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tional screening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6초

흡연량과 본인 인지 음성장애의 관련성에 관한 경향성 분석 (The Trend of the Association Between Amount of Smoking and Self-reported Voice Problem)

  • 변해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246-1254
    • /
    • 2012
  • 우리나라 성인의 현재 흡연율은 감소 추세이지만, 여전히 OECD국가 중에서 가장 높다. 이 연구에서는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이비인후 검진을 완료한 19세 이상 지역사회 성인 3,600명을 대상으로 흡연량이 증가할수록 본인 인지 음성장애의 위험이 비례적으로 증가하는지에 관한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통제변수는 연령, 성, 교육수준, 소득 사분위수, 최장직업, 음주, 최근 2주 동안 만성 및 급성 질환 등으로 인한 통증 및 불편감 여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고도 흡연(>40.5~55.5 pack year)과 일일 평균 1갑 이상의 흡연은 본인 인지 음성장애의 독립적인 위험요인이었다. 일일 평균 흡연량이 증가할수록 본인 인지 음성장애의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평생 흡연량(pack year)은 교차비의 증가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인 인지 음성장애의 조기 선별 및 예방을 위해서 주관적 음성 평가 외에도 추가적으로 현재 흡연량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서울 지역 일부 중년 성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 실태와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The Levels of Health Literacy and Related Factors among Middle-aged Adults in Seoul, Korea)

  • 강수진;이태화;김광숙;이주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75-89
    • /
    • 2012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literacy and preventive health care use in middle-aged adults in Korea. Methods: A total of 315 adults aged 40 to 64 years living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5-24, 2010 from outpatient hospitals, clinics, workplaces and other locations in the community. Health literacy was measured using the Functional Health Literacy and Self-rated Health Literacy Questionnaires. Preventive health service use was defined as receiving screening (general health checkups, gastric and colorectal cancer, mammogram, and pap smear) and influenza vaccination.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used. Results: The mean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was 3.87 (score range 0-6) and the self-rated health literacy was 60.08 (score range 16-80). The most difficult items of the self-rated questionnaires were patient educational materials provided by health care providers and medical forms. The most difficult items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were information-based, including nutritional facts and clinical schedules. Association between health literacy and preventive health service use was not found. Conclusions: Further study is necessary with larger samples and with considerations for their education level, age, and preventive health care use.

Epidemiology of Oral Cancer in Asia in the Past Decade- An Update (2000-2012)

  • Rao, Sree Vidya Krishna;Mejia, Gloria;Roberts-Thomson, Kaye;Logan, Richar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0호
    • /
    • pp.5567-5577
    • /
    • 2013
  • The prevalence of oral cancers (OC) is high in Asian countries, especially in South and Southeast Asia. Asian distinct cultural practices such as betel-quid chewing, and varying patterns of tobacco and alcohol use are important risk factors that predispose to cancer of the oral cavity.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provide an update on epidemiology of OC between 2000 and 2012. A literature search for this review was conducted on Medline for articles on OC from Asian countries. Some of the articles were also hand searched using Google. High incidence rates were reported from developing nations like India, Pakistan, Bangladesh, Taiwan and Sri Lanka. While an increasing trend has been observed in Pakistan, Taiwan and Thailand, a decreasing trend is seen in Philippines and Sri Lanka. The mean age of occurrence of cancer in different parts of oral cavity is usually between 51-55 years in most countries. The tongue is the leading site among oral cancers in India. The next most common sites in Asian countries include the buccal mucosa and gingiva. The 5 year survival rate has been low for OC, despite improvements in diagnosis and treatment. Tobacco chewing, smoking and alcohol are the main reasons for the increasing incidence rates. Low socioeconomic status and diet low in nutritional value lacking vegetables and fruits contribute towards the risk. In addition, viral infections, such as HPV and poor oral hygiene, are other important risk factors. Hence, it is important to control OC by screening for early diagnosis and controlling tobacco and alcohol use. It is also necessary to have cancer surveillance at the national-level to collect and utilise data for cancer prevention and control programs.

