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tylphenol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9초

4-tert-octylphenol에 노출된 장수깔따구 Chironomus plumosus의 생태독성 반응과 기형 (Ecotoxicological Responses and Morphological Abnormalities in Chironomus plumosus Larvae Exposed to 4-tert-octylphenol)

  • 방현우;이창훈;정경숙;곽인실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3권4호
    • /
    • pp.277-284
    • /
    • 2008
  • The ecotoxicological effects of 4-tert-octylphenol were observed on non-biting midge, Chironomus plumosus collected from Anyang stream in Seoul. The survival rate and adult emergence rate on C. plumosus exposed to octylphenol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However, 4-tert-octylphenol induced developmental delay and disrupted sex ratio in high concentration of octylphenol. The mouth deformity such as tooth deletion or fusion in mentum, and tooth deletion in mandible were observed exposure to 4-tert-octylphenol. The deformity type of the mentum showed deletion (LT, 6.7%), and fusion (LT, 6.3%). Moreover, tooth deletion of mandible was observed in 4-tert-octylphenol treated groups (6.7%, 3 ppm).

4-tert -octylphenol에 노출된 저서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 s.l.의 발생지연 현상 (Developmental Delay Effect of Harpacticoid Copepod, Tigriopus japonicus s.l. Exposure to 4-tert-octylphenol)

  • 방현우;이원철;곽인실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3권2호
    • /
    • pp.93-100
    • /
    • 2008
  • The ecotoxicological effects of 4-tert-octylphenol were observed on Harpacticoid copepoda Tigriopus japonicus s.l. gathered and cultured from tidal pool of Korean coa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vival rate (except 10 $\mu$g/L; 70.00%) and sex ratio (except 30 $\mu$g/L) on T. japonicus s.l. exposed to 4-tert-octylphenol. However, 4-tert-octylphenol induced developmental delay (copepodite emergence day and adult male mergence day) and retardation of first brooding day of adult female. Moreover the body size and biomass decreased at 4-tert-octylphenol exposure. As a result, detailed life-cycle research of T. japonicus s.l. may yield potential bioindicators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옥틸페놀(4-t-Octylphenol)의 Basidioradulum molare와 Schizopora paradoxa에 의한 분해 및 에스트로겐성 저감효과 (Biodegradation of 4-t-Octylphenol by Basidioradulum molare and Schizopora paradoxa and Estrogenecity Reduction of its Metabolites)

  • 이수민;구본욱;이재원;최돈하;정의배;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27-35
    • /
    • 2004
  • 계면활성제로 이용되는 난분해성 4-t-Octylphenol에 대하여 목질분해균인 큰이빨버섯과 좀구멍버섯을 선발하여 농도별 저항성 시험을 한 결과 좀구멍버섯은 200 ppm 이상의 농도에서 14일 내에 완전 균사생장(8.5 cm in petri dish)에 도달하며 큰이빨버섯은 농도의 증가에 따라 서서히 제한적인 생장을 하였다. 분해능 조사에서 좀구멍버섯은 배양 1일째 초기 투입된 4-t-Octylphenol의 95%를 분해하였으며, 큰이빨버섯은 36%의 분해능을 나타내었고 두 균주 모두 3일 이후에는 95%이상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해과정에서 좀구멍버섯은 4-t-Octylphenol 첨가에 의하여 MnP 유도효과가 있었으나 laccase는 두 균주 모두 첨가하기 전에 최고의 역가를 나타냈다. 4-t-Octylphenol 및 분해산물이 MCF-7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좀구멍버섯 및 큰이빨버섯 처리에 의한 분해산물의 생물학적 반응성이 하루 이후에 완전히 감소하였다. 또한, MCF-7 세포의 pS2 유전자의 발현은 처리 1일 후, 배지만 첨가한 무처리군과 동일한 양으로 감소하였다.

생체시료 중 Octylphenol, Nonylphenol, Bis(2-ethylhexyl) phthalate의 동시정량 (Simultaneous Determinaton of Octylphenol, Nonylphenol, Bis(2-ethylhexyl) phthalate in Biological Samples)

  • 김종훈
    • 분석과학
    • /
    • 제14권2호
    • /
    • pp.95-102
    • /
    • 2001
  • 쇠고기 돼지고기 속에 포함된 nonylphenol, octylphenol, bis(2-ethyltexyl) phthalate의 동시 정량방법을 연구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밀폐된 배양시험관에서 이염화메탄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용매를 이소헥산으로 바꾸고 aminopropyl 칼럼(2g)을 이용하여 분리한 후 GC/MS-SIM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다중점보정을 위한 nonylphenol(NP), octylphenol(OP), bis(2-ethylhexyl) phthalate(BEHP)의 회수율에서 NP, OP는 $0.125-12.5{\mu}g/g$, BEHP는 $0.0125-12.5{\mu}g/g$ 범위에서 좋은 회수율을 보였다. 확립된 방법을 전주시와 전주시 근교 마트와 정육점에서 구입한 16점의 쇠고기 돼지고기 시료에 적용하였다. Nonylphenol은 4점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bis(2-ethlhexyl) phthalate는 전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그 농도범위는 $0.06-0.24{\mu}g/g$$0.36-2.35{\mu}g/g$ 이었다. Octylphenol은 어떠한 시료에서도 검출되지 않았다. 이 방법은 매우 적은량의 생체 시료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였다.

