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besity

검색결과 5,885건 처리시간 0.03초

고자장 자기공명영상에서 효율적인 지방 정량화를 위한 필드 맵 측정 기술 (Field Map Estimation for Effective Fat Quantification at High Field MRI)

  • 은성종;황보택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58-574
    • /
    • 2014
  • 최근 복부비만,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과 같은 대사성 증후군에 속하는 질환이 급격히 증가하여 지방간 환자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자기공명영상을 통한 검진이 요구되는데 관심 영역과 관심 영역이 아닌 영역의 intensity 값이 상당히 유사하거나 동일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문적인 물, 지방 분리 방법을 통해서 분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분리법은 필드의 불균일성이 큰 고자장으로 갈수록 부정확한 결과가 도출하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존 분리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고자장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필드 맵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기존 IDEAL 시퀀스로 얻어진 에코 영상을 통해 필드 맵을 생성하고, 클러스터링 작업, 그리고 영역성장법 스키마 기반의 least square fit을 통한 필드 맵의 보정, 마지막으로 필드 맵의 homogeneity를 위한 경계선의 보정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물과 지방을 분리한다. 실험결과 IDEAL방법이 평균 61.5%, Yu의 방법이 평균 62.6%, 제안 방법이 평균 86.4%의 지방 검출율로 제안방법이 월등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물 검출율 역시 제안 방법이 평균 98.4%의 물 검출율로 Fat saturation의 평균 88.6% 보다 높은 정확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소아의 체격에 대한 인식, 자아존중감, 사회성 및 행동특성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 of physique, self-esteem, sociality,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children)

  • 정민자;윤경림;심계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0호
    • /
    • pp.1052-1057
    • /
    • 2008
  • 목 적: 초등학생들의 실제 체격 측정치와 자신의 체격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성 및 문제행동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방 법: 서울에 소재한 초등학교 4, 5, 6학년생 465명(남학생 231명, 여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키와 체중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조사, 자아존중감 검사(self-esteem inventory, SEI),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를 실시하였다. 이들에서 신장과 체질량지수를 구하여 2007년 대한소아과학회의 신체발육표준치를 기준으로 저신장, 경계군, 정상 또는 비만, 과체중, 정상의 세 군으로 분류하였고, 키에 대한 인식도는 작은 편, 보통, 큰 편으로, 체중에 대한 인식도는 마른 편, 보통, 뚱뚱한 편으로 구분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version 12.0, SPSS, Chicago, IL, USA)를 사용하여 chi-square test, ANOVA test등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실측된 자신의 키와 체중에 대하여 인식 및 만족도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키나 체중의 실제 측정치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성, 행동특성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키와 체중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1). 결 론: 자신의 키나 체중에 대하여 정확하게 인식하고 만족하고 있는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체격에 대한 올바른 인식확립과 교육으로 심리적 지지를 제공해야 하겠다.

Aqueous Extracts of Liriope platyphylla Are Tightly-Regulated by Insulin Secretion from Pancreatic Islets and by Increased Glucose Uptake through Glucose Transporters Expressed in Liver Hepatocytes

  • Kim, Ji-Eun;Nam, So-Hee;Choi, Sun-Il;Hwang, In-Sik;Lee, Hye-Ryun;Jang, Min-Ju;Lee, Chung-Yeol;Soon, Hong-Ju;Lee, Hee-Seob;Kim, Hae-Sung;Kang, Byeong-Cheol;Hong, Jin-Tae;Hwang, Dae-You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9권3호
    • /
    • pp.348-356
    • /
    • 2011
  • Liriope platyphylla is a medical herb that has long been used in Korea and China to treat cough, sputum, neurodigenerative disorders, obesity and diabet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study the antidiabetic effects of the aqueous extract of L. platyphylla (AEtLP) through pancreatic and extrapancreatic actions. AEtLP were orally administrated to ICR mice once a day for 7 days. Of thre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EtLP, only 10% AEtLP were low toxic to liver, based on body weight and serum biochemical analyses. However, 10% AEtLP-treated mice displayed signifi cant reduction of the glucose concentration and increased insulin concentration; no changes were noted using 5% and 15% AEtLP. Also, the increase of glucose transporter (Glut)-1 expression in liver was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AEtLP, and was regulated by the phosphorylation of Akt. The lowest expression of Glut-3 was observed in 15% AEtLP treated mice, followed by 10% AEtLP- and 5% AEtLP-treated mice. This pattern of Glut-3 expression was roughly in accord with the phosphorylation of c-Jun N-teminal kinase (JNK) in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pathway. Furthermore, a signifi cant rise of the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SOD) was detected in AEtLP-treated mice. The fi ndings suggest that AEtLP should be considered as a diabetes therapeutic candidate to induce insulin secretion from pancreatic ${\beta}$-cells and glucose uptake in liver cells.

