밤나무 삼림토양(森林土壤)의 각 층에는 저영양세균(低營養細菌)이 다수(多數) 존재(存在)해 있었다. 각 토양층으로 부터 분리(分離)한 저영양세균(低榮養細菌) 203주를 갖고 형태적(形態的), 생리적성질(生理的性質)을 검토한 결과 세포형태에 의해 크게 4개의 Group으로 대별되었다. (1) regular rods (73주), (2) curved/spiral rods (29주), (3) irregular rods (56주), (4) appendaged rods (45주)였다. 이와같이 저영양세균(低營養細菌)은 세포형태적(細胞形態的)으로 다양(多樣)한 세균의 집합이며, 그중에는 새로운 형태의 세균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 각 Group에 속하는 균주의 생리적특질(生理的特質)에도 각각 특징(特徵)이 보여졌다. 그중에는 리그닌의 단위구조물질(單位構造物質)인 feruric acid, p-coumaric acid를 이용하는 균, methanol을 이용하는 균 및 질소고정능(窒素固定能)을 갖는 균 등 흥미(興味)있는 성질을 갖는 세균이 포함되어져 있음을 밝혔다.

  • PDF

지속적 농업을 위한 고성능토양의 개발 연구-II 유기질비료 시용에 따른 토양미생물상의 변화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oil for High Efficient and Sustainable Agriculture-II Changes of Population of Soil Microorganisms in the Fertilized Soil with Organic Materials)

  • 유성준;장기운;황경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6호
    • /
    • pp.457-464
    • /
    • 1998
  • 유기질 비료(돈분, 계분)의 시비량을 달리하여 토양에 첨가한 후 3년간 토양미생물상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통상농도의 NB(nutrient broth) 평판배지와 m배지를 $10^{-2}$배 희석한 DNB(Diluted Nutrient Broth) 평판배지를 사용하여 세균수를 측정하였다. 유기질 비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및 30 Mg/ha 처리구의 경우 DNB 평판배지에서의 세균 계수치는 NB 평판배지보다 $5{\sim}10$배 이상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60 Mg/ha 처리구와 120 Mg/ha 처리구의 경우 3년이 지난 후에도 NB 평판배지에서의 계수치가 DNB 평판배지에서보다 $10{\sim}100$배 이상 지속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들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세균은 통상농도의 NB배지에서 증식 가능한 세균(NB세균)과 NB배지에서는 증식하지 않고 희석한 DNB배지에서만 증식하는 세균(DNB세균)으로 분류하여, 이들 세균의 분포율을 조사하였다. 대조구 토양의 경우 DNB세균은 60% 이상 높은 점유율을 나타낸 반면, 유기질 비료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DNB세균의 분포율이 크게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DNB세균은 유기질 비료를 과다하게 시용한 토양(60 Mg, 120 Mg/ha 처리구) 중에서 현저히 낮은 분포율(30% 이하)을 나타내었으며, 연속적으로 과다하게 시용할 경우 NB세균과 DNB세균의 동적 평형관계가 깨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토양내 사상균의 경우 유기질 비료 시용량에 관계없이 $10^4{\sim}10^5\;cfu/g$로 비교적 일정한 분포율을 나타내었지만, 방선균 수는 유기질 비료를 시용함으로써 대조구 토양에 비해 $10{\sim}100$배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 PDF

유기농 옥수수밭에서 경운이 토양 유기물 함량 및 미생물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illage on Organic Matters and Microbial Communities in Organically Cultivated Corn Field Soils)

  • 안달래;안난희;김다혜;한병학;유재홍;박인철;안재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5-74
    • /
    • 2020
  • BACKGROUND: Soil carbon sequestration has been investigated for a long time because of its potential to mitigate the greenhouse effect. No- or reduced tillage, crop rotations, or cover crops have been investigated and practiced to sequester carbon in soils but the roles of soil biota, particularly microorganisms, have been mostly ignored although they affect the amount and stability of soil organic matters. METHODS AND RESUL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organic matter and microbial community in organically cultivated corn field soils where no-tillage (NT) or conventional tillage (CT) had been practiced for about three years. The amounts of organic matter and recalcitrant carbon pool were 18.3 g/kg dry soil and 4.1 g C/kg dry soil, respectively in NT soils, while they were 12.4 and 2.5, respectively in CT soils. The amounts of RNA and DNA, and the copy numbers of bacterial 16S rRNA genes and fungal ITS sequences were higher in NT soils than in CT soils. No-tillage treatment increased the diversities of soil bacterial and fungal communities and clearly shifted the bacterial and fungal community structures. In NT soils the relative abundances of bacterial phyla known as copiotrophs, Betaproteobacteria and Bacteroidetes, increased while those known as oligotrophs, Acidobacteria and Verrucomicrobia, decreased compared to CT soils. The relative abundance of a fungal phylum, Glomeromycota, whose members are known as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was about two time higher in NT soils than in CT soils, suggesting that the higher amount of organic matter in NT soils is related to its abundance.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no-tillage treatment greatly affects soil microbial abundance and community structure, which may affect the amount and stability of soil organic matter.

