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ff-flavor

검색결과 322건 처리시간 0.021초

건조 향신료 3종에 대한 방사선종별 조사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ree Radiation Sources on Quality Properties of Three Dried Condiments)

  • 박경숙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3-88
    • /
    • 2014
  • Application of X-ray irradiation of dried condiments was studied using commercially prepared dried garlic, onion and welsh onion flakes as model samples. Total load of aerobic microbes (TAM), color differences, and generation of off-flavor were quantified for samples individually irradiated with gamma rays, electrons, or X-rays. TAM load was decreased by irradi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three types of radiation did not differ in the extent of TAM reduction (P>0.05). The samples did not differ in color. Off-flavor was detected from 6 kGy-irradiated samples, regardless of radiation sourc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X-ray irradiation could be used for irradiation of dried condiments with the same effects as gamma rays and an electron beam.

탈취온도가 옥수수기름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제4보, 탈취온도가 옥수수기름의 휘발성 냄새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odorizing Temperatur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Corn Oil IV. Effect of Deodorizing Temperature on Volatile Flavor Component Composition in Corn Oil)

  • 이근보;한명규;이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72-277
    • /
    • 1998
  • 탈취온도를 상이하게 처리한 옥수수기름들로부터 정유성분을 추출하여 이의 favor 성분을 GC로 분리 정량하였다. Flavor성분으로는 8종의 aldehydes를 포함하여 총 16종이 검출되었으며, 주요 flavor성분은 propane, pentane, hexanal 등으로 이는 전체의 70~75%를 차지하였다. 탈취온도가 상승할수록 ethane 및 8종의 propane, pentane, hexane, octane, pentyl furna 함량은 뚜렷한 감소현상을 나타내었다. 한편, 총 flavor 성분함량은 245$^{\circ}C$ 처리군에서 가장 낮아 특이성을 나타내었으며, 탈취온도의 상승에 따라 aldehydes 함량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탈취과정 중 stripping steam, 진공도 등의 영향으로 인한 부분인 자동산화, 분해, 중합, 가수분해 등의 부반응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취물질의 극소화를 위하여는 지나친 고온탈취를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수박의 이상 발효(피수박)와 내생세균의 존재와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on of Fermentational Off-flavor and Presence of Microbial Endophytes in Bloody Watermelon)

  • 최재을;최춘환;육진아;안길환;황용수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285-289
    • /
    • 2004
  • 진한 적색과 이상 발효 증상을 나타내는 피수박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피수박의 발생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이상 발효와 내생 세균과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수박의 내생 세균 밀도는 정상 수박의 경우 $2.2{\sim}37.0{\times}10^3$ cfu/g fw에 불과하였으나 피수박의 경우는 $1.26{\sim}1.75{\times}10^6$ cfu/g fw로 정상 수박에 비해 밀도가 매우 높았다. 피수박에서 분리한 56균주에서 17균주가 피수박을 유발하였다. 피수박과 관련이 있는 세균은 대부분이 Gram 음성으로 호기성인 Pseudomonas spp.와 혐기성 세균이었다. 따라서 피수박은 Gram 음성인 내생 세균의 증식에 의한 이상 발효가 원인이라고 추정된다.

A study on shelf life of prepackaged retail-ready Korean native black pork belly and shoulder butt slices during refrigerated display

  • Hoa, Van-Ba;Seol, Kuk-Hwan;Kang, Sun-Moon;Kim, Yun-Seok;Cho, Soo-Hyun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2호
    • /
    • pp.2012-2022
    • /
    • 2021
  • Objective: In most retail centers, primal pork cuts for sale are usually prepared into retail-ready slices and overwrapped with air-permeable plastic film. Also, meat of Korean native black pig (KNP) is reputed for its superior quality, however, its shelf life during retail display has not been studied.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helf life of prepackaged retail-ready KNP belly and shoulder butt slices during refrigerated display. Methods: Bellies and shoulder butt obtained at 24 h post-mortem from finishing KNP were used. Each belly or shoulder butt was manually cut into 1.5 cm-thick slices. The slices in each cut type were randomly taken and placed on white foam tray (2 slices/tray) overwrapped with polyvinyl chloride film. The retail-ready packages were then placed in a retail display cabinet at 4℃. Shelf life and sensory quality of the samples were evaluated on day 1, 3, 6, 9, 12, and 15 of display. Results: The shoulder butt reached the upper limit (20 mg/100 g) of volatile basic nitrogen for fresh meat after 9 days while, the belly remained within this limit throughout the display time (15 days). Both the cuts reached a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level of above 0.5 mg malondialdehyde/kg after 9 days. The a* (redness) values remained unchanged during first 9 days in both cuts (p>0.05). After 9 days, off-flavor was not found in either cut, but higher off-flavor intensity was found in shoulder butt after 12 days. The shoulder butt was unacceptable for overall eating quality after 12 days while, belly still was acceptable after 12 days. Conclusion: The belly showed a longer shelf life compared to the shoulder butt, and a shelf life of 9 and 12 days is recommended for the prepackaged retail-ready KNP shoulder butt and belly slices, respectively.

