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 yield

검색결과 767건 처리시간 0.025초

콩 모자이크 바이러스 SMV-G5H 나병이 단엽콩 생육 및 종실 성분에 미치는 영향 (Affection of SMV -G5H Strain on Plant Growth and Seed Chemical Composition of Soybean Variety, Danyeobkong)

  • 김율호;노재환;김명기;임대준;이봉호;이상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40-347
    • /
    • 1996
  • 콩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의한 탄저병과 모자이크병 모두에 저항성인 단엽콩을 강독 계통 SMV-G5H로 포장 및 온실에서 인공접종시켜 생육 및 종실성분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교차 저항성을 이용한 약독 바이러스 개발과 저항성 콩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SMV-G5H 계통의 나병시 포장 및 온실시험에서 조사된 생육특성 모두 감소를 보였으며 두 시험장소 평균 감소정도는 수량 52%, 엽수 36%, 백립중 22%, 경장 17% 순이었으며 수량의 감소가 가장 컸다. 2.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SMV-G5H의 나병시 포장 및 온실시험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나 기름함량은 줄어들어 SMY-G5H의 나병에 따른 두 성분간의 변화는 서로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SMV-G5H의 나병에 따른 콩 기름의 지방산 조성변화는 포장과 온실의 시험장소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는데, 포장시험의 경우 linoleic, linolenlc acid 함량은 감소하고 stearic, of oleic acid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palmitic acid 함량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는 다르게 온실시험의 경우 linolenic, oleic acid함량이 증가하였고 palmitic, linoleic acid함량이 감소하였으며 stearic acid 함량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포장 및 온실시험을 실시한 시기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 PDF

석유탄화수소를 이용한 단세포단백질의 생산에 관한연구 -II. Candida tropialis KIST 359 에 대하여- (Production of Single-Cell Protein on Petroleum Hydrocarbon -II. On the Growth of Candida tropicalis KIST 359-)

  • 박융;민태익;변유량;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1-67
    • /
    • 1970
  • 유류침적토양에서 분리한 Candida tropicalis KIST 359를 진탕배양 또는 발효조배양으로 여러가지 조건하에서 배양함으로써, 이 균주의 배양조건을 살피고, 그 균체의 화학성분 및 아미노산 조성을 밝혔다. 1. 본 균주는 $C_{14}{\sim}C_{17}$ 사이의 n-alkane 을 잘 자화할 수 있으며, 그 최적 배양온도는 $30^{\circ}C$, 최적 pH 는 5.5 부근이다. 2. 균체수율을 기준으로 할 때, 경유가 등유보다 좋은 기질이고, 경유를 썼을 때 요소를 제외한 다른 네가지 질소원($(NH_4NO_3,\;NH_4Cl,\;(NH_4)_2SO_4$$(NH_4)_2HPO_4$)은 서로 큰 차이 없이 좋은 수율을 보였다. 3. 경유의 농도 10%(v/v), 질소원의 농도 0.5%(w/v), 그리고 $MgSO_4-7H_2O$의 농도 0.05%(w/v)에서 그 수율이 가장 높았다. 4. 균체의 단백질함량은 59.8%이며, 그 아미노산조성은 FAO 표준구성에 비교할 만하나, methionine은 부족하고, lysine의 함량은 높다.

  • PDF

품종 및 파종기이동이 대두의 수량형질과 단백질 및 유지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eties and Seeding Dates on the Yield Components, Protein and Oil Content in Soybean)

  • 박연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5권
    • /
    • pp.77-83
    • /
    • 1974
  • 1. 경장 경경 주경절수는 5월 15일 파종에서 파종후 70일경에 거의 완성되었으며 파종시기가 20일 40일로 지연되므로서 완성에 이르는 시기가 10, 20일식 빨랐고 품종간에서는 충북백이 가장 빨랐다. 2. 협수는 5월 15일 파종에서 가장 많았고 분지협이 주경협보다 많았으며 6월 25일파에서는 주경협이 많았다. 분지협에서는 공협과 1입중간에서 충북백은 2,3입협율이 높았고 김두와 장단백일은 1,2입협율이 높았으며 익산은 1,3입협율이 높았다. 3. 주경절위별 착입수가 3-4절에서 가장 많았고 9-10절이 다음으로 많았다. 4. 만파에서는 수량이 떨어지며 5월 15일파에 비하여 6월 5일파와 6월 25일파의 감수율은 충북백 6% 14% 익산 9% 17% 김두 15% 26% 장단백일 18% 27%였다. 5. 단백질함량은 5월 15일 파종한 것이 가장 높았고 유지함량은 6월 25일 파종한 것이 높았으며 품종간에서 단백질은 장단백일이 유지는 익산이 가장 높았다.