행동이론에 근거한 가임여성 대상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Theory 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Childbearing Aged Women in Korea)

  • 오세영;김경아;유혜은;정해랑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725-733
    • /
    • 2004
  • It was well received that well grounded behavioral theories were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but there are only a few programs available for Korean wome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childbearing-aged women in Korea.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needs assessment for the program and theoretical backgrounds, we developed behaviorally oriented tailor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cluding motivation (MT), modifying (MD) and maintenance (MA) stages. The key concepts of the stages were motivation promotion for MT, increasing behavioral capabilities for MD, and strengthening self-management and building 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 for MA. The education program was intended to be need in individual nutrition counseling, but it could be well used for group education by developing materials using the relevant contents. The primary users of the program were nutrition educators, however it could be also used by clients as needed. The introductory chapter provided dietary assessment tools and nutrition education tips. MT chapter included subjects such as nutritional status screening, costs of inappropriate nutrition and weight management, benefits of eating right, and activities for motivation promotion. MD stage chapter dealt with topics of healthy weight, knowledges and skills for better eating habits and physical activity status, and activities related to setting tailored behavioral objectives. MA stage focused on facilitating self management skills and building helping relationships. Each stage underlined activities using various educational tools in order to promot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client (s). For better use of this program, it was recommended to conduct program validation study.

Evidence and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vitamin D intake standards in Koreans for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 Kim, Jung Hyun;Park, Hyoung Su;Pae, Munkyong;Park, Kyung Hee;Kwon, Ora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6권sup1호
    • /
    • pp.57-69
    • /
    • 2022
  • BACKGROUND/OBJECTIVES: Vitamin D is produced in the skin during sun exposure and is also ingested from foods. The role of vitamin D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various diseases. Moreover, since the majority of Koreans spend their days indoors, becoming susceptible to the risk of vitamin D deficiency. The current study aims to prepare a basis for determining dietary reference intake of vitamin D in Korea, by reviewing the evidence against various diseases and risks. MATERIALS/METHODS: Literature publishe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between 2014 and 2018 was prioritized based on their study design and other criteria, and evaluated using the RoB 2.0 assessment form and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Nutrition Evidence Library Conclusion Statement Evaluation Criteria. RESULTS: Of the 1,709 studies, 128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systematic analysis after screening. To set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of vitamin D based on the selected articles, blood 25(OH)D levels and indicators of bone health were used collectively. Blood vitamin D levels and ultraviolet (UV) exposure time derived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analyzed to establish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of vitamin D for each stage of the life cycle. The adequate intake levels of vitamin D, according to age and gender, were determined to be in the range of 5-15 ㎍/day, and the tolerable upper intake level was established at 25-100 ㎍/day. CONCLUSION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for vitamin D nutrition is lifestyle. A balanced diet comprising foods with high contents of vitamin D is important, as is vitamin D synthesis after UV exposure. The adequate intake level of vitamin D mentioned in the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 (KDRI) remained unchanged in the 2020 KDRI for the management of vitamin D nutrition in Koreans.

모유수유아에서의 철결핍 빈혈과 비타민 D 결핍 (Iron Deficiency Anemia and Vitamin D Deficiency in Breastfed Infants)

  • 최은혜;정수호;전용훈;이유진;박지연;유정순;장경자;김순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3권2호
    • /
    • pp.164-171
    • /
    • 2010
  • 목 적: 철결핍성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IDA)은 영양상태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발견되는 영양질환이다. 저자들은 영유아기에 IDA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인자에 대해 알아보았고, IDA 환아의 영양 분석을 통하여 철분 및 비타민 D 영양 결핍에 대하여 알아 보았다. 방 법: 2006년 3월부터 2010년 3월까지 저자들의 병원에 내원한 6~36개월의 IDA 환아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IDA가 없는 같은 연령의 영유아 123명을 비교군으로 혈액검사와 설문 조사를 하였다. IDA가 진단된 6~12개월 환아 중 식이력 작성이 구체적인 11명에 대해서는 Canpro를 이용하여 영양 분석하였다. 결 과: IDA군에서 모유수유 87.4%, 비교군에서는 모유수유 40.7%였다. 이유 시작 시기는 IDA군은 평균 6.4${\pm}$1.8개월이었고 비교군은 평균 5.9${\pm}$1.3개월이었다. 이유식을 잘 먹게 된 시기는 IDA군에서 4주 이내는 46.4%, 비교군에서 4주 이내는 53.5%였다. IDA군의 병원 방문 이유는 호흡기 질환이 36.2%로 가장 많았고, 빈혈 증상으로 방문한 경우는 18.6%였다. IDA 환아 11명의 Canpro 분석에서 철분은 권장섭취량의 40% 미만이었고, 비타민 D 섭취는 30% 미만이었다. 결 론: 모유수유를 하는 영아는 4~6개월에 이유식을 시작해야 한다. 위험 인자가 있는 영아에서 철결핍 빈혈과 비타민 D 결핍이 있을 수 있으므로, 선별검사와 비타민 D 영양 평가가 필요하다. 또한 철분강화 분유, 비타민 D 강화 분유나 이유식을 통한 영양 공급이 필요하다.

