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ddball paradigm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9초

조현병 환자의 치료 반응에 따른 Mismatch Negativity 변화 (Association of Therapeutic Response and Change of Mismatch Negativity in Schizophrenia Patients)

  • 이소연;이의혁;김종우;강원섭
    • 생물정신의학
    • /
    • 제24권4호
    • /
    • pp.188-195
    • /
    • 2017
  • Objectives Schizophrenia is characterized by disturbances in perception and cognition. Attenuated mismatch negativity (MMN) reflects central auditory dysfunction in schizophreni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MMN chang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schizophrenia patients and to assess their association with treatment response. Methods Twenty-three schizophrenia patients underwent an oddball paradigm. MMN was calculated by the difference waveforms of the event-related potentials (ERPs) elicited by subtracting standard from deviant stimulus. The clinical symptoms were measured by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the Psychotic Symptom Rating Scale (PSYRATS). Follow-up evaluation was conducted when the PANSS total score decreased by 30% or more (treatment response group) or before discharge (non-response group). Results The treatment response group showed significantly larger MMN amplitude improvement and latency reduction than the non-response group after treatment (Fz ; mean amplitude p = 0.035, FCz ; p = 0.041). The auditory hallucination group showed shorter latency than that of the group without hallucinations. Additionally, auditory hallucination was associated with prolonged MMN latency and shortened after treatment in the auditory hallucination response group (Fz ; p = 0.048).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ttenuated MMN amplitude reflects the progression of the disease. The increment of MMN amplitude and shortening of latency after treatment may reflect cognitive functional recovery of central auditory sensory processing.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 아동과 정상아동간의 사건관련전위 소견의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EVENT-RELATED POTENTIALS BETWEEN THE PATIENT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NORMAL CHILDREN)

  • 조수철;신성웅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2호
    • /
    • pp.179-189
    • /
    • 1996
  •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 아동의 주의력결핍 양상을 발견하고자 뇌사건관련전위(ERP)를 측정하고, 연령을 맞춘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9세 이후의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 환아군은 동일한 연령군의 정상아동보다 선택적 주의집중력 및 자극변별력을 시사하는 파형의 잠복기(N1, P2)가 과제와 연관된 자극에 대해서 정상아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연되어 있었다. 2) 환아군은 과제와 무관한 자극에 대해서는 정상아동보다 주의력을 시사하는 파형의 잠복기가 단축되고 진폭이 증가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 환아군은 정상아동보다 쉽게 산만해지며 과제와 무관한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는 반면, 과제를 수행하는 선택적이고 지속적인 주의집중력은 정상아동보다 떨어진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Auditory and Visual P300 in ADHD Children with Higher and Lower IQ : Pilot Study

  • Wang, Sheng-Min;Jeon, Yang-Whan;Han, Sang-Ick;Park, E-Ji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2권4호
    • /
    • pp.211-218
    • /
    • 2011
  • Objectives : Intellectual impairment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often associated with relatively severe cognitive dysfunc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cognitive function using auditory and visual event-related potential P300 in children with ADHD with relatively higher and lower IQ. Methods : A total of 20 children aged 6-12 years with DSM-IV-TR diagnosis of ADHD-combined type were recruited. For 10 children with lower IQ (${\leq}$100) and 10 children with higher IQ (>100), auditory and visual P300 using oddball paradigm (target 0.2, standard 0.8, in probability) were employed. Results :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300 amplitude and latency between ADHD children with higher and lower IQ in both modalities. However, auditory P300 amplitude in the right parietal area (P8 electrod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verbal IQ in ADHD subjects (R=-.50, p<.05). Visual P300 amplitude in the left parietal area (P3 electrod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formance IQ in ADHD subjects (R=.57, p<.01).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intellectual impairment, as evidenced by lower IQ, could not be associated with cognitive dysfunction reflected in event-related potential P300 in ADHD children. However, cognitive function reflected in intellectual subcomponents and P300 might be processed in a stimulus modality-specific and asymmetric pattern.

