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hratoxin A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6초

Development of One-step Simultaneous Immunochromatographic Assay for Rapid Analysis of Aflatoxin B1 and Ochratoxin A

  • Shim, Won-Bo;Kim, Gyeong-Yeol;Ryu, Hee-Jung;Nam, Min-Ji;Chung, Duck-Hw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641-648
    • /
    • 2009
  • A one-step simultaneous immunchromatographic (OS-ICG) assay using colloidal gold-monoclonal antibody (gold-MAb) conjugates was developed for the rapid multianalysis of aflatoxin B1 (AFB1) and ochratoxin A (OTA) in feed samples. Visual detection limits for AFB1 and OTA were 0.5 and 2.5 ng/mL, respectively,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within 15 min. Matrix interference from the feed extracts was efficiently reduced by appropriate dilution with buffer. Cut-off values of the OS-ICG assay for the feed spiked with AFB1/OTA mixtures (5/5, 10/10, 25/25, 50/55, 100/100 ${\mu}g/kg$) were 10 and 50 ${\mu}g/kg$ for AFB1 and OTA. The comparative analyses of 65 feed samples by OS-IC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showed good agreement.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simultaneous analysis based on immunoassay is possible and it can be used as an on-site multianalysis of AFB1 and OTA in feed, food, and agricultural products.

시중유통 견과류의 총아플라톡신, 오크라톡신 A, 제랄레논, 데옥시니발레놀, T-2 독소의 오염도 조사 (Analysis of Total Aflatoxin, Ochratoxin A, Zearalenone, Deoxynivalenol and T-2 Toxin Contamination in Nuts)

  • 홍준배;박건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8-64
    • /
    • 2019
  • 시중 유통 중인 견과류 109건에 대하여 5종의 곰팡이독소(총아플라톡신, 오크라톡신 A, 데옥시니발레놀, 제랄레논, T-2 독소)를 ELISA 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아플라톡신의 검출결과를 살펴보면, 총 109건 중 31건(28.4%)에서 검출되었고, 평균 검출양은 $3.92{\mu}g/kg$이었고, 범위는 $0.5-14.2{\mu}g/kg$의 검출량을 보였다. 오크라톡신 A의 경우, 109건 중 30건(27.5%)이 검출되었고, 검출된 견과류의 평균 검출량은 $1.78{\mu}g/kg$, 범위는 $N.D.-4.9{\mu}g/kg$의 검출량을 보였다. 제랄레논은 109건 중 36건(33%)이 검출되었고 평균 검출량은 $19.1{\mu}g/kg$ 이었고 $N.D.-124.4{\mu}g/kg$이 검출되었다. 이중 가장 많이 검출된 것은 카카오닙스로 $124.0{\mu}g/kg$이 검출되었다. 데옥시니발레놀 경우, 109건 중 22건(20.2%)이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2.0-140.0{\mu}g/kg$, 평균 검출량은 $26.2{\mu}g/kg$이었다. T-2 독소는 109건 중 22건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범위는 $N.D.-192.0{\mu}g/kg$이고, 평균 검출량은 $55.91{\mu}g/kg$로 나타났다. 곰팡이독소가 1종 이상 검출된 견과류는 109건 중 76건(69.7%)였으며, 곰팡이독소 1종이 검출된 시료는 33건(30.3%), 2종은 24.8%(27건), 3종은 12.8%(4건) 그리고 4종이 검출된 시료는 1.8%인 2건이었다. 특히 곰팡이독소 4종(오크라톡신, 제랄레논, 데옥시니발레놀 및 T-2)이 검출된 것은 2건으로 호두에서 나타났다. 모니터링 결과 총아플라톡신의 경우, 국내 기준이하의 안전한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오크라톡신, 데옥시니발레놀, 제랄레논, T-2 독소 등의 곰팡이독소에 대한 기준이 없으므로 이에 대한 기준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곰팡이독소의 동시 오염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오염실태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분리세균에 의한 ochratoxin 생성 Aspergillus spp.의 생장 및 독소생성 저해 (Inhibition of growth and toxin production of ochratoxigenic Aspergillus spp. by isolated bacteria)