초등학생의 에너지 과잉섭취 위험 진단을 위한 식습관평가표 개발 (Development of an Eating Habit Checklist for Screen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High Risk of Energy Overintake)

  • 연미영;현태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5호
    • /
    • pp.414-427
    • /
    • 2008
  • 초등학교 $4{\sim}6$학년 어린이 142명 (남 80명, 여 62명)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여 에너지를 과잉으로 섭취할 위험이 있는 어린이를 선별할 수 있는 간단한 식습관평가표를 개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에너지 과잉섭취 위험이 있는 어린이를 선별하기 위해서는 과잉섭취의 위험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가 필요하므로 에너지 섭취량, 지방 섭취량, 에너지필요추정량에 대한 에너지 섭취량 비율 (%EER)의 세가지 지표를 임의로 선정하였고, 식습관 각 문항의 응답 보기에서 가장 좋은 식습관에 대하여 0점, 가장 좋지 않은 식습관에 대하여 2점을 부여하고, 이 두가지 식습관 사이에 중간 정도의 보기가 있는 경우 1점을 부여하였다. 부여된 점수로 계산한 각 문항의 식습관 점수와 에너지 과잉섭취 위험 평가지표와의 Pearson상관계수를 계산한 결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식습관 문항은 식사 중 TV 시청 여부, 식사속도, 식사량, 과식횟수, 외식횟수, 간식횟수, 라면과 패스트푸드 섭취 횟수에 관한 7개 문항으로 나타나 이들을 평가표에 포함시킬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항 중에서 에너지 과잉섭취 위험을 더 잘 가려낼 수 있는 문항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하여 선정된 문항과 에너지 과잉섭취 위험 평가지표와의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에 따라 세가지 지표 모두와 유의수준이 0.1 미만인 식사량에 관한 문항의 배점을 1점으로 낮추었다. 진단기준 점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EER$\geq$125%를 에너지 과잉섭취군, %EER < 125%를 비과잉섭취군으로 분류하고, 두 집단의 식습관평가표 점수 분포를 살펴본 후, 임의의 진단기준 점수에 대한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를 구한 결과 5점을 진단기준 점수로 결정하였다. 본 조사대상자를 식습관평가표로 진단하여 5점 이상을 위험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13.4%가 위험군으로 분류되었고, 이들의 영양소 섭취량을 비위험군과 비교한 결과 위험군의 에너지 섭취량 평균은 2,156 kcal, 비위험군은 1,708 kcal로 유의적 차이가 있었으며,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에도 유의적 차이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에너지 섭취량으로 보정해 주어 INQ로 계산한 결과 모든 영양소에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에너지 과잉섭취 위험 진단을 위한 식습관평가표는 에너지 과잉을 잘 나타내 준다고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7문항의 식습관평가표는 복잡한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지 않고도 에너지 과잉섭취의 위험이 있는 어린이를 선별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되며, 초등학생이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영양판정이나 영양교육을 실시할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중소도시, 군 지역 어린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이용하여 에너지 과잉섭취 위험을 평가할 수 있는 식습관평가표를 개발하였으므로 대도시를 포함한 다양한 지역의 어린이에게 활용하여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개인의 식습관을 평가하여 진단하는 것은 영양교육이나 영양사업을 계획하고 실시하기 위하여 가장 먼저 해야 하는 단계로 이를 위한 간단하고 효율적인 평가도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앞으로 다양한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다양한 영양적 위험을 평가하고 진단할 수 있는 식습관평가표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산삼 배양근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탐색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of Cultured Wild Ginseng Roots)