주요우울장애 환자에서 자살사고 동반 여부에 따른 부적격 짝맞추기 음성파의 비교 (Comparison of Mismatch Negativity According to Suicidal Ideation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 이민지;이연정;황재욱;우성일;김민재;강병주;김영근;한상우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4-91
    • /
    • 2021
  • Objective : Mismatch negativity (MMN) is known to reflect several abnormalities of cognitive functioning.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MMN among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patients with or without suicidal ideation. Methods : Sixty-seven patients with MDD were recruited into this study. MMN was measured by a 64-channel 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oddball paradigm over the front-central area.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using the Beck Anxiety Inventory (BAI),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and the Beck Scale for Suicide ideation (SSI-BECK).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no suicidal ideation (N=12) and suicidal ideation (N=55),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suicide ideation in SSI-BECK questionnaires. Results : The MMN latencies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the MDD patients with suicidal ideation than in the MDD patents without suicidal ideation (p<0.05). The MMN amplitud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Suicidal ideation may be associated with longer MMN latencies, and it suggests that MMN may play a potential role in assessing the suicidal risk among MDD patients.

기계학습을 이용한 단일 관련자극 P300기반 숨김정보검사 (One-probe P300 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with machine learning)

  • 김혁;김현택
    • 인지과학
    • /
    • 제35권1호
    • /
    • pp.49-95
    • /
    • 2024
  • 국내 형사소송절차에서 진술의 진위여부 확인을 위해 사용하는 도구는 폴리그래프검사, 진술타당도분석, P300 기반 숨김정보검사 등이 있고, 이 중에서 폴리그래프검사의 사용빈도가 다른 도구들에 비하여 높다. 하지만, 검사결과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근거의 부족으로 인하여 재판과정에서 증거채택 가능성이 낮다. 폴리그래프검사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방법으로, 사전연구가 풍부한 P300기반 숨김정보검사가 주목을 받아 왔지만, 기존의 검사기법은 두 가지 제한점이 있어 실제 사건에서의 활용도는 낮은 편이다. 첫째, 검사에 필요한 관련자극만 3개 또는 6개 등, 사전에 노출되지 않은 정보가 다수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사건에서 사용 가능성이 낮다. 둘째, 기존의 P300기반 숨김정보검사 프로토콜에서는 관련자극과 무관련자극에 대한 P300요소 전위값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오드볼패러다임을 사용하기 때문에 무관련자극에 대한 P300요소 전위값이 과소 추정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검사의 사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전에 노출되지 않은 정보가 단 하나만 있어도 검사가 가능한 단일 관련자극을 사용하는 수정된 P300기반 숨김정보검사 프로토콜을 탐색하였고, 오드볼패러다임 사용으로 인한 무관련자극에 대한 P300요소 전위값이 과소 추정되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계학습의 분류 알고리즘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단일 관련자극으로 여성과 남성의 얼굴자극을 사용할 경우, 자극은 400ms 지속시간으로 60회 제시하고, 절단값을 유죄집단은 90%로 무죄집단은 30%로 하여 정점-정점 방법으로 P300요소 전위값을 분석하는 것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단어자극의 경우, 지속시간을 300ms로 60회 제시하고, P300요소 전위값 분석방법은 얼굴자극과 동일하게 시행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관련자극과 무관련자극에 대한 정점-정점 P300요소 전위값을 6가지 기계학습 분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로지스틱 회귀(LR), 선형 판별 분석(LDA), K-최근접 이웃(KNN) 알고리즘이 관련자극과 무관련자극의 분류에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신분열증의 사건관련유발전위에 대한 연구(I) -정신분열증 환자의 사건관련유발전위- (P3 in the Auditory Event-Related Evoked Potential of Schizophrenia(I) -P3 in the Schizophrenics-)