  • 황지선;최호영;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26-233
    • /
    • 2019
  • Ochratoxin A (OTA)는 주로 Aspergillus가 생성하는 진균 독소의 하나로 저장 곡물의 흔한 오염물질로 인간과 가축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분리 세균인 Bacillus subtilis AF13과 Streptomyces shenzhenensis YR226의 OTA 생성 Aspergillus 균주들에 대한 생장과 OTA 생성 저해능 조사이다. OTA 생성 세 균주들의 균사 생장과 포자 형성에 대한 항진균활성은 한천 평판에서 AF13과 YR226 균주와의 공동배양에 의해 조사되었다. AF13과 YR226은 10일 배양 중 진균 집락 직경을 각각 77.58%와 78.48% 감소시켰으며, 두 균주 모두 포자 형성을 99%까지 저해하였다. YR226은 또한 세 진균 균주의 포자 발아도 91% 이상 감소시켰다. Yeast extract sucrose 배지에서 Aspergillus와 AF13 또는 YR226 균주를 동시배양하였을 때 세 종류 진균 모두 균사체 생장과 OTA 생성이 감소하였다. 특히 AF13은 A. alutaceus의 균사체 생장을 완전히 저해하고 OTA 생성은 99% 감소시켰으며, YR226은 균사체 생장과 독소 생성을 99%까지 저해하였다. AF13과 YR226이 생성하는 항진균물질에는 siderophore, chitinase, protease, ${\beta}$-1,3-glucanase와 biosurfactant가 포함된다. 이 결과는 AF13과 YR226이 독소생성 진균으로부터 가치있는 농작물을 보호하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농업과 사료산업에서 경제적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Combined Genotoxic Effects of Aflatoxin B1, Ochratoxin A and Zearalenone in Rat Bone Marrow and Blood Leukocytes

  • Tigran, Harutyunyan;Anna, Karapetyan;Galina, Hovhannisyan;Rouben, Aroutiounian
    • 환경생물
    • /
    • 제31권3호
    • /
    • pp.189-191
    • /
    • 2013
  • Mycotoxins such as aflatoxin B1 (AFB1), ochratoxin A (OTA) and zearalenone (ZEA) are widespread contaminants of food and feedstuffs. It is very likely, that humans and animals are always exposed to mixtures of mycotoxins rather than to individual compounds. Therefore, risk assessments should consider mixture toxicity data. In the present study the combination of AFB1, OTA and ZEA was tested for genotoxicity in rat bone marrow and blood leukocytes after 15, 30 and 60 days treatment. The level of DNA damage was determined by the comet assay. The tail intensity and Olive tail moment in leukocytes and bone marrow cel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controls. At the same time, the level of DNA damage in bone marrow cells was higher than in leukocytes. The data suggests that prolonged exposure to mycotoxins combination through food consumption can induce DNA damage contributing to the harmful effects in vivo.

단일 및 복합 미생물 접종이 곰팡이독소 오염 볏짚의 사일리지 및 In situ 섬유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ingle and Mixed Microbial Inoculation on the in situ Fiber Digestibility and Silage of Rice Straw Contaminated Mycotoxins)

