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der workers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3초

취약계층 노인의 허약예방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자원연계 사례: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의 돌봄대상자 (Community Resource Linkage to Revitalize Frailty Prevention Programs for Vulnerable Seniors: Persons Receiving Care from Living Support Workers in the Elderly Customized Care Project)

  • 김선정;임은실;장현진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6-74
    • /
    • 2024
  • Purpose: This study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providing frailty prevention services by living support workers through a case of community resource connection centered on living support workers to revitalize frailty prevention programs for vulnerable elderly people. Methods: This is a research study using secondary data from a neighborhood health-sharing project among the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jects of one public health center in Daegu Metropolitan City. To assess frailty effects pre-assessments were conducted in August, and post-assessments were conducted in November. Frailty was measured using a 20-item frailty instrument used in home healthcare project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Preliminary measurements showed that older elderly had higher frailty scores than younger elderly. However, among the elderly aged 75 or older the total frailty score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rom 5.97 points to 5.30 points (t=3.03, p=.003). Conclusion: The older elderly showed greater effect of frailty prevention than the younger elderly.

남성 중고령 근로자의 직무요구도와 건강행동의 종단적 관계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job demands and health behaviors of middle-aged and older male workers)

  • 정윤경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13-21
    • /
    • 2016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job demands and problem drinking, smoking, and practice of regular exercise among middle-aged and older male employees. Methods: Analyses were based on 239 employees aged 50+ and participated the 1st(2006) and the 4th(2012)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Panel logit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plore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physical and cognitive job demands and the health behaviors when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 job conditions were controlled. Results: Results suggested that first, workers who reported greater cognitive job demands were less likely to engage in problem drinking over the 6-year-period. Second, increased physical demands of the job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odds of smoking, while physical demands predicted a reduced likelihood of practicing regular exercise. Conclusions: Results from the present analyses emphasize job demands could lead workers to problem health behaviors and suggest areas for health promotion efforts at the workplace that are sensitive to the needs of aging workers.

Relationship of Occupational Category With Risk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Problems

  • Ahn, Jaeouk;Kim, Nam-Soo;Lee, Byung-Kook;Park, Jungsun;Kim, Yangho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0권4호
    • /
    • pp.504-511
    • /
    • 2019
  • Objectives: We evaluated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problems of waged workers in Korea who had different classes of occupation.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7) to examine 22,788 workers who were waged employees and categorized these workers into 5 occupational classes. Results: "Unskilled manual workers" were more likely to be older, less educated, have lower monthly income, and work fewer hours per week. Among men and relative to "managers and professionals" (reference group), "skilled manual workers" were more likely to have physician-diagnosed osteoarthritis, "clerks" were less likely to report suicidal ideation, and "unskilled manual workers" were more likely to report suicidal ideation. Among women and relative to "managers and professionals" (reference group), "service and sales workers" and "unskilled manual workers" were more likely to report physician-diagnosed osteoarthritis, depressive feelings, and suicidal ideation. However, hypertension, hyperlipidemia,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did not differ among the occupational classes for men and women. Conclusion: We identified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and among those in different occupational classes regarding employment status,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Unskilled manual workers" of both genders were more likely to be older, less educated, have less monthly income, work fewer hours per week, and have suicidal ideation. Female "service and sales workers" were more likely to have osteoarthritis, depressive feelings, and suicidal ideation.

Health Capacity to Work at Older Ages in South Korea: Estimates and Implications for Public Pension Policies

  • KIM, DOHYU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1권2호
    • /
    • pp.41-58
    • /
    • 2019
  • Health capacity to work for the elderly is an essential piece of information for designing social policies in an aging society. Here, we assess the health capacity to work of older men in South Korea and provide a cross-country comparison. Following the methodology proposed by Milligan and Wise (2012), which uses the cohort mortality rate as a proxy for overall health status, we quantify the additional employment capacity of current older men in reference to the mortality-employment relationship of a generation ago. Despite the high employment rate of older men in South Korea, we find substantial additional employment capacity among older men (those aged 55 or more) as of 2016 comparable in size to those found in other advanced countries. We also find evidence that older men are not merely capable of working but are also willing to work, and many of them are increasingly combining pension income and work.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abor supply disincentives for older men embedded in public pension systems in South Korea need to be thoroughly reexamined and adjusted accordingly lest they should inhibit the labor supply of older workers.

고령 임금근로자들의 일하는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서울지역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Working Life of Older Wage Earners: Focusing on the Elderly in Seoul)

  • 박지숭;윤민석
    • 한국노년학
    • /
    • 제37권2호
    • /
    • pp.497-516
    • /
    • 2017
  • 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녀 임금근로자 12명을 대상으로 고령 임금근로자들의 일하는 삶이 갖는 의미와 본질적 구조를 탐색하였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Giorgi(2012)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총 349개의 의미단위, 35개의 중심의미, 16개의 드러난 주제(하위 구성요소), 그리고 6개의 본질적 주제(구성요소)를 구성하였다. 본질적 주제는 괄시와 편견을 견디는 삶, 노년의 포도청(捕盜廳), 을 중의 을로서의 멍에, 뛰어 넘을 수 없는 벽, 일을 통해 청년의 시간 되살리기, 노동 자존감이었고, 이러한 6개의 본질적 주제는 '고단한 노년의 삶 속에서 간헐적으로 느끼는 작은 행복'으로 귀결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고령 임금근로자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불안정한 고용환경으로 인해 삶이 고단하지만, 노년에도 일을 할 수 있다는 안도감과 노동을 통한 자긍심을 통해 고단함을 견딜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고령임금근로자들에게 일은 경제적 고민을 덜어 줄 뿐만 아니라 노동을 통해 노년기 자존감을 높여주고 건강을 유지하게 해 주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일하는 노년의 삶은 고단하다. 그러나 노동 자체가 고령 임금근로자의 삶을 고단하게 만들기보다는, 단지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겪는 부당한 처우와 사회적인 편견, 괄시가 일하는 삶의 무게를 가중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일하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부당한 근로환경은 인권보호의 관점에서 사회적 논의와 법적 조치가 필요하다. 둘째, 고령자들의 경험을 활용해 사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 셋째, 고령 근로자들이 컴퓨터를 활용한 업무능력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컴퓨터 및 인터넷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운수업근로자의 연령에 따른 직무특성 및 건강이 사고경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and Health on Accident Experience according to Age of Transportation Workers)