한국 소아 청소년 남아에서 복부 지방 분포 측정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Abdominal Fat Distribution in Korean Male Children and Adolescents)

  • 이연주;김경모;오석희;박혜순;명준표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3권2호
    • /
    • pp.172-179
    • /
    • 2010
  • 목 적: 성인에서 내장 지방은 대사 이상의 위험 요소와 밀접한 상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소아 청소년 연령에서의 연구는 미흡하다. 소아 청소년에서의 복부지방의 분포와 대사 이상의 위험 요소간에 상관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78명의 남아와 23명의 여아를 포함한 101명의 소아 청소년(평균 연령 10.8${\pm}$2.4세)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신체 계측과 대사 증후군의 위험 요소에 대한 분석을 개별 환자에서 시행하였고,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을 통해 내장 지방과 피하 지방의 양을 측정하였다. 연령을 보정한 편 상관 분석을 통해 내장 지방, 피하 지방의 양, 신체 계측 지표와 대사 이상의 위험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피하 지방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 내장 지방보다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아에서 내장 지방과 피하 지방은 신체 계측 지표와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 내장 지방은 낮은 수치의 HDL-C과 피하 지방은 높은 이완기 혈압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나. 남아에서 내장 지방과 피하 지방, 신체 계측 지표는 모두 대사 이상의 위험요소의 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남아에서 내장 지방은 낮은 수치의 HDL-C과, 피하 지방은 높은 이완기 혈압과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나 성인에서의 기존 연구에 비해 본 연구는 다른 대사 이상의 위험 요소들에 대한 상관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골다공증의 위험요인에 관한 환자-대조군 연구 - 서울지역 1개 병원 내원환자를 중심으로 - (A Case-control Study on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in Some Korean Outpatient Women of One General Hospital of Seoul)

  • 우선옥;배상수;김동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3호
    • /
    • pp.609-622
    • /
    • 1995
  • Until now there are few available epidemiologic data of osteoporosis in Korea, and the severity of osteoporosis-related health problem has not been widely recognized yet. But the numbers of the old people are increasing in Korea, and in 2000, the proportion of people over 65 will be up to about 6.8% of total population. Therefore, osteoporosis, one of the most common metabolic bone disease among the old people, will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public health problem.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risk factors of the development of osteoporosis in Korean women through case-control approach.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mong the women who visited menopause clinic in one general hospital in Seoul and were checked bone density from Sep. 1988 to Sep. 1993. Those who were diagnosed to have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thyroid disease, breast disease, or liver disease, which are thought to influnce bone density, were excluded. Also excluded those who are age-unknown. Finally the subjects were 2,139 women aged between 18 and 79. We operatively defined patient group as those whose bone density is below $1.039/cm^2$, 90% of average bone density of women of 4th decade who visited the same hospital. And we defined control group as whose bone dendity is above $1.15g/cm^2$. We randomly selected 201 women from the patient group and 202 from the control. As independent variables we chose age, menarche age, menopause age, menopause type, the number of siblings, the number of pregnancies, body mass index, taking oral pill or not, feeding type, and educational stat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see th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on the risk of osteoporosis. Results are as follows; 1. menopausal statu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 to all women irrespective of her age, while obesity and later menopause age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tective factors. 2. The more siblings and pregnancies, the greater tile risk of osteoporosis, but these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is not consistent with other studies. Further studies are strongly needed.

  • PDF

5종 생약(진피, 청피, 귤핵, 지실, 지각)의 Flavanone Glycoside 함량분석과 Peroxynitrite 소거효과 (Quantitative Analsysis of Flavanone Glycosides and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of the Five Oriental Medicinal Drugs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Citrii unshiu Pericarpium, Citrii unshiu Semen, Aurantii Fructus, Poncirii Fructus))

  • 누그로호 아궁;박명곤;진성은;최재수;박희준
    • 생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70-375
    • /
    • 2009
  • Overproduction of peroxynitrite ($ONOO^-$) causes a variety of disease such as atherosclerosis, hypercholesterolemia, diabetes mellitus or obesity.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and HPLC analysis on the five Oriental medicinal drugs belonging to the genus Citrus, Aurantium or Poncirus (Rutaceae family) and HPLC analysis were taken to evaluate flavanone glycosides with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The $IC_{50}s$ of the five crude drugs were shown as follows: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Jinpi, 18.3 ${\mu}g$/ml), Citrii unshiu Pericarpium (Chungpi, 7.50${\mu}g$/ml), Citrii unshiu Semen (Gyulhaek, >50.0${\mu}g$/ml), Aurantii Fructus (Jigak, 18.3${\mu}g$/ml), and Poncirii Fructus (Jisil, >50.0${\mu}g$/ml) where Korean crude drug's names are noted in the parenthesis.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of flavanones or their glycosides usually contained in Citrus species were observed as follows: hesperetin (1.89 ${\mu}g$/ml), naringenin (7.77 ${\mu}g$/ml), hesperidin (8.44 ${\mu}g$/ml), poncirin (>50.0 ${\mu}g$/ml)and ponciretin(>50.0 ${\mu}g$/ml). The activities of naringin and poncirin with ${\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2$)-${\beta}$-D-glucopyranosyl moiety were weak. HPLC analytical data revealed that Jinpi (the peels of mature fruits of Citrus unshiu) and Chungpi (the peels of immature fruits of C. unshiu) had high quantities of hesperidin as the value of 142.1${\pm}$0.21 and 104.51${\pm}$1.10 mg/g dried weight, respectively. Poncirin was clearly detected in only Jisil and naringenin and naringin were not observed on the HPLC chromatogram of the five crude drugs.