  • PDF

Liquid Membrane Permeation of Nitrogen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ed in Model Coal Tar Fraction

  • Kim, Su-Jin;Kang, Ho-Cheol;Kim, Yong-Shik;Jeong, Hwa-J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5호
    • /
    • pp.1143-1148
    • /
    • 2010
  • We investigated the separation of nitrogen heterocyclic compound (NHC) contained in a model coal tar fraction comprising four kinds of NHC [indole (In), quinoline (Q), iso-quinoline (iQ), quinaldine (Qu)], three kinds of bicyclic aromatic compound (BAC) [1-methylnaphthalene (1MN), 2-methylnaphthalene (2MN), dimethylnaphthalene (DMN) mixture with ten structural isomers (DMNs; regarded as one component)], biphenyl (Bp) and phenyl ether (Pe) by liquid membrane permeation (LMP). A batch-stirred tank was used as the permeation unit. An aqueous solution of saponin and n-hexane were used as the liquid membrane and the outer oil phase, respectively. Yield and selectivity of individual NHC was much larger than that of BAC, Bp and Pe. Increasing the initial mass fraction of the saponin to the membrane solution ($C_{sap,0}$) and the initial volume fraction of O/W emulsion to total liquid in a stirred tank (${\phi}_{OW,0}$) resulted in deteriorating the yield of individual NHC, but increasing the stirring speed (N) resulted in improving the yield of each NHC. With increasing $C_{sap,0}$, the selectivity of each NHC based on DMNs increased. Increasing ${\phi}_{OW,0}$ and N resulted in decreasing the selectivity of individual NHC based on DMNs. At an experimental condition fixed, the sequence of the yield and selectivity in reference to DMNs for each NHC was Q > Qu = iQ > In. Furthermore, we compared LPM method with methanol extraction method in view of the separation efficiency (yield, selectivity) of NHC.

바이오매스 구성성분 중 리그닌의 전환에 관한 연구

  • 윤성욱;이병학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733-736
    • /
    • 2000
  •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구성성분 중 건조중량으로 약 $18{\sim}33%$를 차지하고있는 리그닌은, 기본적 단위물질이 가솔린의 성분물질과 화학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분해하여 저분자물질로 전환시킨다면 연료 또는 연료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용 관형반응기를 사용하여 반응온도 $250{\sim}450^{\circ}C$, 반응시간 $20{\sim}80$분의 범위에서 용매상 열분해 ${\cdot}$ 액화반응을 수행하였으며 리그닌의 열분해 ${\cdot}$ 액화반응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환율을 측정하였는데 아세톤을 열분해 용매로 사용한 경우 가장 높은 전환율은 $350^{\circ}C$, 50분의 55.5%로 측정되었으며, 타르의 발생량은 $250^{\circ}C$의 경우 $260{\sim}350mg/g\;{\cdot}\;lignin$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타르성분을 제거한 후 전환율을 측정한 경우 가장 높은 전환율은 $300^{\circ}C$, 30분의 76.88%로 측정되어 열분해시 일차적으로 생성되는 타르의 분해도에 따라 전환율 값이 좌우되며 생성물의 조성과 생성량이 좌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FEA based optimization of semi-submersible floater considering buckling and yield strength

  • Jang, Beom-Seon;Kim, Jae Dong;Park, Tae-Yoon;Jeon, Sang Bae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11권1호
    • /
    • pp.82-96
    • /
    • 2019
  • A semi-submersible structure has been widely used for offshore drilling and production of oil and gas. The small water plane area makes the structure very sensitive to weight increase in terms of payload and st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ighten the substructure from the early design stage. This study aims at an optimization of hull structure based on a sophisticated yield and buckling strength in accordance with classification rules. An in-house strength assessment system is developed to automate the procedure such as a generation of buckling panels, a collection of required panel information, automatic buckling and yield check and so on. The developed system enables an automatic yield and buckling strength check of all panels composing the hull structure at each iteration of the optimization. Design variables are plate thickness and stiffener section profiles.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y of large number of design variables and the computational burden of FE analysis, various methods are proposed. The steepest descent method is selected as the optimization algorithm for an efficient search. For a reduction of the number of design variables and a direct application to practical design, the stiffener section variable is determined by selecting one from a pre-defined standard library. Plate thickness is also discretized at 0.5t interval. The number of FE analysis is reduced by using equations to analytically estimating the stress changes in gradient calculation and line search steps. As an endeavor to robust optimization, the number of design variables to be simultaneously optimized is divided by grouping the scantling variables by the plane. A sequential optimization is performed group by group. As a verification example, a central column of a semi-submersible structure is optimized and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optimization of all design variables at once.

한국산 생강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oe))

  • 김정숙;고무석;김영회;김명곤;홍재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1-149
    • /
    • 1991
  •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는 대표적인 향신료 중의 하나인 생강의 essential oil 조성을 분석코저 SDE 방법에 의해서 분리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탄화수소 화합물 분획과 함산소화합물 분획으로 분리한 다음 GC 및 GC-MS에 의해 성분을 확인하였다. 신선한 생강의 essential oil의 수율은 0.32%로서 탄화수소화합물 분획이 68.1%, 함산소화합물 분획이 31.9%를 차지하였으며, mass spectrum에 의해서 잠정적으로 확인된 47종을 포함하여 101종의 성분이 확인되었다. 그 중 탄화수소화합물 분획에서는 camphene, ${\beta}-phellandrene$, zingiberene, ${\gamma}-bisabolene,\;{\bate}-bisabolene$, ${\beta}-sesquiphellandrene$이 주성분이었으며, 함산소화합물 분획에서는 1,8-cineol, neral, geranyl acetate, citronellol, geranial, ${\alpha}-terpineol+borneol$등이 주성분이었다. 외국산 생강의 essential oil의 조성과 비교한 결과 국내산 생강은 essential oil의 수율은 높은 편이나 sesquiterpene hydrocarbon의 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 PDF