산양유의 지방분해 특성과 지방산 조성이 산양유 이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polysi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n Off-flavor in Goat Milk)

  • 임영순;함준상;정석근;안종남;최석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1호
    • /
    • pp.111-120
    • /
    • 2008
  • 산양유의 비유기간 중 연평균 유지방 함량이 3.88% 이었으며, 동절기(4.2%) 보다 하절기 (3.8%)에 낮았다. 유지방 함유율이 높을수록 총고형분 함량도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산양유 원유를 24시간 냉장저장 하는 동안에 저급 유리지방산(C4:0~C10:0)은 106% 증가하였으며 중급 및 고급 유리지방산(C12:0~C18:1)은 203%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균질한 시유에 원유를 첨가하여 반응할 때에 저급 유리지방산은 22% 증가되었으며 중급 및 고급 유리지방산은 199% 증가되었다. Lipase의 종류에 따른 지방분해실험에서 calf lipase는 중급 및 고급지방산 9배 보다 저급지방산은 5.6배로 증가시켰다. 그러나 Candida rugosa lipase와 Pseudomonas fluorescens lipase는 저급 유리지방산이 각각 6배와 14배 증가하고, 중급 및 고급 유리지방산은 각각 34배와 162배 증가하여 중급 및 고급지방산을 더 잘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양유의 LPL 활성이 높을수록 유리지방산 생성량도 증가되어 유의적 상관관계(r=0.5635)를 보였으며 또한 산양유 이취가 높아지는 상관관계(r=0.5777)를 보였다. 유지방 함량이 낮을수록 LPL 활성은 높아지는 유의적 역 상관관계(r=-0.4627)를 보였다. 산양유의 palmitic acid 함량이 높을 경우 산양유 이취 강도가 증가하는 유의적 상관관계(r=0.7226)를 보였다.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HS-SPME)를 이용한 간의 비린내불쾌취에 기인하는 불포화지방산 산화생성물의 휘발성성분 (Volatile Compounds in the Oxida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s Caused in Off-flavor of Porcine Liver by HS-SPME)

  • 임성임;최성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59-365
    • /
    • 2003
  • 간 및 간에 함유된 불포화지방산인 arachidonic, linolenic, linoleic 및 oleic acid의 철 이온 존재하에서의 headspace 산화 반응생성물을 SPME법을 이용하여 포집, 분석하는 것에 의해 간에 함유된 불포화지방산의 산화생성물과 간의 비린내 불쾌취 형성과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SPME fiber중 불포화지방산의 headspace 산화생성물인 휘발성 알데히드류, 알코올류 및 지방산 등 대다수의 화합물을 검출에는 PDMS/DVB fiber가 적합하였다. 간의 headspace 산화생성물은 arachdonic acid을 비롯한 간에 함유된 각 불포화지방산의 head-space 산화생성물과 일치하였으며, 간의 불쾌취 형성은 간에 함유된 불포화지방산의 산화로 생성되는 산화 반응생성물에 의한 것이 시사되었다. 간의 불쾌취를 형성하는 주요성분으로는, arachidonic acid에서 생성되어 간의 금속취를 형성하는 화합물로 생각되어지는 1-octen-3-one 및 hexanol과 linolenic acid에서 형성되어 간의 비린내를 형성하는 (E,E)-2,4-heptadienal이 그 원인물질인 것으로 사료된다. 산화에 의해 생성된 각 불포화지방산의 산화 반응생성물은 간의 불쾌취인 비린내, 금속취 등을 생성하며, 주로 arachidonic acid 및 linolenic acid의 산화에 의해 생성된 산화 반응생성물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나라 Pseudanabaena 속 남조류 종다양성 및 남조류 기원 이취미 물질(2-MIB)의 발생 (Pseudanabaena Species Diversity and Off-flavor Material (2-MIB) Production by Cyanobacteria in Korea)