커피를 고지방식이에 첨가하였을 때 흰쥐의 체중, 혈중 지질 및 leptin 농도와 지방세포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stant Coffee on Weight, Plasma Lipids, Leptin, and Fat Cell Size in Rats Fed on a High Fat Diet)

  • 강금지;최성숙;한혜경;김관중;권소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78-48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체중이 약 170g정도인 Sprague-Dawley 수컷 쥐에게 AIN 93식이를 변형한 고지방식이와 고지방식이에 커피의 농도를 0.6%, 1.2% 및 2.4%(w/w)로 섭취시켜 6주간 사육하여 체중증가량, 체내 지방량, 혈장에서의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유리지방산과 leptin의 농도와 부고환지방조직에서의 지방세포크기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체중 증가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지만 0.6% 커피 섭취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식이이용효율은 0.6% 및 1.2% 커피 섭취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내 지방량은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체중이 많이 나가는 0.6% 커피 섭취군의 체지방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혈장 중성지방의 농도는 2.4% 커피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다른 커피 섭취군에 비해 낮았고, 총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모든 커피 섭취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동맥경화지수는 2.4% 커피 섭취군이 다른 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다. Leptin의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체중이 가장 많은 0.6% 커피 섭취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커피 섭취량이 많아질수록 leptin 농도는 낮아져 1.2% 및 2.4% 커피 섭취군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고환지방 조직의 지방세포 크기는 각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0.6% 커피 섭취 시 순환기계질환의 원인이 되는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의 농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나 순환기계질환을 예방해주는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유의적으로 높아졌고, 동맥경화지수도 고지방식이를 먹은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커피 섭취량이 가장 많은 2.4% 커피 섭취는 체중증가량, 식이이용효율, 중성지방 및 leptin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내 여고생들의 비만도에 따른 영양상태와 식습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and Food Habits According to Obese Index of High School Girls in Seoul)

  • 안호현;김주혜;송경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21-528
    • /
    • 1996
  • 서울시내 일부 지역의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일반 환경, 식생활 환경, 영양소 섭취실태를 설문 조사하여 조사대상자들의 영향섭취와 각 변인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부모연령은 40~49세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학력은 고졸이 높게 나타났으며 동거 가족 수는 4~5명, 가족의 한달 수입은 100~150만원이 가장 많았고, 일주일 용돈은 5천원 이상이 45.8%이었다. 평균신장은 160.2cm, 평균체중은 52.3kg, 비만도는 96.8, BMI지수는 20.3, R hrer지수는 1.27이었으며 전체적으로 저체중 쪽으로 기울어 있었다. 또한 조사대상자들은 자신의 바람직한 체중을 표준체중보다 낮게 설정하고 있었으며 저체중군과 정상군일수록 비율이 높았다.(P<0.001) 한편 식습관 점수는 44.17점으로 낮았고 46.7%가 poor group에 속해 식습관이 불량하였다. 1일 1인당 섭취열량은 권장량의 86.4%인 1814kcal, 단백질은 107.7%인 70g을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과 비타민 A, 비타민 C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양소는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였다. 영양소 섭취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의 학력과 월 총 수입, 식사 횟수, 간식 횟수, 식습관 점수 등였다. 식습관 점수는 부모의 학력, 수입이 증가할수록 높았고 식습관 점수가 높을수록 1일 식사 횟수, 간식 횟수도 증가하였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조사대상 여고생들은 자신의 체형을 정확히 판단하지 못하고, 자신에게 바람직한 체중도 낮게 설정하고 있고, 올바르지 못한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 실태를 보이고 있다. 여고생들이 불량한 식습관과 저체중 선호하는 경향이 다음의 성인기로 이어져 자유로운 식행동을 하게 될 경우 더 큰 문제점을 야기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건강한 체형에 대한 바른 판단과 올바른 식습관의 정립을 위하여 학교와 가정에서의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 PDF

