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eic acid

검색결과 1,478건 처리시간 0.026초

Preliminary Imaging Analysis for Enhanced Intestinal Uptake of Non-soluble Polystyrene Microspheres in the Presence of Oleic Acid using Rat Intestine

  • Tran, Huyen Thi Thanh;Tran, Phuong Ha Lien;Tran, Thao Truong-Dinh;Lee, Kyung-Ho;Lee, Beom-Jin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9권3호
    • /
    • pp.155-159
    • /
    • 2009
  • In vitro intestinal uptake of non-soluble polystyrene microspheres (NPMS) was visualized with and without oleic acid using a fluorescence microscopy. Fluorescent polystyrene latex microspheres with 1${\mu}$m larger size were used as models for nonspecifically absorbed nonbiodegradable particulates. The NPMS could not penetrate the enterocytes but a few NPMS could be penetrated via Peyer's patches. When the oleic acid was mixed with NPMS, the transporting efficiency of NPMS through enterocytes as well as Peyer's patches was significantly enhanced. The modification of the intestinal membrane permeability and surface feature of the NPMS in the presence of oleic acid might be a clue to the transport of NSPM although the detailed mechanism is still under investigation.

개에서 Oleic acid로 유발시킨 급성췌장염에 대한 Trypsin inhibitor의 투여효과 (Effects of Trypsin Inhibitors on Oleic acid Induced Acute Pancreatitis in Dogs)

  • 윤영민;최희인;조명행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5권2호
    • /
    • pp.158-164
    • /
    • 1997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ypsin inhibitors, aprotinin and urinary trypsin inhibitor (UTI), on the cute pancreatiti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dogs of acute pancreatitis induced by oleic acid (0.28 mg/kg). Administration with aprotinin and UTI seemed to have a therapeutic effect on the clinical sign, ultrasonographic finding, histopathologic finding. But in amylase and lipase activ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 PDF

참깨 품질 개량에 관한 연구 제1보 참깨 유질평가와 지방산조성의 품질간 차이 (Breeding of Sesame (Sesamum indicum L.) for Oil Quality Improvement 1. Study on the evaluation of oil quality and the differences of fatty acid composition between varieties in sesame)

  • 이정일;강철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4-65
    • /
    • 1980
  • 참깨의 유질을 개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참깨유구성지방산 종류별 함량의 품종간 차리와 조성의 특성을 밝히고자 시험을 하였는 바 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불포화지방산인 Olieic acid는 평균 39% 함유 되어 있으며 최저함량은 32.6%에서 최고함량은47.3%까지 14.7%의 변이복을 가지적 주지방산인 Linoleic acid의 함량은 평균적으로 45.8%이며 최w저 31.1%에서 최고 54.9%까지 무려 23.8%의 품종간 차를 보였다. 2.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의 함량에서는 Palmitic acid의 평균함량은 9.5% 최저 4.6%, 최고 18%로서 13.4%의 품종간 차이가 있으며 Stearic acid 평균함량 4.8%, 최저 1%에서 최고 9%까지 8%의 품종간 변이를 보였다. 3. 품종 유래에 따른 지방산 조성 차이를 보면 한국품종과 미국품종들이 Palmitic, Stearic acid 함량이 가장 낮고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는데 특히 한국품종은 가장 양질유 품종들이었다. 대체로 재배기간의 온도가 높을수록 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4. 특히 한국재래종은 불포화양질유지방산 함량이 세계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재래종인 만성종은 Linoleic acid 함량이 54.9%이며 Oleic + Linoleic acid 함량이 92%에 이르러 참깨 지방산 개량육종에 중요한 유전자원이라 할 수 있다. 5. 참깨 종피색별 지방산조성 차이에서는 양질지방산인 Linoleic acid 함량과 Oleic acid함량이 가장 높았던 것은 황색 종피종(47.5%)이었으며 그다음이 갈색 종피종이었다. 6. 지방산 조성의 숙기별 차를 보면 포화지방산에서는 숙기별 차이가 거의 없으나 불포화지방산중 Oleic acid는 조숙에서 만숙으로 갈수록 함량이 감소하는데 반해서 Linoleic acid는 만숙일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특히 조숙종에서는 Oleic acid 함량이 Linoleic acid 함량보다 약간 더 높아서 중ㆍ만숙종과 조성 패턴이 다름을 보여 주었다. 7 착과습성에 따른 지방산조성 차이에서는 1과성은 포화지방산이 높고 3과성은 불포화지방산중 Linoleic acid 함량이 1과성보다 월등히 높았으나 Oleic acid 함량은 1과성보다 약관 낮은 편이었다. 8. 실방수 차이에서는 3과성 2실4수이 불포화지방산이 가장 높았고 포화지방산에서는 1과성 2실4수이 가장 높았다. 4실8수에서는 일정한 영향이 보이지 않았다. 9. 지방산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 간에는 r =-0.955**의 높은 부의 상관을 보여 지방산 개량육종의 전망을 밝게 해주며 O1eic과 Linoleic acid간에도 에우 높은 부상관을 나타내고 있어 필수지방산 함량을 높이는 개량 육종도 가능하다.