바이칼호에서 분리한 빈영양성 세균과 저온성 세균의 탄소원 이용 특성 (Sole-Carbon-Source Utilization Patterns of Oligotrophic and Psychrotrophic Bacteria Isolated from Lake Baikal.)

  • 이건형;배명숙;박석환;송홍규;안태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48-253
    • /
    • 2004
  • 2000년 9월부터 2002년 12월 사이에 바이칼호에서 분리된 빈영양성 세균 168균주와 저온성 세균 132균주를 대상으로 BIOLOG Microplate를 이용하여 탄소원의 이용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빈영양성 세균 중 oxidase 양성 (GN-NENT 그룹)의 86% (56균주)와 oxidase음성 (GN-ENT그룹)의 89% (92균주), 저온성 세균 중 oxidase 음성 (GN-ENT 그룹)의 82% (85균주)는 다앙한 탄소원 중에서 $\alpha$-D-glucose를 이용할 수 있었으며, 저온성 세균 중 oxidase 양성 (GN-NENT 그룹)의 93% (26 균주)는 bromosuccinic acid를 이용하였다. $\alpha$-D-lactose는 빈영양성 GN-ENT 그룹의 일부만이 이용하였으며 나머지 균주들은 전혀 이용하지 못하였다. BIOLOG Microplate를 이용하여 동정된 균들을 속별로 살펴보면, Pseudomonas속이 49균주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도 Salmonella 속, Serratia속, Buttiauxella 속, Pantoea 속, Yersinia 속, Brevundimonas 속, Hydrogenophaga 속, Photorhabdus 속, Sphingomonas 속, Xenorhabdus 속이 동정되었다.

무 유기재배와 관행재배 토양의 화학성과 미생물 군집 비교 (Soil Chemical Property and Microbial Community under Organic and Conventional Radish Farming Systems)

  • 강호준;양성년;송관철;조영윤;김유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9-499
    • /
    • 2019
  • 본 연구는 제주지역 무 주산지에서 재배 방법(유기 vs. 관행)과 토양 종류(화산회토 vs. 비화산회토)에 따른 토양의 화학적 특성, 미생물 활성 그리고 미생물 군집 조성을 분석하고 요인간 연관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전반적으로 유기와 관행의 재배 방식에 따른 토양 화학성은 처리간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토양 미생물체량, 효소 활성, 종 풍부도와 다양성 그리고 미생물 군집 분포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토양 종류에 따른 화학성과 미생물 군집 분포 등 미생물학적 특성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유기재배 토양에서 관행 대비 토양의 세균, 방선균 및 사상균 그리고 미생물체량이 증가하였으며, Org-NA 토양에서 탈수소효소 활성, 종 풍부도(Chao 1) 그리고 종 다양성(Phyrogenetic diversity) 지수가 가장 높았다. 무 재배 토양에 분포하고 있는 주요 세균 문은 Proteobacteria, Acidobacteria, Chloroflexi, Firmicutes 그리고 Actinobacteria 등 5종이었으며 재배 방법 및 토양 종류에 관계없이 Proteobacteria 문이 화산회토에서 25.9%, 비화산회토에서 21.9~24.9%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그리고 대체로 화산회토와 비화산회토 토양 종류별로 유사한 군집 조성을 보였으며, 화산회토에서는 재배 방법별 주요 문의 군집 조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비화산회토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Firmicutes는 Org-NA 토양에서 21.0%, Acidobacteria는 Con-A에서 21.6%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는데 대체로 화산회토와 관행재배 토양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재배 방법 및 토양 종류별 미생물 군집을 대표하는 바이오마커를 찾기 위하여 LEfSe 분석을 실시한 결과, Firmicutes 문의 분포가 비화산회토와 유기재배 토양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토양 화학성 중에서 총유기탄소 함량, 유효인산 그리고 치환성칼륨 함량은 Firmicutes 등 주요 세균 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