  • PDF

GC/MS-SIM에 의한 하수 슬러지중에 포함된 Octylphenol, Nonylphenol, Di-octylphthalate의 정량 (Analysis of Octylphenol, Nonylphenol, Di-octylphthalate in Sewage Sludge by GC/MS-SIM)

  • 김종훈
    • 분석과학
    • /
    • 제12권3호
    • /
    • pp.248-255
    • /
    • 1999
  • 국내 주요 하수 슬러지(Z-1, Z-2시)에서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의심 받는 여러 가지 물질 중 octylphenol(OP), nonylphenol(NP), di-octylphthalate(DOP)를 이 염화메탄을 이용하여 Soxhlet 장치로 추출한 후 GC/MS-SIM 방법으로 그들의 함량을 결정하였다. Z-1시 하수 슬러지의 경우 octylphenol, nonylphenol, di-octylphthalate의 함량이 각각 $3.25{\pm}0.07{\mu}g/g$, $1168{\pm}36{\mu}g/g$, $1172{\pm}57{\mu}g/g$이었고, Z-2 하수 슬러지는 octylphenol, nonylphenol, di-octylphthalate가 각각 $0{\mu}g/g$, $10.8{\pm}0.1{\mu}g/g$, $80{\pm}62{\mu}g/g$이 검출되었다. 특히 Z-1하수 슬러지에서 검출된 nonylphenol과 di-octylphthalate의 양은 매우 높은 값으로 생태계로 순환될 경우 매우 위험한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며, 또한 인간의 건강과 생식능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4-t-octylphenol과 nonylphenol이 등줄쥐의 번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4-t-octylphenol and Nonylphenol on the Reproduction of the Striped Field Mouse)

  • 김지혜;윤명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13-322
    • /
    • 2014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ctylphenol and nonylphenol on the reproduction of the striped field mouse, the mice were subcutaneousely injected with 4-t-octylphenol 800 mg/kg (OP800), nonylphenol 900 mg/kg (NP900) or OP800 + NP900 (OPNP), respectively, in two times a week for 2 months. As the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the compound-treated groups in the body weight in both sexes, and the GSI (gonadosomatic index) and SVI (seminal vesicles index) in the adult males. But histological abnormalities of the reproductive organs in the mice seems to be related to the compound. This suggestion is supported by the facts that most mice treated with the compounds had only a small number of spermatozoa in the shrunken epididymal tubules. In addition, the shrunken reproductive organ in one mouse treated with the NP, suggests that the abnormalities in the wild striped field mice might be induced by the compound. Furthermore, it is indicated that the compounds must be toxicants to inhibit pregnancy, judging from the fact that all the mice treated with the compounds had failed to deliver.

하수슬러지 중 Nonylphenol, Octylphenol, Di (2-ethylhexyl)phthalate 의 연구 (A Study on Nonylphenol, Octylphenol, and Di (2-ethylhexyl)phthalate in Sewage Sludge)

  • 김종훈
    • 분석과학
    • /
    • 제15권5호
    • /
    • pp.451-458
    • /
    • 2002
  • 전국적으로 67 개소의 하수종말처리장에서 배출되는 하수슬러지 중 nonylphenol (NP), octylphenol (OP), di (2-ethylhexyl)phthalate (DEHP)를 이염화메탄용액으로 Soxhlet 추출후 GC/MS-SIM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하수슬러지에서 NP와 DEHP가 검출되었으며 OP는 검출되지 않았다. NP의 범위와 평균 농도는 각각 nd~593, $62{\mu}g/g$ dry 였고, DEHP의 범위와 평균농도는 각각 13~4773, $1176{\mu}g/g$ dry이었다. NP에 비하여 DEHP가 20 배 이상 높게 포함되어있었다. NP와 DEHP의 지역별 농도 증가는 전라남북도 (제주도) < 충청남북도 (강원도) < 경상남북도 < 광역시 < 경기도 순으로 증가하였다.