  • PDF

산초유의 지방산 조성과 마우스 혈청 및 간장의 지방산 조성변화 (Fatty Acid Composition of Serum and Liver in Mice and Sancho(Zanthoxylum schinifolium) Seed Oil)

  • 차재영;신승렬;조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08-312
    • /
    • 2000
  • 산초유 전지질 분획에서 주요 구성지방산 조성은 eicosenoic acid 30.88%, linoleic acid 23.4%, oleic acid 19.94%, palmitic acid 10.52% 순으로 나타났으며, n-9계열 일가불포화지방산이 약 60% 이상을 차지하였다. 또한 산초유의 각 지질 분획의 구성지방산 조성에서는, triglyceride 분획에서 eicosenoic acid가 41.16%로 가장 높았고, 나머지 분획들에서는 oleic acid가 34.32~53.58%로 높게 나타났다. 마우스를 24시간 절식시킨 상태에서 산초유를 마리당 500 mg씩 강제 경구투여 한 후 혈청 및 간장 전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투여전, 투여 3시간 및 6시간 후의 경시적인 변화를 관찰한 결과, 혈청 전지질 중의 eicosenoic acid가 투여 전에는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투여 3시간 및 6시간 후에는 경시적으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간장에서도 산초유 투여 6시간 후에 eicosenoic acid의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다. 따라서, 혈청 및 간장 전지질 중의 eicosenoic acid의 증가는 산초 원료유의 섭취 영향과 지방질 대사과정에서 oleic acid로부터의 전환이 시사되어진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산초유에는 일반 종실유와는 달리 n-9 계열 일가불포화지방산인 eicosenoic acid와 oleic acid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마우스의 혈청 및 간장 전지질 중의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경구투여한 원료유 지방산 섭취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시사되어졌다.

  • PDF

현미와 백미의 지질 함량 및 중성 지질의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pid Content and Neutral Lipid Composition of Brown Rice and Milled Rice)

  • 이희자;이현주;변시명;김형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85-593
    • /
    • 1988
  • 다수계 품종인 남풍, 밀양 23호와 일반계 품종인 화성, 진흥을 각각 현미, 백미, 겨로 구분하여 준비한 12가지 시료의 지질 성분을 비교하여 보고자 총 지질의 함량, thin layer chromatography(TLC)를 이용한 중성지질의 조성, gas chromatography(GC)를 이용한 각 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살펴 보았다. 1. 다수계 2품종, 일반계 2품종을 각각 현미, 백미, 겨로 구분한 12종류의 시료에서 추출한 총 지질의 함량은 현미가 평균 2.65%, 백미가 1.09%, 겨가 20.24%였으며, 품종, 다수계, 일반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중성지질의 함량비는 현미가 평균 83.53%, 백미가 87.72%, 겨가 91.06%로 겨의 중성지질 비율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다. 당지질은 현미가 12.39%로 가장 높았고. 백미와 겨는 같은 수준이었다. 인지질의 함량비는 겨가 가장 낮았는데 그중에서도 일반계는 다수계 보다 인지질 함량비가 높았으며, 백미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2. 중성지질의 조성은 thin layer chromatography(TLC) 상에 7가지가 분리 되었고 그 중 6가지 종류의 중성지질을 표준품의 Rf치와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triglyceride(TG) 함량이 현미 56.73%, 백미 52.48%, 겨가 36.42%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free fatty acids(FFA), steryl esters(SE) 순이었다. 현미와 백미에 비해 겨의 TG함량은 매우 낮은 편이고, FFA는 32.49%로 현미의 17.63%, 백비의 24.39%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3.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가 37.28%, linoleic acid가 39.08%로 함량이 비슷한 정도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palmitic acid였다. 겨의 oleic acid 함량이 40.42%로 현미와 백미에 비해 높았고, linoleic acid는 현미와 백미에 비해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다수계, 일반계, 품종 그리고 도정에 의해 총 지질의 조성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 중성지질의 지방산조성은 총 지질의 지방산 조성과 별 차이 없이 oleic acid와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palmitic acid였다. 현미는 oleic acid와 linoleic acid 함량이 각각 37.47%, 38.40%로 거의 차이가 없었고, 백미는 linoleic acid 함량이 43.16%로 oleic acid에 비해 높았으며, 겨는 oleic acid 함량이 40.97%로 높고 linoleic acid 함량이 낮았다.