  • 성하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29-236
    • /
    • 2022
  • 본 연구는 사일리지 발효제 첨가가 볏짚 사일리지에서 곰팡이 독소 및 in situ 섬유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사일리지 발효제로 L. plantarum 단일제 및 L. plantarum과 S. cerevisiae의 혼합제를 첨가하였을 때 사일리지의 발효 및 섬유소 분해에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곰팡이독소 감소에도 영향을 주었다. 시험 시료에서 곰팡이독소 중 ochratoxin A 및 zearalenone만 발견되었다. Ochratoxin A 및 zearalenone는 대조구에서 각각 38.11±2.22 및 633.67±50.30 ug/kg 수준으로 발효제 첨가로 감소경향이 나타났고, 혼합제에서만 각각 27.78±2.28 및 392.72±25.04 ug/kg 수준으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pH는 대조구에 비하여 단일제 및 혼합제에서 낮았고(p<0.05), lactic acid는 대조구(8.18±0.93 mM)에 비하여 단일제(11.73±0.31 mM)가 높았고, 혼합제(16.01±0.88 mM)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p<0.05). Acetic acid와 propionic acid는 발효제 첨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짐을 발견하였다(p<0.05). 그리고 total VFA도 발효제 첨가가 대조구에 비하여 낮았다(p<0.05). NDF 및 ADF의 반추위 in situ 분해율은 배양기간 동안 혼합제가 가장 높은 수준의 분해율을 유지하였고, 다음으로 단일제가 높았으며, 대조구가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이들 NDF 및 ADF 분해율은 각각 배양 12 및 24시간 이후 모든 시간대에서 실험구간 유의 차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연구 결과는 볏짚 사일리지 제조에서 사일리지 발효제사용은 발효 및 섬유소 분해에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곰팡이독소 감소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곰팡이독소 감소는 L. plantarum 단일제보다 L. plantarum과 S. cerevisiae 혼합제의 효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사일리지 조제를 위한 발효제로 L. plantarum과 L. plantarum 첨가제의 사용은 사일리지의 품질과 안정성을 더 증진할 것으로 사료 된다.

고추 중 오크라톡신 A와 아플라톡신의 오염도 조사 및 저감화방안 연구 (Survey for contamination and study for reduction of ochratoxin A and aflatoxin in red pepper)

  • 김동호;장한섭;김영민;안종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99-306
    • /
    • 2009
  • 아플라톡신과 오클라톡신은 아스퍼질러스 속 또는 페니 실리움속 곰팡이가 생성하는 가장 치명적이고 중요한 곰팡이독소들이다. 우리나라에서 주요한 향신료인 고춧가루 중 곰팡이독소의 오염현황을 파악하고, 그 오염경로를 확인하여 곰팡이독소를 실질적으로 저감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총 192점의 시료를 재배포장, 가락시장, 인터넷, 대형마트, GI인증 공장에서 채취하였다. 아플라톡신은 192점의 시료 중 2점에서 검출되어 1.04%의 오염도를 보였다. 오크라톡신의 경우 모두 42점에서 검출되어 평균 21.88%의 오염도를 보였으며, 곡류에서 허용기준치로 설정되어 있는 $5\;{\mu}gkg^{-1}$이상 오염된 시료도 6건으로 3.13%의 오염도를 보였다. 이러한 오크라톡신의 오염현황을 바탕으로 그 오염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재배단계에서는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유기 홍고추와 일반재배 고추를 수집하여 동일조건으로 건조하여 비교분석하였으나, 모두 불검출되어 재배단계에서의 곰팡이독소 오염 및 재배방법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고춧가루 제조단계에서의 곰팡이독소 생성 비교를 위하여 고춧가루 제조 공장에서 저장 및 제조 과정의 제품, 완제품으로 각각 구분하여 시료를 분석한 결과 저장중인 시료에서는 모두 불검출이었으나, 완제품에서는 $2.32\;{\pm}\;6.54\;{\mu}gkg^{-1}$의 오염도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제조공장에서 수집한 완제품 간 비교에서도 제조과정 중 자외선 조사 살균과정이 있는 제품과 없는 제품군 간에 $0.33\;{\pm}\;0.91\;{\mu}gkg^{-1}$$2.78\;{\pm}\;4.49\;{\mu}gkg^{-1}$ 의 오염도를 보여 역시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춧가루에서 곰팡이 및 독소를 제어할 수 있는 중요관리점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Ochratoxin A의 신장독성감소 방법에 대한 연구 (Study of Antidotes on the Nephrotoxicity of Ochratoxin A)

