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eic aicd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2초

Polyozellus multiplex가 생산하는 지질괴산화 저해물질

  • 황지숙;송경식;김양섭;석순자;이태호;유익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91-596
    • /
    • 1996
  • In the course of screening lipid peroxidation inhibitor from basidiomycetes, a mushroom, which was collected at O-Dae mountain in Kangweon- Do, was found to have active compound. The mushroom was identified as Polyzellus multiplex, which belongs to Aphylloporalles Thelephoraceae, on the basis of macroscopic and microscopic characteristics of the fruiting body. The methanol extract of fruiting body was extracted with benzene and ethylacetate, sequentially. By using various kinds of chromatographies, PM1, and PM2 and PM3, were purified from the ethylacetate extract and the benzene extract, respectively. Color reaction and analyses of IR, UV, and NMR spectra indicated that PM1 was a derivative of thelephoric acid, and PM2 and PM3 were linoleic acid and oleic acid, respectively. IC$_{50}$ of PM1 for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was 1.96 ppm and LD$_{50}$ was 500 mg/kg.

  • PDF

난황유의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Oil.)

  • 고무석;김종숙;최옥자;김용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7-91
    • /
    • 1997
  • 방사구와 비방사구에서 채취한 달걀 난황을 배소·압착하여 얻은 난황유를 Folch법으로 정제한 후 gas chromatography로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황유의 총지질과 중성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순으로 주성분을 이루었고, 당지질은 palmit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 lauric acid 순으로, 인지질은 oleic acid, lauric acid, palmitic acid 순으로 주성분을 나타냈다. 포화지방산 함량은 방사구 보다 비방사구에서 약간 높았고, 포화지방산에 대한 불포화지방산의 비율(USFA/SFA)은 비방사구보다 방사구에서 높았다.

  • PDF

폐경 후 여성의 지방산 섭취실태와 혈청 지질농도와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Fatty Acid Intake and Serum Lipids in Postmenopausal Women)

  • 이보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4호
    • /
    • pp.437-447
    • /
    • 1999
  • The intake of fatty acids, and the effects of fatty acid intake patterns on serum lipid concentrations was investigated in 112 postmenopausal women. Dietary intakes of fatty acids were assessed by means of a semi-quantitative food questionnaire with food models and other measuring tools. The intakes of saturated fatty acid(SFA), monounsaturated fatty acid(MFA)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PUFA) were 10.85g, 11.89g and 12.09g, respectively. The ratios of P/M/S and $\omega$6/$\omega$3 fatty acid were 1.19 : 1.10 : 1 and 6.65 ; 1, respectively. Serum lipid concentrations were adjusted for age, menopausal period, BMI, stress scores, exercise habit and energy intak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tty acid intake and serum lipids was measur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etary intake of SFA (p<0.10), MUFA(p<0.05), palmitic acid(p<0.10), stearic acid(p<0.05), oleic aicd(p<0.05), and arachidonic acid(p<0.10). Serumk LDL-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UFA(p<0.10), oleic acid(p<0.10), oleic acid(p<0.10), and arachidonic acid (p<0.10).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rachidonic acid(p<0.10). However, serum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y fatty acids.

  • PDF

율무가루 저장 중 Triglyceride 조성의 변화 (Changes of Triglyceride Composition in Adlay Powder during Storage)

  • 한지숙;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2-108
    • /
    • 1991
  • 율무가루를 $35^{\circ}C$에서 6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triglyceride조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율무지방질은 28종류의 triglyceride로 구성되었으며, 이들 중 주요한 triglyceride 조성으로는 OOL(24.14%), OLL(24.06%), OOO(12.58%), POL(9.01%), POO(8.87%), LLL(7.91%), PLL(5.80%)였다.$35^{\circ}C$에서 6개월간 저장하는 동안에 linoleic aicd를 함유한 triglyceride인 OLL과 LLL은 각각 조성비가 24.06%에서 15.25%로 7.91%에서 2.92%로 감소되었으나, 상대적으로 oleic aicd를 함유한 OOO 및 POO 조성비는 각각 12.58%에서 23.77%로, 8.87%에서 12.62%로 증가하였으며, 미량으로 함유되었던 LLA(0.44%)와 PPLn(0.12%)는 저장동안에 소실되었다. 이와같이 triglyceride의 산화현상은 triglyceride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이중결합의 수가 증가할수록 현저했으며, 특히 triglyceride에 함유된 이중결합의 총 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triglyceride를 구성하는 지방산 각각의 불포화도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신생흰쥐 피부섬유아세포의 배양액의 지방산의 종류와 양을 변화시켰을 때 세포의 증식과 지질과산화물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tty Acids Supplementation in Culture Medium on Proliferation and Lipid Peroxides Production of Fibroblast from Neonate Rats)