2가지 내부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어류시료 중 Octylphenol, Nonylphenol, Bis(2-ethylhexyl)phehalate의 동시정량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Octylphenol, Nonylphenol and Bis(2-ethylhexyl)phthalate in Fish Samples Using Two Internal Standards)

  • 김종훈
    • 분석과학
    • /
    • 제14권3호
    • /
    • pp.244-252
    • /
    • 2001
  • 어류근육속에 포함된 nonylphenol(NP), octylphenol(OP), bis(2-ethylhexyl)phtalate(BEHP)의 동시 정량방법을 1-phenyldecanol(PD)과 bis(2-ethylbutyl)phthalate(BEBP) 2가지 내부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1-phenyldecanol은 nonyphenol과 octylphenol을 정량하고, bis(2-ethylbutyl)phthalate는 bis(2-ethylhexyl)phthalate를 정량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NP와 OP의 경우 $0.2{\sim}20{\mu}g/g$ 농도범위에서 75% 이상의 회수율을 나타냈으며, BEHP는 $0.4{\sim}40{\mu}g/g$ 농도범위에서 102% 이상의 회수율을 보였다. 시료를 밀폐된 배양시험관에서 이염화메탄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용매를 이소-헥산으로 바꾸고 aminopropyl 칼럼(2g)을 이용하여 분리한후 GC/MS-SIM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확립된 분석방법을 11점의 한국시료와 3점의 영국시료에 적용하였다. Nonylphenol은 2점의 한국어류시료에서, BEHP는 9점의 한국어류시료에서 검출되었고, 그 농도범위는 각각 $0.02{\sim}0.06{\mu}g/g$$0.18{\sim}2.03{\mu}g/g$이었다. 그러나 영국어류시료에서는 단 1점의 시료에서 BEHP가 검출되었고 그 농도는 $2.99{\mu}g/g$이었다. 이 방법에 의해서 octylphenol은 어떠한 시료에서도 검출되지 않았으며, 이와 같이 2가지 내부표준물질을 이용하는 방법은 각기 다른 특성을 갖는 분석대상물질에 각각의 특성과 유사한 내부표준물질의 사용으로 매우 적은량의 생체 시료에서 보다 정확한 정량이 가능하였다.

  • PDF

물 시료 중 Octylphenol, Nonylphenol, Di(2-ethylhexyl)phthalate의 연구 (Determination of Octylphenol, Nonylphenol, and Di(2-ethylhexyl)phthalate in water samples)

  • 김종훈
    • 분석과학
    • /
    • 제15권2호
    • /
    • pp.172-179
    • /
    • 2002
  • 빗물, 증류수, 정수기 물, 지하수, 수돗물, 시판생수에 포함된 주요 환경호르몬 물질로 알려진 nonylphenol(NP), octylphenol(OP), di(2-ethylhexyl)phthalate(DEHP)를 OASIS 카트리지로 추출한 후 GC/MS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Octylphenol 은 어느 물 시료에서도 검출되지 않았으나, nonylphenol 의 경우는 그 존재량이 빗물<정수기 물<증류수<지하수<수돗물<시판생수의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시판생수의 경우 최고 $0.44{\mu}g/L$(ppb)가 포함되어 있었다. Di(2-ethylhexyl)phthalate는 모든 물 시료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빗물의 경우 $1.7{\sim}2.9{\mu}g/L$, 증류수는 $8.7{\sim}31.7{\mu}g/L$, 정수기 물은 $0.6{\sim}5.6{\mu}g/L$(평균: $2.5{\pm}0.3{\mu}g/L$)로 다른 값에 비하여 매우 안정한 값을 나타냈고, 전주근교 지하수는 $1.1{\sim}6.0{\mu}g/L$, 수돗물은 평균 $3.1{\sim}5.7{\mu}g/L$, 시판생수는 $0.5{\sim}67.6{\mu}g/L$ 이였으며 시중의 시판 생수 중 40% 이상이 USEPA기준을 초과하고 있었다.

Bisphenol A and 4-tert-Octylphenol Inhibit Cx46 Hemichannel Currents

  • Oh, Seungho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1호
    • /
    • pp.73-79
    • /
    • 2015
  • Connexins (Cx) are membrane proteins and monomers for forming gap junction (GJ) channels. Cx46 and Cx50 are also known to function as conductive hemichannels. As part of an ongoing effort to find GJ-specific blocker(s), endocrine disruptors were used to examine their effect on Cx46 hemichannels expressed in Xenopus oocytes. Voltage-dependent gating of Cx46 hemichannels was characterized by slowly activating outward currents and relatively fast inward tail currents. Bisphenol A (BPA, 10 nM) reduced outward currents of Cx46 hemichannels up to ~18% of control, and its effect was reversible (n=5). 4-tert-Octylphenol (OP, $1{\mu}M$) reversibly reduced outward hemichannel currents up to ~28% (n=4). However, overall shapes of Cx46 hemichannel current traces (outward and inward currents) were not changed by these dru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PA and OP are likely to occupy the pore of Cx46 hemichannels and thus obstruct the ionic fluxes. This finding provides that BPA and OP are potential candidates for GJ channel bloc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