  • 서경원;김준규;김태완;정세영;김효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1-128
    • /
    • 1998
  • 곰팡이 독소인 ochratoxin A(OA)는 신장독성, 최기형성, 발암성 및 면역독성을 나타내며, 식품, 곡류 및 정육등에 잔류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된장, 간장등 발효식품에서도 OA가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어 OA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A의 전반적인 위해성 평가의 일환으로 OA의 독성 표적장기인 신장에 초점을 맞추어 신장독성 감소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장독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상 물질로는 1) 기존에 독성감소 물질로 알려진 phenylalanine(Phe), 2) phenylalanime과 asparitc acid로 구성된 감미료인 아스파탐(Asp), 3) 녹차의 성분이며 free radical scavenger 및 ntioxidant 작용이 있는 polyphenol(PP), 4) 최근 수명연장 효과가 있고 특히 신장 질환에 대한 예방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aloe 추출물(AE)을 선택하였다. 신장독성을 유발시키기 위하여 OA를 2.0 mg/kg의 용량으로 2주간 연속 경구 투여하였다. Phe(40 mg/kg, i.p.)과 Asp(25 mg/kg, p.o.)은 OA(2.0 mg/kg, p.o.)와 병용 투여하였으며, PP(200 mg/kg, p.o)는 OA 투여 2주전부터, AE(50 mg/kg, i.v.) 은 3일전부터 전처리하여 OA(2.0 mg/kg, p.o.)와 2주간 병용 투여하였다. 신장독성의 확인은 혈청중 BUN, creatinine 치 및 뇨중 ${\gamma}-glutamyltranspeptidase와\;N-acetyl-{\beta}-D-glucosaminidase$의 활성을 측정하였고, 신장에 대한 조직 병리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OA를 2주간 2.0 mg/kg용량으로 투여한 결과 신장독성이 유발되었으며, 독성 감소 물질로 사용한 4개의 화합물 모두 혈액 및 뇨중 신장독성 지표를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다. 조직 병리 검사결과 OA에 의하여 신장의 근위 세뇨관에 변성이 유발되었으며, 4개의 혼합물 처리군에서는 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Phe, Asp, PP 및 AE는 모두 OA에 의한 신장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OA에 의한 신장독성 유발에는 Phe에 대한 경쟁작용 및 free radical 생성이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Effect of Feed Types on Ochratoxin A Disappearance in Goat Rumen Fluid

  • Upadhaya, Santi Devi;Yang, Liu;Seo, Ja-Kyeom;Kim, Myung-Hoo;Lee, Chang-Kyu;Lee, Chan-Ho;Ha, Jong-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2호
    • /
    • pp.198-205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 types on Ochratoxin A (OTA) degradation by Korean native goats. Rumen fluid from canulated goats fed whole roughage or 50% roughage served as a source of micro-organisms. Experiments were undertaken i) to investigate OTA degradation ability in a $2{\times}4$ factorial arrangement with different feed types (100% roughage vs. 50% roughage) and rumen fluid fractions (whole rumen fluid, cells, autoclaved rumen fluid and supernatant) supplemented with OTA ii) to evaluate OTA degradation by the rumen fluid of goats fed two different diets at different time points (0, 3, 6, 9 and 12 h) of feeding iii) to isolate potential rumen microorganisms and iv) to identify elements responsible for OTA degradation. Rumen fluid from goats fed 100% roughage had higher (p<0.05) OTA degradability than 50% roughage diets. OTA degradation based on rumen fluid collection times showed that rumen fluid at 0 h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0.05) degradability. Carboxypeptidase A (CPA) enzyme has been reported to be responsible for OTA degradation. Thus, using real time PCR, primers designed to target the CPA gene from Bacillus licheniformis could be amplified using genomic DNA from rumen fluid of goats and sequenced, thus enabling evaluation of the Bacillus population under different feeding condition and times. Our findings showed that the Bacillus popul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before feeding (0 h) in animals which were fed a whole roughage diet, giving indirect evidence of OTA degradation being influenced by Bacillus sps.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OTA degradability is influenced by feed, feeding time and Bacillus licheniformis population.