  • 장영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2호
    • /
    • pp.159-165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centration and degree of unsaturation of fatty acids on cellular proliferation and lipid peroxide production, using primary skin fibroblasts from neonate rats Fibroblasts (CPD : 2.8-5.4). Cells were cultured either in control mediu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upplement with 10% fetal bovine serum) or in media supplemented with various kinds (stearic, oleic, linoleic, arachidonic, linolenic, eicosapentaenoic acid) and amounts (5, 10, 25, 50, 100, 150uM)of fatty acids. Cellular proliferation ratio and lipid peroxice production were measured and morp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Cellular proliferation was inhibited and morp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Cellular proliferation was inhibited and morp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in cells grown in stearic containing media. Oleic, arachidonic, and eicosapentaenoic aicd tend to stimulate cellualar proliferation, and linolenic acid had no effects. Lipid peroxide concentrations in fibroblast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contents and unsaturation of fatty acids in media. Especially supplementation of arachidonic acid accelerated cellualr lipid peroxidation. Free radicals may cause severs damage to biological molecules, so lipid peroxidation probably contributes cellular membrane damages. However there were little relationship between lipid peroxide production and cellular proliferation in this study. (Korean J Nutrition 29(2) : 159~165, 1996)

  • PDF

Enzymatic Hydrolysis of Hydrophobic Triolein by Lipase in a Mone-phase Reaction System Containing Cyclodextrin; Reaction Characteristics

  • Lee, Yong-Hyun;Kim, Tae-Kwon;Shin, Hyun-Dong;Park, Dong-Cha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3권2호
    • /
    • pp.103-108
    • /
    • 1998
  • A hydrophobic substrate triolein was hydrolyzed by lipase in a mono-phase reaction system containing cyclodextrin(CD) as emulsifier. The triolein was transformation to an emulsion-like state in the CD containing reaction system in contrast to the oil-droplet like state without CD due to the formation of an inclusion complex between the lipids and CDs. The hydyrolysis reaction increased substantially in the CD containing reaction system, and the optimum reaction conditions including the amount of lipase, ${\beta}$-CD concentration, and mixing ratio of triolein and ${\beta}$-CD, were determined. The performance of the enzyme reaction in a mono-phase reaction system was compared with that of a two-phase reaction system which used water immiscible hexane as the organic solvent. The role of a CD in the mono-phase reaction system was elucidated by comparing the degree of the inclusion complex formation with triolein and oleic acid, Km and Vmax values, and product inhibition by oleic aicd in aqueous and CD containing reaction systems. The resulting enhanced reaction seems to be caused by two phenomena; the increased accessibility of lipase to triolein and reduced product inhibition by oleic acid through the formation of an inclusion complex.

  • PDF

은행종실(銀杏種實)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of Ginkgo Nut)

  • 정안석;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9-123
    • /
    • 1978
  • 은행의 종실 및 잎중에서 추출 정제한 유지에 대한 지방질의 구성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선한 종실 및 잎중의 정제한 총지방질의 함량은 각각 1.32% 및 2.24%였다. 2) 종실중의 총지방질중에는 중성지질이 약 89%, 복합지질이 약 10% 함유되어 있는데 반하여 잎중에는 중성지질이 약 28%, 복합지질이 약 72% 함유되어 있었다. 3) 종실중의 중성지질의 구성분은 다른 식물성 유지와 같이 triglyceride가 주성분으로 약 86%함유되어 있었으며, esterified sterol이 약 9%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그러나 잎중에는 esterified sterol이 약 53%로 가장 많았고 triglyceride는 약 18%에 불과하였다. 4) 종실중의 총지방질의 주요한 구성지방산은 oleic acid(37.5%) 및 linolenic aicd(44.5%)이고, 잎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45.2%) 및 palmitic acid(25.1%)였다. 또 종실과 잎중의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 조성은 서로 비슷하고, oleic, linoleic 및 palmitic acid가 주요 지방산이었다. 그리고 당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조성은 종실에는 oleic 및 linoleic acid의 함량이 잎보다 많은데 비하여 linolenic acid의 함량은 잎이 종실보다 훨씬 많았다. 인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조성은 종실과 잎이 모두 당지질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 PDF

