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munity Resource Linkage to Revitalize Frailty Prevention Programs for Vulnerable Seniors: Persons Receiving Care from Living Support Workers in the Elderly Customized Care Project

취약계층 노인의 허약예방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자원연계 사례: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의 돌봄대상자

  • 김선정 (대구보건대학교 간호대학) ;
  • 임은실 (대구보건대학교 간호대학) ;
  • 장현진 (대구광역시 북구보건소)
  • Received : 2024.05.30
  • Accepted : 2024.06.06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Purpose: This study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providing frailty prevention services by living support workers through a case of community resource connection centered on living support workers to revitalize frailty prevention programs for vulnerable elderly people. Methods: This is a research study using secondary data from a neighborhood health-sharing project among the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jects of one public health center in Daegu Metropolitan City. To assess frailty effects pre-assessments were conducted in August, and post-assessments were conducted in November. Frailty was measured using a 20-item frailty instrument used in home healthcare project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Preliminary measurements showed that older elderly had higher frailty scores than younger elderly. However, among the elderly aged 75 or older the total frailty score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rom 5.97 points to 5.30 points (t=3.03, p=.003). Conclusion: The older elderly showed greater effect of frailty prevention than the younger elderly.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23 고령자 통계. 2024.
  2. 김남순, 박은자, 전진아, 서제희, 정연, 송은솔 등.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건강 현황과 보건의료 복지 서비스 제공 모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협동보고서 2017-01.
  3. 보건복지부. 2024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안내- 방문건강관리. 2023.
  4. 배현지, 김진현.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을 위한 간호사 인력의 적정 수요 추정.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5;12(1):23-32. https://doi.org/10.16952/pns.2015.12.1.23
  5. 보건복지부. 2024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업안내. 2024.
  6. Cesari M, Demougeot L, Boccalon H, Vellas B. Prevalence of Frailty and Mobility Limitation in a Rural Setting in France. Journal of Frailty Aging. 2012;1(4):169-173. https://doi.org/10.14283/jfa.2012.26
  7. 선우덕, 송현종, 김동진, 이윤환. 허약노인대상의 보건의료서비스 개발 및 효율적 운영체계 구축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04-02.
  8. Fried LP, Tangen CM, Walston J, Newman AB, Hirsch C, Gottdiener J, et al. Frailty in older adults: evidence for a phenotyp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2001;56(3):M146-M156. https://doi.org/10.1093/gerona/56.3.m146
  9. 김기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정책의 효과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 명지대학교; 2024.
  10. 전용호.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도입의 의미와 과제. 한국노년학회. 2020;40(4):599-616. https://doi.org/10.31888/JKGS.2020.40.4.599
  11. 황경란, 최성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운영에 관한 경기도 현황분석. 경기복지재단. 2021;04
  12. 김영지, 장숙랑.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취약계층 노인의 허약과 우울의 개선에 관한 연구. Journal of Korean Geriatric Society. 2016;20(2):85-93. https://doi.org/10.4235/jkgs.2016.20.2.85
  13. 이인숙, 고영, 이광옥, 임은실. 전.후기 허약 고위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중심의 다요인적 허약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2;23(2):201-210.
  14. 박정숙, 오윤정. 건강지도자 활용 건강증진 역량강화 프로그램이 허약노인의 건강과 역량강화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8;29(3):335-348. https://doi.org/10.12799/jkachn.2018.29.3.335
  15. 구미옥, 은영, 김은심, 안황란, 권인수, 오현숙 등. 노인 건강지도자 양성 전략을 적용한 경로당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효과검증. 대한간호학회지. 2012;42(1):125-135. https://doi.org/10.4040/jkan.2012.42.1.125
  16. 권상미, 박정숙. 거주유형별 노인의 허약정도, 건강증진 행위 및 주관적 건강상태 비교. 농촌의학.지역보건. 2010;35(1):1-12.
  17. 임남훈, 김예성. 12주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전.후기 노인의 체구성과 SFT 요인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 사이언스. 2019;37(1):229-238. https://doi.org/10.46394/ISS.37.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