한국인 체질량지수와 식이 섭취, 혈청지질 및 동맥경화 위험인자와의 연관성 오년간의 연구조사(1995~1999) (The Association of Body Mass Index with Dietary Intake, Serum Lipid Levels, Lipoprotein(a) and PAI-1 in Middle Class Korean Adults from 1995 to 1999)

  • 김진옥;위효정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1-68
    • /
    • 2001
  • This investigation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BMI) and dietary intake, levels of serum lipid, lipoprotein(a) an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PAI-1) of 28.449 Korean adults(16.937 men, 11.542 women) from 1995 to 1999. The dietary assessment was conducted using 24-hour dietary records an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During this five year study, the BMI normal-weight group, as a percentage of the annual test population, decreased from 68.0% to 60.2%, while the BMI overweight and obese groups collectively increased from 25.0% to 29.7%. The levels of serum total cholesterol (TC), LDL-cholesterol(LDL-C), Triacylglycerol(TG) and PAI-1 increased as the values of BMI increased, while the levels of HDL-cholesterol(HDL-C) and lipoprotein(a)(men only) appeared to decrease as values of BMI increased. The levels of daily energy intake also increased as values of BMI increased in both men and women. The obes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carbohydrate, protein, fat(men only), and cholesterol intake than those of the normal-weight, underweight, and overweight groups. In men, BMI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s of macronutrients and cholesterol intake(p<0.001), % energy of protein, fat, and alcohol intake(p<0.001), and the levels of serum TC, LDL-C, TG and PAI-1(p<0.001), while BMI negatively correlated with % energy of carbohydrate intake, and the levels of Lp(a) and HDL-C(p<0.001). In women, BMI negatively correlated with level of cholesterol(p<0.01), fat(p<0.001), alcohol intake(p<0.05),% energy of fat (p<0.001), % energy of alcohol intake and level of and HDL-C(p<0.001). Subjects who had serum TC, LDL-C, HDL-C, and TG levels greater than the standard reference values(TC>240mg/㎗, LDL-C>130mg/㎗, HDL-C>35, TG>200mg/㎗) exhibited a higher intake of the three macronutrients, iron, calcium, meat, milk and fatty foods than those subjects who had serum lipid concentrations less-than-or-equal-to the standard reference values. Overall,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high risk factors of vascular disease variables, dietary intake, and BMI.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high blood sugar were increased as BMI increased, but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is decreased as the year goes by. These findings showed that dietary intake, level of serum lipids and other 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creased as BIM increased. Therefore, middle or upper class Korean adults who have high BMI should improve their eating habits. This involve reducing alcohol, animal fat, high carbohydrate foods, and overall food intake, and balancing intake in order to lower 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cluding obesity.

  • PDF

대전지역 직장 중년 남성의 건강 및 영양 상태 조사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Middle Aged Men at Worksite in Taejon)

  • 우미경;김성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338-348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123 middle aged men at their worksite in Taej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were as follows : 1) 74.8$\%$ of the subjects had history in the order of alimentary, heat, liver, diabetic and pulmonary diseases. 30.3$\%$ stopped smoking at 42.3% yrs. and 74.5$\%$ smoked more than 10 cigarets per day. Also 71.9$\%$ drank 2-3 times per week and 35.3$\%$ drank 1-2 times per week. 91.4$\%$ exercised more than 30min every day. 2) 54.4% showed concerns about their health whereas 20.3$\%$ were afraid that they night get sick. 3) 90.4$\%$ ate regularly and 54.5$\%$ worried about their cholesterol, salt, fat and MSG intakes. 48.7$\%$ ate out 1-2times per week and their favorite foods eaten outside were Korea. 4) 41.5$\%$ were classified as 'normal A', 30.9$\%$ 'normal B' group and high blood pressure and liber diseases in 'doubtful for disease' group were pointed out from their 1996 health check ups. 5) By Broca index, 39.8$\%$ were overweight and 9.8% were obese however by BMI only 23.6% were overweight.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alculated and self recognized obesity, 62.4$\%$ categorized themselves into the right weight range but 34.3$\%$ thought they were thinner than they were. 6) 43.9$\%$ were border line in cholesterol intake and 12.1$\%$ needed medical care for high blood cholesterol. 7) The Average energy intake was 1970.6㎉(80.9$\%$ RDA) with a 65 :19 : 16 ratio of carbohydrate : protein : fat. Protein, Fe, thiamin, riboflavin, niacin and Vit. A. 8) Occupation, regularity of meals, partner's job, income. smoking, alcohol drinking, health concerns and eating out wer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subject's nutrient intakes and health status. from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iddle aged men needs to know their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and to be educated correct health and nutritional information through formal or informal channel. The worksite is the vest place to do this and we want these results to be used to develop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aged men at the worksi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