  • 권미화;이재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50-36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연령에 따른 운수업근로자의 직무특성과 건강이 사고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사고예방과 고령운수업근로자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실시한 '제 4차 근로환경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997명의 운수업근로자 자료를 상관분석과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운수업근로자의 연령과 사고경험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수업근로자의 특성과 사고경험과의 관계에서 고령근로자의 경우, '직무수행 중 실수 시 타인이 다침', '근골격계 문제', '심혈관계 문제', '손이나 팔의 반복동작'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에 대한 모델 설명력은 56.9%였다(p<.01). 비고령근로자의 경우에는, '우울 및 불안장애', '직무와 안전과의 관계', '직무수행 중 실수 시 타인이 다침', '노동조합 여부'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델 설명력은 21.8%였다(p<.01). 따라서 추후 운수업근로자들의 사고예방을 위해서는 연령 이외에도 건강과 직무특성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독거노인 친구만들기」를 통해 살펴본 '숨겨진 이웃', 사회적 고립이 심각한 노인 1인 가구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연구 (Social Worker's Perceptions and Working Experiences of Older Adults Who Live Alone in Severe Social Isolation Based on the Case of 「Making Friends of Older Adults who Live Alone」)

  • 김유진
    • 한국노년학
    • /
    • 제38권4호
    • /
    • pp.1149-117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고립에 처한 노인 중에서도 마치 '숨겨진' 것처럼 심각한 고립 상태에 있는 노인 1인가구에 대한 사회적 개입에 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질적기술연구 방법을 통하여 "독거노인 친구만들기" 사업의 사회복지사들이 심각한 고립 상황에 있는 독거노인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사업 수행 경과에 따라 노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있는지, 그리고 노인들에게 사례관리를 제공하면서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사 40명과의 심층 면담, 70명 노인의 사례관리 기록지, 연구일지를 수집하였고 질적 내용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질문에 맞추어 자료 분석의 결과를 크게 두 개의 범주와 각각 네 개의 하위범주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 범주: 문전박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방문을 통해 막연하게 일반화하여 보던 노인들의 삶과 상처를 개별적으로 보게 됨, 두 번째 범주: 노인의 작은 변화들에 뿌듯해하지만 사회적 돌봄의 현실적인 한계를 실감함.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사항을 제안하였다: 1) '은둔형' 용어 사용의 제고, 2) 사회적 고립에 처한 노인의 다양성에 대한 연구, 3) "독거노인 친구만들기"사업 인력에 대한 정서적 교육적 지원, 4)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연계를 위한 고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양상 분석: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ocio-demographic Factors Related to Older Adults'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Patterns)

  • 김영석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959-976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양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2017년 노인실태조사」의 원자료를 바탕으로 65세 이상 노인 10,073명의 성별, 연령, 학력, 연가구소득, 최장기 일자리 지위, 건강상태에 따라 평생교육 참여여부, 참여영역, 참여기관, 참여빈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성(성별), 70-74세, 75-79세(연령), 중학교 재학/졸업, 고등학교 재학/졸업, 전문대학 휴학 이상(학력), 상용근로자, 무급가족종사자(최장기 일자리 지위), 그리고 건강상태의 노인집단이 평생교육에 보다 많이 참여하였다. 중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집단과 고등학교 졸업이상 집단, 그리고 제1, 2분위 소득집단과 제3, 4, 5분위 소득집단 간에 유의미한 평생교육 참여영역에 차이가 발견되었다. 평생교육 참여기관과 관련해서는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교실은 70세 이상, 중학교 학력 이하, 3분위 소득 이하, 건강이 나쁜 집단이 참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평생교육 참여빈도와 관련해서는 무학에 비해 고등학교 재학/졸업 및 전문대학 휴학 이상 집단이, 무급가족종사자에 비해 상용근로자 집단이 자주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우려되고 있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 불평등 현상이 노인 집단 안에서도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다.

재가노인 돌봄 요양보호사의 우울 및 스트레스 관련 요인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and Stress among Korean Women Care-workers for Older Adults Dwelling in Community)

  • 전경숙;유선주;김묘경;김유미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18
    • /
    • 2017
  •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and explored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women care-workers caring older adults living in community. Methods: A total of 465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Depressive symptoms was measured by the CES-D10 and distress was assessed using a single question given 5 Likert scale. Results: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and distress among care-workers were 32.5% and 32.0% respectively. Work environment safety,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work-family conflict, weekly care work time, and poor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Only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and poor health status were associated with distress.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more attention on mental health of care-workers and their risky work condition such as violence.

고령 근로자의 추락 재해 예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Fall Accidents for Elderly Workers)

  • 김건희;정명진;김태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349-354
    • /
    • 2019
  • 건설현장에서 추락으로 인해 사망하는 근로자는 전체 사망자의 약 40%를 차지하며 사망사고 주요 발생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인구구성이 점차 고령화됨에 따라 건설현장에서도 고령화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신체기능 저하 인지능력 저하 등에 따른 추락재해가 점점 증가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고령 근로자 추락에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재해 당사자인 고령 근로자에 초점을 맞춰 보다 근본적인 추락 예방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