  • 오동재;장환일
    • 수면정신생리
    • /
    • 제1권1호
    • /
    • pp.87-98
    • /
    • 1994
  • 연구배경 : 정신분열증 환자들이 정보처리 과정의 문제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해 주는 사건관련유발 전위인 P3의 이상을 보고하는 연구들이 있어 저자들은 정신분열증 환자들에게 청각사건관련유발 전위를 실시하여 P3의 이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음성 및 양성 정신분열증환자에 P3의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으며, 가족력이나 전기충격경련요법, 밖에 임상양상과 P3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 DSM-III-R 진단기준에 맞는 정신분열증 환자 54명 (남자 31, 여자 23) 과 그 대조군 75 명 (남자 33, 여자 42) 을 대상으로 oddball paradigm 을 이용한 사건관련유발전위를 실시하여 P3의 잠복기와 진폭을 측정하였으며, 정신분열증의 인지기능이상을 알아볼 수 있는 프랑크푸르트 임상검사를 같이 실시하였다. 결과 : 정신분열증 환자의 P3 잠복기는 그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게 지연되어 있었으며, 또한 모든 진폭도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게 감소되어 있었다. 정신분열증 환자군에서 프랑크푸르트 임상검사의 10가지 임상증상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PANSS의 종합점수에 따라 음성과 양성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P3의 잠복기 및 진폭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정신과질환의 가족력의 유무에 따라, 전기 충격경련요법 유무에 따라 비교한 결과 의미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환자군에서 프랑크푸르트 임상검사의 임상증상, 그밖에 임상특성과 P3의 잠복기와 진폭 사이에 연관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로 정신분열증 환자들에서 선택적 주의집중 과정의 이상이 있을 것이고 추측할 수 있었으며, 임상양상이나 가족력 유무와 P3사이에 연관성이 없다는 것을 시사해 주었다.

  • PDF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혈액투석 전후의 P300 인지유발전위검사 (Event-related Potentials of Pre- and Post-Hemodialysis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 배재천;이상무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3권2호
    • /
    • pp.136-142
    • /
    • 2001
  • Background : Nervous system dysfunction is a major complication of end stage renal disease. Although severe neurologic symptoms are partially or completely reversed by adequate hemodialysis, even optimally dialyzed patients will usually not return to normal neurocognitive function.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hronic renal failure and hemodialysis on higher cognitive function electrophysiologically, we studied auditory P300 event-related potentials in 14 hemodialysis patients and 14 age- and sex-matched normal healthy controls.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14 patients(M: 6, F: 8) with chronic renal failure(CRF) for 1 to 10 years and 14 age- and sex-matched healthy controls(M: 5, F: 9). For the reliability of study,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bnormal brain CT findings, or low mini-mental state score(below 20) were excluded. Event related potentials(ERPs) for hemodialysis patients were performed at pre- and post-hemodialysis. To obtain ERPs, subjects underwent 2-tone auditory discrimination test(oddball paradigm). Results : Although the age(control: $48.79{\pm}10.31years$, CRF: $51.21{\pm}7.61years$) and mini-mental state score(control: $27.00{\pm}1.71points$, predialysis CRF: $25.07{\pm}3.58points$) were not different in normal control and CRF groups significantly(P>0.05), P300 latencies at Cz(control: $288.11{\pm}17.36msec$, predialysis CRF: $332.35{\pm}42.34msec$) were significantly delayed(P<0.05)and the duration of Trail making test A was significantly prolonged(control: $64.2{\pm}24.2sec$, CRF: $118.9{\pm}101sec$) in CRF group. P300 latencies between pre- and post-hemodialysis CRF patients(predialysis CRF: $332.35{\pm}42.34msec$, postdialysis CRF: $325.82{\pm}38.69msec$)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300 latency was not related with the duration of CRF(Spearman's correlation test, r=0.25, P>0.05) and the frequency of hemodialysis(Spearman's correlation test, r=0.28, P>0.05). Conclusions :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P300 latency is valuable in evaluating cognitive brain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CRF and hemodialysi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brain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CRF.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