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tanoate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4초

High Cell Density Cultivation of Pseudomonas oleovorans for the Production of Poly(3-Hydroxyalkanoates)

  • Lee, Sang-Yup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권1호
    • /
    • pp.51-53
    • /
    • 1996
  • Fed-batch culture of Pseudomonas oleovorans was carried out for the production of medium-chain-length polyhydroxyalkanoates (MCL-PHAs) using octanoate as a carbon source. Octanoate and the salt solution containing ammounium sulfate and magnesium sulfate were intermittently fed in the course of fermentation. Cell mass and PHA concentrations of 42.8 and 16.8g/L, respectively, could be obtained in 40 h. The PHA content and the PHA productivity were 39.2% and 0.42 g PHA/L-h, respectively. The yields of cell mass and PHA were 0.71 g dry cell mass/g octanoate and 0.28g PHA/g octanoate, respectively. Therefore, octanoate can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MCL-PHAs to a high concentration with high productivity.

  • PDF

${\alpha}-Tocopherol$이 첨가된 Methyl Linoleate의 산화물 생성 기구 (Oxidation Mechanism of Methyl Linoleate with ${\alpha}-Tocopherol$)

  • 김정숙;이기동;권중호;윤형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14-619
    • /
    • 1993
  • Methyl linoleate에 ${\alpha}-Tocopherol$을 첨가하여(TML) $37^{\circ}C$에서 9일간 산화시키면서 산화생성물의 확인 및 생성기구에 대하여 GC/MS를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TML군에서의 산화 생성물들은 methyl octanoate와 methyl-8-(2-furyl)-octanoate 및 9,13-trans, cis isomer와 9,13-trans, trans isomer로 밝혀졌다. 전보의 methyl linoleate(ML)에서의 산화생성물과 비교하여 볼 때 9-TMSO-12,13-epoxy-10-octadecenoate 대신 methyl octanoate가 생성되었다. ${\alpha}-Tocopherol$의 주된 산화물인 ${\alpha}-Tocopherol$ quinone은 반응 6일부터 생성되었으며, ${\alpha}-Tocopherol$은 aqueous media보다 lipid media에서 산화가 빨리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Methyl linoleate의 산화에 의한 생성물들의 생성과정 기구를 추정한 결과, 우선 methyl-9,13-hydroxy-octadecadienoate가 생성되고 다시 methyl-9-hydroxy-10 trans, 12 trans-octadecadienoate로부터 methyl-8-(2-furyl)-octanoate와 9-TMSO-12,13-epoxy-10-ortadecenoate 및 methyl octanoate가 생성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Isolation of Pseudomonas putida BM01 Accumulating High Amount of $PHA_{MCL}$

  • Song, Jae-Jun;Yoon, Sung-Chu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4권2호
    • /
    • pp.126-133
    • /
    • 1994
  • A Pseudomonas putida strain able to accumulate high amount of polyesters of medium-chain-length 3-hydroxyalkanoic acids ($PHA_{MCL)$) was isolated from soil in a landfill site using an enrichment technique. Culture condition of the isolated strain for polyester production in a one-step culture was optimized in a mineral-salts medium against pH and concentrations of ammonium sulfate, carbon source(e.g., octanoate), and phosphate. The optimal values for maximal cell growth and PHA accumulation were: pH; 7$\sim$8, $(NH_4)_2SO_4$; 8 mM, octanoate; 40 mM. The optimum temperature was in the range of $20\sim30^{\circ}C$, which was rather broader than in other bacteria. Cell growth was strongly inhibited by the phosphate limitation to less than 1 mM. An increase of phosphate concentration above 1 mM showed little effect on cell growth and polyester accumulation. When the strain was grown on octanoate under this optimized condition it produced 3.4 g dry biomass per liter and yielded 1.7 g PHA per liter amounting to 53 wt% of dry cells. The monomer units composing the polyester synthesized from octanoate were 3-hydroxyoctanoate (3HO), 3-hydroxycaproate (3HC), and 3-hydroxybutyrate (3HB) (85:13:2, mole ratio). Other low linear $C_3\simC_{10}$ monocarboxylic acids were also tested for polyester production.