Hydro-thermal Liquefaction Technology적용 시 유채대를 이용한 Crude oil생산에 미치는 반응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s to Crude Oil Productions with Rapeseed Straw on Application of Hydro-thermal Liquefaction Technology)

  • 신중두;홍승길;권순익;박우균;박상원
    • 유기물자원화
    • /
    • 제18권1호
    • /
    • pp.104-109
    • /
    • 2010
  • 본 연구는 hydrothermal 액화공정에서는 유채대를 사용하여 액화공정 적용 시 반응 온도에 따른 Crude oil 전환효율을 비교하였다. 촉매제로 NaOH 및 KOH와 같은 촉매제를 사용하여 반응온도 $180{\sim}320^{\circ}C$범위에서 $20^{\circ}C$간격으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액화공정 시스템은 외부전기화로, 교반기 및 5,000 mL의 반응기로 구성되어 있다. 반응기에 식물체 잔사 160g, 증류수 2,000 mL 및 촉매제를 혼합하였으며, 촉매제량은 식물체 잔사량의 10%(wt/wt) 를 투입하였다. Crude oil생산량은 반응온도 $260{\sim}280^{\circ}C$에서 약 36%로 나타났으며, NaOH의 경우 반응온도 $300^{\circ}C$에서 전환효율이 NaOH와 비슷함을 보였다. 촉매제별 Crude oil에 대한 발열량 변화는 NaOH를 사용한 경우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열량은 감소하였지만, KOH의 경우 발열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나물용 콩 품종의 파종기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변이 (Changes of Yield Components and Yield by Sowing Date in Sprout-soybean Cultivar)

  • 김학신;김홍식;김경호;오영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7호
    • /
    • pp.584-592
    • /
    • 2006
  • 본 연구는 나물용 콩의 파종기가 콩나물 원료콩의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양질 콩나물 품종육성과 콩나물 원료콩의 안정적 생산 공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sim}2001$년에 호남농업연구소 전작시험 포장에서 파종시기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체당 협수, 공협수, 입수 및 100립중은 파종기 및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협당 입수별 협수의 분포비율은 $2{\sim}3$립 협이 $80.9{\sim}77.5%$이었으며 파종기에 따라 2립 협의 변이가 컸다. 2. 수량은 2년간 시험품종 평균 5월 25일 파종은 290 kg/10a, 6월 15일 파종은 269 kg/10a 및 7월 5일 파종은 221 kg/10a으로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고, 풍산나물콩이 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파종기에 따른 수량 감소 정도가 적었고 그 외 품종들은 파종기에 따른 수량의 감소 정도가 컸다. 3. 수량은 개화일수, 성숙일수, 생육일수, 분지수, 줄기굵기, 개체당 협수, 개체당 입수 및 개체당 엽면적과 정의 상관이었으며 개체당 협수는 개체당 입수, 개체당 엽면적 및 건물중과, 개체당 입수는 개체당 엽면적 및 건물중과 정의 상관이었다.

들깨 개화후기 질소추비가 수량 및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Top Dressing at Late Flowering Stage on Yield and Chemical Components in Perilla)

  • 배석복;이명희;황정동;심강보;김성업;이춘기;백인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97-400
    • /
    • 2012
  • 유진들깨의 개화기 후 5일에 시용한 질소 추비(4 kg/10a)를 통해 생육특성과 단백질 함량, 지방 함량과 지방산 조성 등을 조사하여 들깨의 수량성과 품질 향상의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등숙기의 추비는 대조구에 비해 경장과 주경 마디수, 가지수, 경직경 등에서는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성숙기가 1일 늦었고, SPAD 값은 48.6으로 대조구보다 85% 더 높고 농녹색을 성숙후기까지 유지하였다. 2. 추비구의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서 화방군길이, 화방 군수, 군당삭수는 근소하게 더 많았으나 1000립중이 3.4 g으로 대조구 보다 0.8 g 더 무거워 종실수량은 123 kg/10a로 60% 더 많았다. 3. 추비구의 단백질함량은 33.3%로서 대조구 보다 11.5%나 많았으며 국내 유전자원 17.9~28.5%(Park, 1996) 범위를 능가하였으며 기름함량은 48.4%로서 6.2%나 더 높아 추비효과가 있었다. 4. 추비에 따른 지방산 조성은 대조구에 비해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이 감소하였고, 불포화지방산에서 linolenic acid와 oleic acids는 감소하였으나 linoleic acid는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5.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들깨의 등숙기는 최적생육량과 연계한 적정질소추비는 수량성과 품질 향상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