  • 김건희;박채홍;심연보;김난영;이수곤;장재영;이가람;황순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81-397
    • /
    • 2021
  • Off-flavor materials (geosmin and 2-methylisoborneol (2-MIB)) produced by microorganisms, such as, cyanobacteria and actinomycetes, cause freshwater use problems worldwide. Due to unpleasant taste and odor, these microorganisms have raised issues especially in drinking water resources.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concern about 2-MIB and causal cyanobacteria, namely, Pseudanabaena, in Korea. However, material production and ecological dynamics remain largely unexplored. This study reviewed the distribution of Pseudanabaena, its species diversity, and the research trend of molecular ecology related to 2-MIB production in Korea. Based on published literature, we found that seven species of Pseudanabaena which include P. mucicola, P. limnetica, P. redekei, P. catenata, P. galeata, P. yagii, and P. cinerea appeared to occur in a variety of Korean water systems. All of these Pseudanabaena species were found in the North-Han River system (Lakes Soyang, Chuncheon, Uiam, and Paldang). Some of these species were also detected in other watersheds, but the precise species diversity was not identified. Species belonging to the Pseudanabaena genus are hard to classify through general microscopic alpha taxonomy, due to their very small cell size and similar morphological characters. Moreover, the potential of 2-MIB production cannot be detected by microscopic observation. Combining molecular ecological techniques, such as, environmental genomic materials (eDNA, eRNA) analyses to conventional methods could be useful to better understand the off-flavor material production and dynamics, thereby providing more efficient management strategies of freshwater systems.

전기보온밥솥으로 보온한 쌀밥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Stored in an Electric Rice Cooker)

  • 이영주;민봉기;신명곤;성내경;김광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87-493
    • /
    • 1993
  • 전기보온밥솥으로 취반한 쌀밥을 온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보온하면서 품질 특성변화를 관능적 방법과 기기적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쌀밥의 바람직한 정도는 보온에 의해 저하되었으며, 특히 $80^{\circ}C$에서 장시간 저장시 뚜렷하였다. 보온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쌀밥의 윤기, 덩어리지는 정도, 부착성, 촉촉한 정도와 단향미는 감소하였으나, 갈변과 이취는 증가하였다. 보온온도가 높을수록 윤기, 경도, 응집성, 촉촉한 정도와 단향미가 감소하였고, 갈색화와 이취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뚜렷하였다. Hunter color value 중의 L값과 b값이 관능검사에 의해 평가된 윤기 및 색깔과 높은 상관관계(r=0.802, r=0.779)를 나타내었다.

  • PDF

Analysis of Headspace Volatile Compounds in Cold-stored and Freeze-dried Krill Eupausia superba

  • Park, Jin-Yong;Kim, Ye-Joo;Lee, Yang-B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2호
    • /
    • pp.189-195
    • /
    • 2014
  • Headspace volatile compounds of cold-stored and freeze-dried Krill Eupausia superba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ir flavor qualities using a system combining a dynamic headspace isolator, an automatic thermal desorber, and a gas chromatograph-mass-selective detector. Levels of oxidation product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aldehydes, alcohols, and ketones, which are known to give seafood a nasty smell because of their low flavor threshold values, increased during cold storage of krill. Notably, levels of 2-methylpropanal, 3-methylbutanal, 2-methylbutanal and 2-butanone increased during its storage. They can be considered index compounds of off-odor according to freshness degradation during storage. By contrast, in freeze-dried krill powder, levels of aldehydes, ketones, and aromatic compounds decreased rapidly. Only alcohols, which did not greatly affect the food flavor, were isolated in large amounts. It was confirmed that levels of oxidized compounds of krill increased during cold storage, but decreased in freeze-dried krill.

동결농축유의 미량성분 분석 및 관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황지현;이수정;김송희;안정좌;민상기;곽해수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정기총회 및 제35차 춘계 학술 발표대회
    • /
    • pp.307-311
    • /
    • 2005
  • 본 연구는 동결농축유의 미량성분을 분석하고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농축유의 수용성비타민은 동결농축유가 진공농축유보다 비타민의 감소율이 적었고, 같은 동결농축유의 경우에 17% 고형분인 농축유가 27% 고형분인 농축유보다 비타민의 감소율이 적었다. 지용성비타민도 동결농축유가 진공농축유보다 비타민 감소율이 적었으며, 수용성비타민 보다는 그 감소율이 크지 않았다. 유리아미노산은 진공농축유보다 동결농축유에서 많이 측정되었고 단쇄유리지방산은 진공농축유가 동결농축유보다 생성량이 많았으며 고형분이 많을수록 많이 측정되었다. 지방산화도는 단쇄유리지방산의 결과와 같이 동결농축유보다 진공농축유가 더 높게 측정되었다. 관능검사는 cooked flavor, oxidized flavor, cheesy flavor, fat-taste, oxidized taste, off-taste에서 동결농축유가 진공농축유보다 양호하게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동결농축유가 진공농축유보다 미량성분의 손실이 적고 관능적으로 양호하게 평가되었기 때문에 영양학적, 관능적으로 우수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