  • PDF

Stimulation of Cephalosporin C Production by Acremonium chrysogenum M35 with Fatty Acids

  • Kim Jong-Chae;Kang Seong-Woo;Lim Jung-Soo;Song Yoon-Seok;Kim Seung-Wo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7호
    • /
    • pp.1120-1124
    • /
    • 2006
  • Supplementation with rice oil and its major components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ephalosporin C (CPC) production and cell growth by A. chrysogenum M35 in shake flask cultures. Five percent (v/v) rice oil had the most robust effect and 5% (v/v) oleic acid was the second most efficient on cell growth, whereas 3% (v/v) linoleic acid was found to be optimal for CPC production. Rice oil,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also significantly improved the rates of glucose consumption. When glucose was almost consumed, CPC production was initiated and, on the addition of rice oil, lipase activity increased steadily to 1.56 U/ml for 4 day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ice oil and fatty acids are used as carbon source to produce CPC by A. chrysogenum M35. Moreover, a mixture, composed of 40% (v/v) oleic acid and 60% (v/v) linoleic acid, had the strongest stimulatory effect on CPC production, due to a synergistic effect of the two fatty acids. Consequently, the maximum CPC titer (7.44 g/l) was improved about 4.5-fold.

Variations i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Peanut Mutants Induced by Gamma Radiation

  • Doo, Hong Soo;Cheong, Young Keun;Paik, Ki Hun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3-118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eanut mutants induced by gamma radiation (Co-60) at 300 Gy in seeds of the cultivar Shinnamkwang. The protein contents of twenty-eight peanut mutants ranged from 23.3% to 31.7% and were increased by from 0.5% to 8.4% in fifteen mutants lines from the 26.8% of the original variety, cv. Shinnamkwang. Lipid contents of in mutants ranged from 43.2% to 53.5%, an increase of 0.2% to 5.7% from the 47.8% of the original variety. The range of unsaturated oleic acid in 28 mutants was from 38.9% to 56.9% an increase of from 1.3% to 14.0% from the 50.6% in the original variety. Linoleic acid, the highest unsaturated fatty acid, constituted 32.6% meanly of mutants, it was 17.4% lesser than oleic acid, ranging from 25.9% to 42.0%. Palmitic acid (16:0) contents ranged from 8.6% to 11.1%, and the mutant line-9 had the highest content. The ratio of oleic to linoleic acid was 0.9 to 2.2. A negative coefficient (r=-0.98**) was obtained between oleic and linoleic acid, but for other fatty acids, no significant relation was observed. Similarly, a negative coefficient of r=-0.68**was observed between saturated and unsaturated acids. The sucrose compositions of mutants ranged from 2.6% to 6.2%.

Marbling and Its Nutritional Impact on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 Smith, Stephen B.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35-444
    • /
    • 2016
  • This review addresses the role of fat in beef palatability and healthfulness. Particular emphasis is placed on the content of oleic acid in beef, and how this increases with time when cattle are fed a grain-based diet. Oleic acid decreases the melting point of lipids from beef, increasing the perception of juiciness and improving beef flavor. Clinical trials have demonstrated that ground beef containing elevated oleic acid increases, or at the least has no negative effects on the concentration of HDL cholesterol. The amount of fat in published ground beef intervention trials greatly exceeds the amount of fat in equivalent portions of beef from U.S. domestic or Korean Hanwoo cattle. Thus, we conclude 1) Beef cattle should be raised under production conditions that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oleic acid in their edible tissues (i.e., by grain feeding over extended periods of time); and 2) The amount of fat consumed in a typical portion of beef will not increase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Transdermal Delivery of Piroxicam Using Microemulsions

  • Park Eun-Seak;Cui Yu;Yun Bum-Jin;Ko In-Ja;Chi Sang-Cheo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243-248
    • /
    • 2005
  • To improve the skin permeability of piroxicam, a new oil-in-water microemulsion containing $0.5\%$ piroxicam was developed. Among various oils investigated for their suitability as an oil phase for the microemulsion system, oleic acid showed both excellent solubility and skin permeation enhancing effect for piroxicam. Microemulsion existence rang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pseudo-ternary phase diagram. The effect of the content of oleic acid and the ratio of the surfactant/cosurfactant on skin permeation of piroxicam were evaluated with excised rat skins. The optimum formulation with the highest skin permeation rate ($47.14\;{\mu}g/cm^2/h$) consisted of $0.5\%$ piroxicam, $10\%$ oleic acid, $60\%$ Labrasol/ethanol (1:5) and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