Ochratoxin A Contamination of Red Chili Peppers from Chile, Bolivia and Peru, Countries with a High Incidence of Gallbladder Cancer

  • Ikoma, Toshikazu;Tsuchiya, Yasuo;Asai, Takao;Okano, Kiyoshi;Ito, Naoko;Endoh, Kazuo;Yamamoto, Masaharu;Nakamura, Kazutosh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5987-5991
    • /
    • 2015
  • Our previous study detected aflatoxins in red chili peppers from Chile, Bolivia, and Peru, each of which have a high incidence of gallbladder cancer (GBC). Since the aflatoxin B1 concentration was not so high in these peppers,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e presence of other mycotoxins. Here we attempted to determine any associations between the concentrations of aflatoxins and ochratoxin A (OTA) in red chili peppers, and the corresponding GBC incidences. We collected red chili peppers from three areas in Peru: Trujillo (a high GBC incidence area), Cusco (an intermediate GBC incidence area), and Lima (a low GBC incidence rate), and from Chile and Bolivia. Aflatoxins and OTA were extracted with organic solvents. The concentrations of aflatoxins B1, B2, G1, and G2, and OTA were measur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values obtained were compared with the incidence of GBC in each area or country. All of the red chili peppers from the three areas showed contamination with aflatoxins below the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EC) recommended limits ($5{\mu}g/kg$), but the OTA contamination of two samples was above the EC recommended limit ($15{\mu}g/kg$). The mean concentrations of OTA in the peppers from Chile (mean $355{\mu}g/kg$, range < $5-1,059{\mu}g/kg$) and Bolivia (mean $207{\mu}g/kg$, range $0.8-628{\mu}g/kg$), which has a high incidence of GBC, were higher than that in Peru ($14{\mu}g/kg$, range < $5-47{\mu}g/kg$), which has an intermediate GBC incidence. The OTA contamination in the red chili peppers from Chile, Bolivia, and Peru was stronger than that of aflatoxins. Our data suggest that OTA in red chili peppers may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GBC.

종양세포(腫瘍細胞)의 염색체(染色體)에 대한 오크라톡신 A의 독성(毒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oxicity of ochratoxin A to chromosomes of turmor cell-line)

  • 윤화중;노민희;김강련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51-57
    • /
    • 198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oxicity of ochratoxin A (OA) to the chromosomes of $K_{562}$ tumor cell-line in vitro.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1) Chromosomes of $K_{562}$tumor cell-line resulted in pseudotriploidy on the control group. Chromosomes of $K_{562}$ tumor cell-line treated with OA resulted in heteroploid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mean number of chromosomes in the karyotype of the control group (60) were 7 in the A group, 5 in the B group, 20 in the C+X group, 7 in the D group, 9 in the E group, 6 in the F group, and 6 in the G+Y group respectively. The number of chromosomes were increased as follows: Treating with $0.7{\mu}M$ OA, the number of chromosomes were increased one in E and F group, two in G+Y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treated with $1.5{\mu}M$ OA, the increasing number of chromosome was one in E and F group. In treated with $3{\mu}M$ OA, E and F group was increased one and G+Y group were increased two chromosome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in treated with $6{\mu}M$ OA, the number of chromosome in G+Y group was decreased one. 2) $K_{562}$ tumor cell line treated with OA showed Philadelphia-Chromosome in the long arm of the G group karyotype chromosome. The rate of chromosome aberration in $K_{562}$ tumor cell-line treated with OA was 77% in $0.7{\mu}M$ OA group, 71% in $1.5{\mu}M$ OA group, 82% in $3{\mu}M$ OA group and 94% in $6{\mu}M$ OA group respectively. The rate of chromosome aberration of $K_{562}$ tumor cell-line treated with OA was high in the high dose level of OA, and chromosome aberration of $K_{562}$ tumor cell-line treated with OA showed deletion, minute, dicentric-chromosome and translocation in the long arm of the C-group karyotyp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oxicity of OA showed deletion, minute, dicentric-chromosome and translocation in the long arm of the C-group karyotype, and then, the toxicity of OA resulted in the damage to RNA and protein synthesis in $K_{562}$ tumor cell-line, and the C-group karyotype of $K_{562}$ tumor cell-line was target of the toxicity of O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