  • PDF

Methyl Linoleate에 대한 Phenol성 물질의 항산화성과 산화 생성물 (Antioxidative Effectiveness and Oxidized Products in Mixture of Methyl Linoleate and Phenolic Compounds)

  • 김정숙;이기동;권중호;윤형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9-385
    • /
    • 1993
  • Phenol성 물질로서 hydroxyl기가 두개인 caffeic acid와 세개인 phloroglucinol을 methyl linoleate에 첨가하여 산화시키면서 활성화 효과와 산화생성물을 분석하였다. Methyl linoleate에 대한 $37^{\circ}C,\;3{\sim}9$일간의 산화반응에서 caffeic acid 및 phloroglucinol 첨가군은 ${\alpha}-tocopherol$ 첨가군에 비해 높은 항산화성을 나타내었다. 이 때 산화생성물로서는 methyl linoleate(ML)군은 methyl-8-(2-furyl)-octanoate, 9,13-trans, cis hydroperoxide isomer 9,13-trans, trans hydroperoxide isomer 및 9-TMSO-12, 13-epoxy-10-octadecenoate로 나타났으며,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9,13-trans, trans isomer에 대한 9,13-trans, cis isomer의 비율이 낮아졌다. Caffeic acid 첨가군(CML)에서는 methyl-8-(2-furyl)-octanoate, 9-trans, cis hydroperoxide isomer 및 9-trans, trans hydroperoxide isomer였으며, 13-hydroxy isomer는 검출되지 않았다. Caffeic acid의 농도를 높일수록 9-trans, trans isomer에 대한 9-trans, cis isomer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때 가장 주된 산화물인 caffeic quinone이 생성되는 것으로 보아 caffeic acid와 같은 o-dihydroxy cinnamate들은 lipid media에서 산화가 쉽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hloroglucinol 첨가군(PML)의 산화 생성물들은 methyl-8-(2-furyl)-octanoate, 9-trans, cis hydroperoxide isomer, 9-trans, trans hydroperoxide isomer 및 9-hydroxy-12,13-epoxy-10-octadecenoate로서 CML군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phloroglucinol은 반응 9일째에도 산화되지 않았다.

  • PDF

Cholesteryl Hexanoate의 실온 및 저온에서의 분자 및 결정구조 (The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 of Cholesteryl Hexanoate at Room and Low Tempreature)

  • 박영자
    • 대한화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31-139
    • /
    • 1981
  • Cholesteryl hexanoate의 결정 및 분자구조를 실온과 $-75{\circ}C$에서 X-ray 회절방법으로 결정하였다. 이 화합물의 결정은 단사형계에 속하며 a = 12.162(3), b = 9.314(3), c = 13.643(5) ${\AA}$, ${\beta}$ = $93. 55{\circ}(3)$이며 단위세포안에 두개의 분자가 있다. 분자구조는 cholesteryl octanoate의 원자좌표를 trial 구조로 하여 Fourier 방법으로 결정하여 정밀화하였다. 최종 R값은 실온과 저온에서 얻은 X-ray 회절강도들에 대하여 각각 0.129와 0.105이다. 분자들은 서로 반대로 나란히 길게 놓여 있으며 이들이 monolayer를 만들면서 모여져 있다. Monolayer들 안에서는 cholesteryl군들이 서로 촘촘히 쌓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결정구조는 cholesteryl octanoate와 cholesteryl oleate와 매우 비슷하다.