  • 박성진;유선미;김영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29-736
    • /
    • 2012
  • 산삼 배양근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산삼 배양근 70% 에탄올 추출물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환원력) 등을 측정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산삼 배양근의 일반성분은 건량 기준으로 당질 61.72%, 조단백질 17.36%, 조지방 0.23% 및 조회분10.90%이었고, 산삼 배양근 100 g의 함유 열량은 323.97 kcal로 분석되었다. 또한, 총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함량은 16.15 g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인, 칼슘, 마그네슘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총 포화 지방산 0.26 g, 불포화지방산 0.62 g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조 사포닌의 함량은 25.87 mg/g으로 분석되었다. 총 페놀 함량은 11.2 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4.2 mg/g으로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은 24.7~31.6%의 범위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소거능은 모든 pH 조건하에서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환원력의 경우에는 $1,000{\mu}g/m{\ell}$에서 0.06의 값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산삼 배양근 70%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멍쇠미역의 식품영양학적 접근 및 생리활성 분석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of Agarum cribrosum)

  • 박성진;민경진;박태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42-849
    • /
    • 2012
  • 본 연구는 구멍쇠미역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성식품의 소재로의 활용을 위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 및 생리활성 기능을 분석하였다. 식품 영양학적 접근에서의 구멍쇠미역의 일반성분은 건량 기준으로 당질 45.4%, 조단백질 15.0%, 조지방 2.3% 및 조회분 33.1%이었고, 구멍쇠미역 100 g의 함유 열량은 262.3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34.0%로 나타났다. 또한, 총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함량은 12,402.42 mg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다. 구멍쇠미역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분석 결과, 각각 $34.1{\pm}2.56mg/g$$4.9{\pm}0.26mg/g$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항산화 평가 모델(DPPH, FRAP, 환원력, ABTS)을 통하여 구멍쇠미역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구멍쇠미역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구멍쇠미역은 식품으로서의 이용가치가 매우 크며, 구멍쇠미역 추출물은 항산화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Risks of Hyperlipidemia, Hypertension, High Blood Glucose and Liver Dysfunction in Moderately and Severely Obese Children

  • Kim, Eun-Kyung;Kim, Chang-Ok;Lee, Jung-Sook;Park, Gye-Wol;Ji, Kyung-Ah
    • Nutritional Sciences
    • /
    • 제5권4호
    • /
    • pp.234-244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rates of hyperlipidemia, hypertension, high blood glucose, and liver dysfunction, between 64 obese children (24 boys and 11 girls who were moderately obese, and 21 boys and 8 girls who were severely obese) and 45 normal weight children (31 boys and 14 girls) from 13 elementary schools in Kangnung city. Among the boys with severe obesity, the levels of serum triglycerides and LDL-cholesterol (133.60 $\pm$ 49.99 mg/dl and 105.00 $\pm$ 41.12 mg/dl(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normal Weight group (81.16 $\pm$ 23.59 mg/dl and 87.74 $\pm$ 32.095 mg/dl, respectively) of moderately obese group (102.30 $\pm$ 36.03 mg/dl, 89.99 $\pm$ 32.10 mg/이, respectively). In girls, only serum triglycerid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verely obese group (154.30 $\pm$ 46.84 mg/dl), compared with the normal weight group (80.00 $\pm$ 25.31 mg/dl) or moderately obese group (106.40 $\pm$ 41.73 mg/dl). In boys, blood pressure in the severely obese group (systolic: 120.5 $\pm$ 9.74 mmHg; diastolic: 80.95 $\pm$ 10.44 mmHg)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the groups of normal weight or moderately obese children. The rate of hypertriglyceridemi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normal weight, moderately obese, and severely obese boys (9.7%, 41.7%, and 76.2%,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boys who had an Atherogenic Index(AI) higher than 3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verely obese group (28.6%), compared to 6.5% in the normal weight group and 4.1% in the moderately obese group. Among boys,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hypertension was found in the severely obese group, which showed high systolic blood pressure and high diastolic pressure (81.0% and 81.0%), compared with the normal weight group (16.1% and 22.6%) and moderately obese group (33.3% and 33.3%). In conclusi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obese children needs to be tailored to gender and the degree of obesity. Furthermore, a systematic management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for early screening and detection of obesity in order to minimize the risk of hyperlipidemia and hypertension, especially in severely obese children.