돈피의 부위별 특성과 이화학적 성분분석

  • 전기홍;김영붕;양승용;이남혁;문윤선;박미선;장애라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제36차 추계 학술발표대회
    • /
    • pp.107-110
    • /
    • 2005
  • 돈피를 부위별로 분류하여 일반성분, 아미노산, 지방산, 색도, 조직감,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일반성분은 등 부위를 제외한 부위들이 비슷한 수치를 보였고 아미노산은 앞다리 부위와 뒷다리 부위가 필수 아미노산 함유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돈피의 지방산 함량은 부위에 따라서는 크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지방산의 종류별로는 oleic aicd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색도는 붉고 황색기가 적으며 명도가 높은 등 부위와 배 부위가 높은 수치를 보였고 이는 관능에 영향을 미쳐 명도가 낮고 붉은 황색을 띄는 앞다리보다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 PDF

난각의 손상 없이 조미액가압침투방법을 이용한 훈제 계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zation of Smoked Egg by Penetration Seasoning through Pressurization method without Damaging Eggshell)

  • 김진곤;조형진;황용일;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04-212
    • /
    • 2016
  • 본 연구는 난각의 손상 없이 조미액 가압침투 방법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식용할 수 있는 훈제 계란을 개발하고, 제품의 품질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동결 건조된 훈제 계란의 일반성분의 경우 수분 2.43%, 조회분 4.11%, 조단백질 46.08%, 조지방 40.85%, 탄수화물은 6.53%이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3.11 mg%, 총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35.70%, 불포화지방산은 64.30%로 나타났다. 주요 포화지방산으로 Palmitic acid(C16:0), Stearic acid(C18:0), Lauric acid(C12:0) 이었고, 주요 불포화지방산으로는 Oleic aicd(C18:1), Linoleic aicd(C18:2)로 나타났다. 색도는 훈제 계란은 훈연에 의해 난각의 색이 매우 짙은 갈색이었고, 난백, 난황, 난각은 삶은 계란에 비해 어둡게 나타났으며, a(redness)값은 훈제 계란이 높게 나타났다. 훈제 계란은 삶은 계란에 비해 관능적으로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는 조미액과 훈연향에 의해 선호도가 높아졌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난각의 손상 없이 조미액이 침투된 훈제 계란을 제조하는 방법과 그 품질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국내 계란을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과 난 가공 산업의 발전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hlorella ellipsoidea 엽록체의 인지질 생합성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항생제의 효과 (Effect of Antibiotics on Phospholipid Biosynthesi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Chlorella ellipsoidea Chloroplasts)

  • 조수열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1호
    • /
    • pp.25-36
    • /
    • 1992
  • Chlorella 엽록체에서 인지질 생합성과 그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amphotericin B($150\;\mu\textrm{g}/ml$)와 cycloheximide($10\;\mu\textrm{g}/ml$)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Total lipid와 인지질 함량(PC, PE, PI)은 항생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낮았다. Whole cell system에서의 주요 지방산은 대조구에서는 palmitic acid(31.96%)와 linoleic acid(16.96%)로 나타났으나 amphotericin B 처리구에서는 palmitic acid(36.15%)와 linolenic acid(16.71%)로 분석되었다. 또한 cycloheximide 처리구에서는 palmitic acid(31.90%)와 stearic acid(15.32%)가 인지질 형성에 이용되었다. 분리한 엽록체의 대조구(33.75%, 18.90)와 amphotericin B 처리(36.75%, 9.46%)에서 분리한 엽록체에서 인지질 형성에 이용되는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와 linolenic aicd였으나 cycloheximide 처리구에서는 palmitic acid(28.01%)와 oleic acid(19.27%)가 인지질생합성에 도입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