  • PDF

Cholesteryl Pentyl Carbonate의 결정 및 분자구조 (Structure of Cholesteryl Pentyl Carbonate)

  • 서혜란;박영자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9-36
    • /
    • 1990
  • Cholesteryl pentyl carbonate $(C_{33}H_{56}O_3)$의 분자 및 결정구조를 X-선 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이 결정은 단사정계에 속하며 공간군은$P2_1$이며, 단위세포 상수는 a = 12.484(3), b = 9.043(3), c = 14.053(3)$\AA$, ${\beta} = 94.12(2)^{\circ}$이다. Four-circle automatic diffractometer로 회절 강도들을 얻었으며, 구조는 cholesteryl octanoate의 원자좌표를 시행구조로 이용 결정하였고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다. 최종 신뢰도 R 값은 1164개의 반점들에 대하여 0.12이었다. Cholesteryl부분의 결합길이와 결합각은 정상적이나 pentyl기는 이 영역에서의 열적 진동 때문에 결합길이가 짧았다. b-축을 따르는 $2_1$ screw symmetry에 의해 관련된 인접한 분자들은 서로 반대로 나란히 놓여 있으며 monolayer를 형성하고 있다. Monolayer 내에서 cholesteryl군들이 서로 촘촘히 쌓인 구조를 만들어 Monolayer Type II packing mode에 해당하며, cholesteryl hexanoate, octanoate, hexyl carbonate, oleate 등의 결정구조들과 비슷한 구조로 되어 있다.

  • PDF

발현성 고혈압쥐의 관상순환 기능과 심장근의 에너지 대사에 관한 생체외 에너지원의 관류 연구 (Substrate-Perfusion Studies on Coronary Circulation and Myocardial Energy Metabolism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Hearts)

  • 김은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8권2호
    • /
    • pp.115-126
    • /
    • 1995
  • The effects of energy-yielding substrates on coronary circulation, myocardial oxygen metabolism, and intramyocytic adenylates of perfused Wistar control rat(WC) and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HR) hearts were examined under basal and $\beta$-adrenergic stimulation conditions. The perfusion medium (1.0mM Ca2+) contained 5mM glucose (+5U/l insulin) in combination with 5mM pyruvate, 5mM lacate, 5mM acetate, or 5mM octanoate as energy substrates. Hearts were perfused with each substrate buffer for 20min under basal conditions. Coronary functinal hyperemia was induced by infusing for 20min isoproterenol (ISO, 1uM), a $\beta$-receptor agonist. Cardiac adenylates, glycolytic intermediates, and coronary venous lactate were measured by using an enzymatic analysis technique. Under basal conditions, acetate and octanoate significantly increased coronary flow(CF) of WC in parallel with myocardial oxygen consumption. However, CF of SHR was partly attenuated by coronary vasoconstriction despite metabolic acidosis. In addition, pyruvate and lactate depressd ISO-induced coronary functional hyperemia in SHR. It should be noted that octanoate exhibited coronary dysfunction under ISO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fat substrates depleted myocardial high energy phosphate pool and accumulated breakdown intermediates. In SHR with coronary vasoconstriction under basal conditions, and with depressed coronary functional hyperemia, high energy phosphates were greatly deple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energy substrates in the myocardium and coronary smooth muscle alter remarkably coronary circulation, and that coronary circulatory function is associated with a reserve of high energy phosphates and a balance between breakdown and nono synthesis of energy phosphates. These findings could be explained by alterations in the cytosolic redox state manipulated by LDH and hence in the cytosolic phosphorylation potential, which might be involved in hypertension of SHR.

  • PDF

전기 전도도 및 광산란법에 의한 나트륨 도데카노에이트와 나트륨 옥타노에이트의 혼합미셀화 연구 (Studies on Mixed Micellizations of Sodium Dodecanoate and Sodium Octanoate by Means of Electric Conductivity and Light Scattering)

  • 박일현;장한웅;백승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271-279
    • /
    • 2015
  •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sodium dodecanoate과 sodium n-octanoate의 혼합미셀 물성인 임계미셀농도(CMC), 반대이온의 결합상수(B), 및 미셀형성 응집수(N*) 등을 여러 조성에서 전기전도도법과 광산란법으로 조사하였다. 여러 혼합조성에서의 혼합미셀 형성에 대한 실험 결과는 이상용액의 예측 거동과는 상당히 벗어났으므로, 정규용액 이론에 기반을 둔 Rubingh 모델과 Motomura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 미셀 형성에 대한 표준 Gibbs 에너지 ΔGmicel,0는 전체 조성에서 음의 값이 얻어져 혼합미셀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ΔGmicel,0 측정값은 이론적 계산치와 실험 오차 내에서 일치하였다.

Sodium n-Octanoate(SOC)와 n-Octylammonium Chloride(OAC)의 혼합마이셀화에 관한 연구 (Mixed Micellar Properties of Sodium n-Octanoate(SOC) with n-Octylammonium Chloride(OAC) in Aqueous Solution)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495-501
    • /
    • 2002
  • Sodium n-Octanoate(SOC)와 n-Octylammonium Chloride(OAC)의 혼합마이셀화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하여 임계마이셀농도(CMC)와 반대이온 결합상수(B)값을 SOC의 겉보기 몰분율($\alpha_1$)을 변화시키면서 측정하였다. SOC/OAC 혼합시스템의 마이셀화에 대한 여러 가지 열역학적 함수값($x_i$, $Y_i$, $C_i$, ${\alpha}_i^M$${\Delta}H_{mix}$)을 비이상적 혼합마이셀화 모델에 의하여 계산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혼합계면활성제의 마이셀화는 이상적 거동으로부터 큰 음의 벗어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SOC,OAC 및 그들 혼합체($\alpha_1$=0.5)의 마이셀화에 대한 열역학적 함수값(${\Delta}G^0_m$, ${\Delta}H^0_m$${\Delta}S^0_m$)을 계산하기 위하여 온도에 따른 CMC 및 B 값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변화로부터 계산한 열역학적 함수값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순수 및 혼합계면활성제의 마이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알코올모델용액을 이용한 여러 종류 활성탄의 휘발성화합물 흡착특성 (Characteristics of Volatile Compound Adsorption from Alcoholic Model Solution onto Various Activated Carbons)

  • 박승국;이명수;김병호;김대옥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3호
    • /
    • pp.249-255
    • /
    • 2010
  • 4가지 서로 다른 소재(대나무, 목재, 피탄, 석탄)로 제조된 10가지 활성탄에 대해서, 30% 알코올모델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6가지 휘발성화합물(isoamyl alcohol, hexanal, furfural, ethyl lactate, ethyl octanoate, 2-phenyl ethanol)의 흡착효율을 평가하였다. 이들 6가지 휘발성화합물은 알코올음료에서 종종 발견되며,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숙취의 원인이 될 뿐만이 아니라 위스키나 보드카와 같은 술에서 이취의 원인물질이 되기도 한다. 6가지 휘발성화합물이 용해되어 있는 30% 알코올모델용액 200 mL에 0.2 g의 활성탄을 넣고 16시간 일정한 속도로 교반한 후에 처리된 용액을 2가지 시료처리방법(direct liquid injection and head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을 이용 GC분석을 수행하여 활성탄의 제거효율을 구하였다. 활성탄의 제거효율은 휘발성화합물의 종류와 활성탄제조의 소재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ethy octanoate, 2-phenyl ethanol, hexanal에 대한 제거율은 34-100%로 높은 편이나, isoamyl alcohol, ethyl lactate, furfural의 제거율은 5-13%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활성탄의 종류에 따른 제거율은 대나무활성탄인 A가 isoamly alcohol, hexanal, ethyl lactate, furfural 등 대부분의 휘발성화합물에 대해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 < 0.05), 특히 알코올음료에서 숙취와 이취물질이며 fusel oil의 주성분인 isoamyl alcohol, aldehydes(hexanal, furfural), 2-phenyl ethanol에 대한 흡착효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